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늘은 영도의 대평동 마을과 깡깡이 마을을 다녀왔다. 메스컴에서도 종종 소개가 되고 있을 만큼 영도는 현재 핫플레이스다.

남포동을 지나 우리나라 유일의 개도교인 영도대교와 남항대교가 맞닿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버섯모양의 마을이다. 예로부터 수리조선소로 알려져 있고 "대평동에 가면 못 고치는 배가 없다"고 할 만큼 수리조선업이 발달했었다.

19세기 후반에 우리나라 최초로 발동기선 선박을 만든 "다나까 조선소"가 들어서고 지금은 10여 곳의 수리소와 200여 개의 공업사가 남아 있다고 한다.

또한 깡깡이마을에는 이북마을로 불리는 곳도 아직 남아있다. 피난시절 이북에서 부산으로 내려온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인데, 채 5평 남짓한 쪽방촌이 대부분이었고, '깡깡이 아줌마'로 불린 대다수가 이북마을 주민이었다고 한다.
 
깡깡이 마을 곳곳에는 선박 부속품인 닻과 그것을 활용한 예술 조형물들을 만날 수 있다
▲ 시간이 멈춘 닻 깡깡이 마을 곳곳에는 선박 부속품인 닻과 그것을 활용한 예술 조형물들을 만날 수 있다
ⓒ 박미혜

관련사진보기

 
이들은 1937년 영도에서 시작된 철강선 건조와 수리에 처음 동원되었다. '깡깡이'라는 말은 선박을 수리할 때 도장 전에 외판에 낀 녹을 벗겨내기 위해 망치로 두드릴 때 나는 소리를 표현한 말이다. 그렇게 '깡깡이 아줌마'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전성기 때만 해도 대평동은 약 300명이 거주할 정도로 활력이 넘치는 마을이었는데 80년대 후반부터 대형선박의 수리 방법이 바뀌면서 일감을 잃은 주민들은 생업을 잇기 위해 자갈치 시장 등으로 나아갔다고 한다. 

지금의 대평동은 오래전 대풍포 마을로 불리던 곳이다. 대평도 일대는 갑정(岬町)이라 하고 갑(岬)은 "산허리 또는 바다로 뾰족하게 내민 땅"이라는 뜻이다. 매축되기 전 지역적 특색을 따른 것으로 대풍포(待風浦)는 "바람을 기다리는 곳"이다.

즉 조선통신사 시절 바람을 기다리는 곳이고, 또 바람이 기운차게 일어나는 의미로 풍발포(風發浦)라 했다고 한다. 1887년 다나까 조선소가 들어서면서 일본 조선업체들이 대풍포에 매립된 전용선착장을 요구하자 조선 정부가 이를 허락하고 1916년 -1926년 현재 조선공사와 영도대교 사이를 오오자와는 4200평을 매립하자 "갑정"이라 하고, 영도 대풍포 매축지비가 세워졌다. 해방 이후 1947년 동명정리 때 파도와 바람이 잔잔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풍(風)을 평(平)으로 바뀌어 오늘날 대평동(大平洞)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듯 근현대사의 한 획을 그었던 깡깡이마을과 대평동일대는 2015년 부산시 문화 예술형 도시 재생 프로젝트로, 마을 전체가 역사 기록물과 조화를 이루는 관광지로 탈바꿈이 되어 있었다. 그 시절을 알 수있는 깡깡이 마을 박물관과 마을 공작소, 선박체험관 등을 만들어 놓아 타지역과 외국 관광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마을 곳곳을 다녀보면 아직도 그 흔적들을 알 수 있는 집과 골목들, 그리고 선박의 부속물들을 만날 수 있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마을
 
대평동 마을 골목에서 만난 빨랫줄
▲ 그리움이 걸린 빨랫줄 대평동 마을 골목에서 만난 빨랫줄
ⓒ 박미혜

관련사진보기

 
그 좁은 골목에서 내 발걸음을 멈추게 한 것은 담벼락에 있던 빨랫줄이었다. 아주 오래전에는 골목마다 볼 수 있었던 풍경이었는데. 그 골목과 빨랫줄의 주인공 어르신은 그 시절 이야기를 어떻게 담아두고 계실까. 

마직막으로 들른 곳은 일본식 건물 그대로 남아 있는 "양다방". 개도 만원 권을 물고 다녔다는 전성기 때는 양다방 마담들이 선원들의 구직과 취업을 알선해 주었고, 때로는 선원들의 비서 역할을 해왔다고 한다. 또한 원양어선을 타고 떠나는 선원들은 먼 거리에 있는 고향에 다녀 올 수 없어 자기가 번 목돈을 맡겨두기도 했다는 동네 어르신의 이야기를 들었다. 지금 시대에는 상상을 할 수 없는 이웃간의 정이고, 믿음이다.

동네 사랑방 역할과 은행 역할, 상담소 역할을 했던 양다방 건물이 아직도 있다는 것만으로도 깡깡이 마을은 현재 진행형이란 생각을 한다. 과거와 현재를 잇고, 또 다른 현재의 모습을 간직하고 미래로 가는 교각 역할말이다.

덧붙이는 글 | 부산 갈맷길 저자이신 문태광 문화해설사님의 자료 및 고증을 바탕으로 쓴 글입니다.


태그:##깡깡이, ##대평동 마을, ##다나까 조선소, ##영도대교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삶의 기억은 기록할 가치가 있다는 생각과 그 기록들을 잘 담고 후세에 알려줄 시간과 공간을 만드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