영화 <유열의 음악앨범> 포스터.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 포스터. ⓒ ?CGV아트하우스


2019년 부산국제영화제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구로사와 기요시, 자비에 돌란, 봉준호, 켄 로치 등 거장의 최신 작품들도 있었고,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 <레미제라블>, 베를린 영화제 감독상 <나는 집에 있었지만>도 기대가 됐다. 또 <결혼 이야기> <더 킹: 헨리 5세>를 비롯한 넷플릭스 작품들도 기대를 모은다. 와중에 한국영화 100주년을 맞이해 많은 한국영화들이 상영된다.

알 만한 한국영화들은 주로 '한국영화의 오늘-파노라마'를 통해 상영되는데, <엑시트> <극한직업> <미성년> <강변호텔> <유열의 음악앨범> 등이 눈에 띈다. 물론 우리가 이 영화제에서 보다 눈여겨 봐야 할 한국영화들은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영화들일 것이다. 한국영화의 미래를 이끌고 책임질 영화들 말이다. 다만 이번에 살펴보고 들여다볼 영화는 <유열의 음악앨범>이다. 

영화 <유열의 음악앨범>은 1994년에 시작해 2007년까지 계속된 KBS cool FM 음악 전문 라디오 프로그램 '유열의 음악앨범'을 모티브로 한 감성멜로다. 레트로(복고풍)를 한껏 자극하는 감성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거시적 시대상과 미시적 개인상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지 궁금하다. 차리리 <응답하라> 시리즈를 다시 보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미수와 현우의 만남과 이별

1994년 10월 1일 KBS 라디오 프로그램 '음악앨범'이 '유열의 음악앨범'으로 새롭게 시작된다. 가족 같은 종업원 언니 은자와 함께 엄마가 남겨준 빵집을 꾸려가는 21살 미수, 우연히 찾아왔다가 곧 아르바이트로 함께 하게 되는 현우. 둘은 설레는 감정을 갖고 기억에 남을 만한 나날들을 보내지만, 어느날 현우가 친구들과 함께 떠나고는 돌아오지 않는다. 

3년이 지난 1997년, 미수는 빵집 문을 닫고 인쇄공장 사무직으로 취직해 꿈을 향해 한 걸음 내딛는다. 한편 현우도 먼 길을 돌아왔지만 이삿짐 센터에서 일하며 다시 시작하려 하고 있다. 그들은 우연히 문 닫은 빵집 앞에서 재회한다. 여전히 설레는 감정을 공유하고 있던 미수와 현우, 하지만 다음 날 현우는 군대에 입대하고 우연 아닌 필연의 재회를 위해 미수가 연락처를 전하지만 실수로 오랫동안 연락이 닿지 않는다. 

현우의 필사적인 노력으로 재회하는 미수와 현우, 시간은 어느덧 흐르고 흘러 2000년대가 되었다. 재회가 계속되는 그들의 만남의 시간은 또 얼마나 짧을 것이며, 이별이 계속되는 그들의 헤어짐의 시간은 또 얼마나 길 것인지. 부디 헤어지지 말고 좋은 만남을 계속 이어나갔으면 하지만, 운명의 장난은 그들을 또 떼어놓을 것만 같다. 

감성과 스토리

<유열의 음악앨범>은 <해피엔드> <은교> < 4등 > 등 특유의 감성으로 사랑 받아온 정지우 감독과 배우 김고은, 정해인이 함께 호흡을 맞췄다. 라디오 '유열의 음악앨범'으로 대표되는 1990~2000년대 레트로 감성을 담아낸 점도 화제를 모았지만, 흥행에는 그다지 성공하지 못했다.

영화는 만남과 이별을 계속하는 두 남녀가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분명 영화의 전체를 훑는 감성은 훌륭했다. 지금은 보기 어려워진 그때 그 시절을 상징하는 소품들이 튀지 않게 자연스레 영화에 녹아들어 있는 듯했다. 익숙한 대중가요를 통해 주인공의 멜로는 누구나의 멜로가 되었다. 무난한 걸 찾기 힘든 시대에 감히 도전장을 낸 무난한 감성멜로인 것이다. 여기까진 괜찮았다. 

이 영화와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벌새>도 동일한 시기인 1994년을 그린다. 하지만 <벌새>는 그때 그 시절을 훨씬 더 구체적으로 디테일하게 그려냈다. 반면 <유열의 음악앨범>은 주인공 두 남녀의 재회와 이별의 모습이, 그때 그 시절만의 어쩔 수 없는 점 때문이 아니라 우연으로 점철되는 듯한 모양새를 보였다. 그때 그 시절만의 모습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않은 건 전체적 감성을 받아들일 땐 장점으로 작용했지만, 구체적 스토리라인에선 단점으로 작용했다. 

'시대'의 남녀 아닌 시대의 '남녀'

우리는 살아가며 매 시간, 매일, 매주, 매달, 매년마다 무수히 많은 생각을 하고 행동을 한다. 참으로 많은 애를 쓰며 살아가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그 시간들은 조금만 지나면 다 잊힌다. 기억에 선명히 남는 건 특별하거나 특이한 몇몇 순간들뿐이고 대부분은 추억이라는 이름 하에 뭉뚱그려서 남아 있다. 인생의 가장 빛나는 시절이라고 하는 청춘, 10대 20대 30대 말이다. 

영화는 1974년생 두 남녀의 1994~2005년을 담았으니 20~30대겠고 2019년 현재로선 40대 중반이겠다. 그분들에게조차 이 영화는 인생의 가장 빛나는 시절의 이야기가 아닌 가장 힘든 시절의 이야기처럼 비춰질 요량이 크다. 영화가 그 '시대'의 두 남녀가 아니라 그 시대의 '두 남녀'로 읽혀지기 때문이다. 그들은 각자의 삶도 힘들거니와 긴 이별 끝에 짧은 만남만을 계속하지 않는가. 

그렇기에 안타깝지만 한편 정지우 감독의 다음 멜로가 기다려진다. 차라리 이 영화에서 레트로를 걷고 그때 그 시절이 아닌 지금을 배경으로 했으면 어땠을까 싶은 것이다. 우연에 의한 재회와 이별이 계속되며 결국 그 모양새가 어쩔 수 없이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 큰 영향을 끼칠 거라면 말이다. 사랑에 절대 필연도 절대 우연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건 누구나 아는 사실과 진실이 아닌가.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형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 singenv.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유열의 음악앨범 레트로 감성 멜로 정지우 남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