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해피엔드> 포스터.

영화 <해피엔드> 포스터. ⓒ 그린나래미디어(주)

 
미카엘 하네케는 '거장'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몇 안 되는 현역 감독 중 한 명이다. 영화평론가를 하다가 연극, 텔레비전을 전전하고 한국 나이 48세에 비로소 장편영화에 데뷔했다. 올해로 데뷔 30주년, 그동안 10편 남짓한 작품을 만들었고 어느덧 80세에 이르렀지만 여전히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한다. 

그는 코엔 형제, 다르덴 형제, 켄 로치와 더불어 '칸'이 가장 사랑하는 감독으로 꼽힌다. 심사위원대상과 감독상, 황금종려상 2회 수상에 빛나는 미카엘 하네케는 작품을 통해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도 거머쥐었다.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중에서 각본상과 심사위원상만 타지 못했을 뿐, 다른 상은 모조리 수상 이력이 있는 셈이다. 

특히 지난 2009년 <하얀 리본>과 2012년 <아무르> 연속 황금종려상 수상은 더욱 놀라운 일이었다. 이후 일각에서는 "잇따른 수상으로 오히려 작품활동의 동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하기도 했다.

미카엘 하네케가 5년 만에 들고 나온 영화 <해피엔드>는 어떨지 궁금했다. 원숙미의 끝을 보여주며 더할 나위 없는 예술로서의 영화를 만들었을까. 시도해보지 않았고 못했던 새로운 것을 찾아 실험정신을 발휘해 영화를 만들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해피 엔드>는 후자에 가까웠다. 

파편화되고 단절된 가문
 
 파편화되고 단절된 프랑스의 어느 가문을 중심으로. 영화 <해피엔드>의 한 장면.

파편화되고 단절된 프랑스의 어느 가문을 중심으로. 영화 <해피엔드>의 한 장면. ⓒ 그린나래미디어(주)

 
프랑스 칼레, 지방 유지이자 건설업 부자 '로랑' 가로 13살 여자아이 에브가 들어온다. 그곳에는 최연장자이자 로랑 가문의 건설회사를 일으킨 조르주, 조르주의 뒤를 이어 CEO로 활동 중인 앤, 에브의 아빠이자 외과의사 토마스, 앤의 아들이자 가문과 회사의 유일한 후계자 피에르가 있다. 토마스의 전 부인이자 에브의 엄마는 약물과다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게 된 것이다. 다름 아닌 에브가 저지른 일이다. 

식사 때면 어김없이 모여 함께 밥을 먹는 가족들, 하지만 이들은 지극히 단절된 삶을 살고 있다. 조르주는 몇 번이나 자살을 결심하고 실행에 옮겼지만 실패했고, 앤은 무너진 공사 현장 뒷수습을 매정하게 진행하는 등 비인간적인 면모를 보인다. 토마스는 잘 나가는 외과과장이지만 두 번째 결혼임에도 바람을 피우는 듯 보인다. 또 피에르는 가문과 회사의 후계자로서 그에 걸맞는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피를 나누고 함께 살며 밥을 먹지만 서로를 잘 모르는 듯하다. 아니, 서로를 알고 싶은 마음이 없는 것 같다. 그러다 보니, 가족의 일원이자 가문의 일원인 에브를 향한 시선도 무관심에 가깝다. 와중에 최연장자 조르주와 가장 어린 에브는 '죽음'이라는 매개체로 조금씩 가까워지는 것 같다. 그럼에도 이 영화가 '해피'한 '엔드'를 이룰 것 같진 않다.

파편 그리고 SNS
 
 영화의 메인 키워드는 '파편'이라 할 수 있다. 영화 <해피엔드>의 한 장면.

영화의 메인 키워드는 '파편'이라 할 수 있다. 영화 <해피엔드>의 한 장면. ⓒ 그린나래미디어(주)

 
영화 <해피엔드>는 누가 보든 '이게 뭐지?'라는 생각을 계속 들게 만든다.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여러 가지 메시지가 복잡다단하게 깔려 있다. 영화를 보기 전과 보는 도중과 보고 난 후에 드는 생각이 전혀 다를 테고, 같은 캐릭터와 사건과 장면을 보면서도 저마다 해석이 다를 테다.

영화는 다소 불친절하게 느껴졌다. 앞뒤 내용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아, 맥락 있는 이야기로 감상하기 쉽지 않다. 그 덕분에 관객 입장에서는 영화를 더 깊이 들여다보게 되지만, 집중하지 않으면 자칫 영화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영화는 로랑 가문 구성원들을 파편적이고 단절된 모습으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이러한 영화의 불친절한 구성이 영화 내용과 재미있게 연결된다는 느낌을 준다. 이들이야말로 현대 사회의 대다수를 구성하는 중류층의 표본이 아닐까. 그들은 오직 자신밖에 모르며 다른 모든 것에 무관심하다. 남들에게 즐거워 보이는 데만 신경 쓰고 있다. 불친절한 구성은 이러한 메시지를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식인 것 같기도 하다.

이러한 메시지는 영화 속 'SNS'라는 소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영화 초반 에브의 라이브 영상을 통해, 영화 중반 토마스의 채팅 장면을 통해, 후반 다시 에브의 라이브 영상을 통해 감독은 SNS의 특성과 폐해를 다룬다. 우린 SNS를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접한다. 그것이 극단적이고 파괴적인 모습을 띄고 있더라도 말이다. 또 한편, 우린 SNS를 통해 당사자와 제3자간의 소통을 경험한다. 그러나 아직 성장기의 청소년에게는 때때로 SNS가 각종 윤리적인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영화에도 이를 지적하는 듯한 내용이 등장한다.

현대사회의 부정적 단면
  
 현대사회의 부정적 단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화 <해피엔드>의 한 장면.

현대사회의 부정적 단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화 <해피엔드>의 한 장면. ⓒ 그린나래미디어(주)

 
사실 많은 영화들이 현대 사회의 부정적 단면을 통해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하려 한다. 이제는 너무 익숙해진 탓일까. 그래서 사회 비판적인 영화를 본다고 해도, 그것이 곧바로 변화에의 의지로 연결되기는 쉽지 않다. 너무 많이 접하다 보니 무뎌진 것 같기도 하다.

영화 <해피엔드>는 날카롭거나 집요하게 파고들진 않는다. 광범위하게 우리 사회를 들여다 보는 수준이다. 또한 평면적으로 다가가는 게 아니라 입체적으로 다가간다. 소재와 주제, 구성 및 전달 방식, 캐릭터와 사건 요소 등 모든 면에서 입체적이다.

영화 속 조르주는 미카엘 하네케의 전작 <아무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조르주는 손녀 에브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에브의 기억 속엔 없는 할머니, 조르주의 부인 안느가 반신불수가 된지 3년이 지나고 더 이상 어찌할 도리가 없자 직접 목을 졸라 죽였다는 것이다. 그는 사랑이었다고 말한다. <아무르>가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물으며 사람과 사람의 촘촘한 관계를 파고 들었다면, <해피엔드>는 진정한 사랑이 지나고 난 이후 삶을 논하며 사람과 사람의 느슨해진 관계를 보여주는 듯하다.

극단적으로 파편화된 세상에서는 극단적인 사랑법이야말로 그나마 효과가 있을지 모른다. 왠만한 극단에는 이미 적응되고 무뎌져버린 지금이 아닌가. <해피엔드>를 계기로 한 번쯤 우리와 우리 사회를 들여다보았으면 한다.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형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 singenv.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미카엘 하네케 해피엔드 파편과 단절 SNS 현대사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