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울산지역 레미콘 노동자들이 8월12일 울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레미콘제조사측의 운송비동결, 집단 계약해지, 조업중단(회사파업)으로 43일째 길거리로 내몰렸다"고 호소하며 최근 회사측이 대화는 커녕 더욱 압박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지역 레미콘 노동자들이 8월12일 울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레미콘제조사측의 운송비동결, 집단 계약해지, 조업중단(회사파업)으로 43일째 길거리로 내몰렸다"고 호소하며 최근 회사측이 대화는 커녕 더욱 압박하고 있다고 밝혔다.
ⓒ 민주노총 울산본부

관련사진보기

 
울산지역 레미콘 노동자들이 13일 "울산지역 레미콘업체 관련 회사들이 산업단지나 공장부지 조성허가만 낸 뒤 20~30년 째 공장은 짓지 않고 골재 채취와 판매에만 열을 올리고 있지만 행정 처벌을 벋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레미콘 노동자들이 소속된 건설노조 울산건설기계지부는 이날 언론에 보도요청 자료를 내고 "한 업체가 울산시 울주군 온산읍 산암리 일원에 20년 이상 공장부지 조성공사 중 "이라며 "해당현장에 토석채취허가를 냈지만 대부분 다른 현장에서 토석을 반입해 골재를 생산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주변지역 공장부지 조성공사에서도 수년 째 공장부지 조성공사 기간연장을 하면서 골재생산판매에만 주력했다"고 덧붙였다.

울산건설기계지부는 또 "울산 남구 황성동 일원 부지도 30여년째 공장부지조성공사 중"이라며 "해당현장에 토석채취허가를 냈지만 대부분 다른 현장에서 토석을 반입해 골재를 생산판매하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이 곳은 30여년 째 공장부지 조성공사 기간 연장을 했다"며 "처음보다 더 많은 부지에 공장용지조성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울산건설기계지부의 이같은 폭로는 실제로 지난 2011년에도 지역일간지 <울산신문>에서 '부지조성 핑계 수년째 골재 장사'라는 제목으로 보도가 된 부분으로, 아직까지 진행형인데도 행정당국의 조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미콘 노동자들이 폭로전에 나선 이유

울산 레미콘 노동자들은 7월 1일 "레미콘 회당 운송료가 4만 5000원이지만 한달에 120회 정도 하던 일감이 지난 가을 이후로 60~80회로 급감해 최저임금 수준이다"라며 회당 운송료 5000원 인상을 요구하면서 파업을 시작했다.

울산 16개 레미콘 업체가 파업 돌입과 동시에 파업 노동자 408명을 일괄 계약해지(해고) 해 대립하면서 파업이 장기화됐고, 내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진행중인 학교 공사가 차질을 빚자 진보성향 노옥희 울산교육감이 중재에 나섰지만 이 마저 무산됐다. (관련기사 : 울산 레미콘 파업에 학교공사 차질... 교육감 중재 통할까)

이들은 12일에도 기자회견을 열고 "레미콘제조사측의 운송비동결, 집단 계약해지, 조업중단(회사파업)으로 43일째 길거리로 내몰렸다"고 호소하며 최근 회사측이 대화는 커녕 더욱 압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근 17개 레미콘제조사들은 '레미콘공장에 주차돼 있는 레미콘차량을 다 끌고 나가라'는 내용증명을 일제히 (노동자들의)각 가정에 보냈다"며 "회사측이 '노조 지부장, 지회장, 상급단체와 대화할 수 없다, 적자, 매출감소로 과도한 인상안에 대해서 받아들일 수 없다. 울산의 운송비가 최고수준이다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각종 위법에 대한 폭로를 하겠다"고 예고했었다.

노동자들은 12일 최후통첩식으로 "레미콘제조사와 관련 계열사들(석산, 아스콘, 골재선별파쇄업 등)에 대한 불법, 위법사실과 노조탄압 담합행위도 폭로하겠다"고 벍힌 바 있다. 회사측의 반응이 없자 결국 13일 이같은 주장을 내놓은 것이다.

한편 레미콘 제조사측은 언론을 통해 "매출이 40% 가량 감소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영 악화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힘들다"며 "오히려 울산지역 레미콘 운송비가 다른 지역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태그:#울산레미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