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운동 경기뿐만 아니라 인생에도 하프타임이 필요한 순간이 있습니다. 삶의 전반전을 마치고 후반전을 준비하는 50대 남성의 이야기입니다.[편집자말]
다들 공무원인 친구를 부러워했다. 그래서 술값 계산하라고 헸더니 "야, 공무원도 예전 같진 않아."
 다들 공무원인 친구를 부러워했다. 그래서 술값 계산하라고 헸더니 "야, 공무원도 예전 같진 않아."
ⓒ pxhere

관련사진보기

 
지난 주말 초등학교 동창회가 있었다. 사실 내가 다닌 시절에는 국민학교로 불렸다. 나와 내 친구들은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뀔 즈음 사회에 진출해서 지금은 50대를 훌쩍 넘어 중반으로 달려가고 있다.

대화의 주제는 언제나 그렇듯이 가벼운 안부로 시작해서 자녀들 근황으로 넘어갔다. 누구 아들은 졸업반인데 벌써 취업이 결정됐다느니 누구 딸은 이번 가을에 결혼한다느니 하는. 공식 자리를 마치고 친한 친구들끼리 따로 모여 마음속에 가뒀던 얘기를 터뜨렸다.

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쭉 함께 다닌 남자친구들과 자리를 함께했다. "요즘 어떻게 지내?" 혹은 "별일 없지?" 아마도 청년 시절부터 나눴던 평범한 안부 인사일 텐데 요즘엔 다들 대답이 진지했다. "야, 말 마라. 힘들어 죽겠다." 직장인이든 자영업을 하든 사업을 하든 대답이 모두 그랬다.

직장에 다니는 친구는 사업(혹은 자영업)을 하는 친구를 부러워하고, 사업(혹은 자영업)을 하는 친구는 직장에 다니는 친구를 부러워한다. 부러운 이면에는 불안한 마음이 숨어있는 것 같았다. 대기업에 다니든 그보다 작은 기업에 다니든 자기 자리가 언제까지 보장될지 불안해하고, 사업을 하든 자영업을 하든 끝없는 경쟁이 불안하기만 한 듯하다.

그래서 다들 공무원인 친구를 부러워했다. 그래서 술값을 계산하라고 했더니 "야, 공무원도 예전 같진 않아" 한다. 예전 같지 않아도 친구들은 부럽다는 표정이었다.

인생, 전반전과 후반전으로 나뉜 경기

나와 내 친구들을 포함한 50대의 많은 남자는 불안감에 젖어 살아가고 있다. 물론 그렇지 않은 50대 남자도 있겠지만. 왜 많은 이들이 불안해할까? 앞으로의 삶이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흘러갈 것이라는 불확실성 때문은 아닐까? 우리가 사회에 진출할 때 막연하게 기대했던 것과 다른 현실을 보게 될지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에.

우리가 봐왔던 할아버지와 아버지 세대의 삶을 돌아보자. 그 시대에는 은퇴하면 2세들이 노후를 지탱해줬다. 2세들을 어릴 적부터 양육하고 학교에 보내어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보살핀 이유가 노후를 위한 암묵적 계약이었음을 우리네 아버지, 할아버지의 삶을 보며 자연스럽게 배웠다. 당연히 우리도 그래야 한다는 의무로 깨달았고.

그런데 지금 사회 분위기는 이전 세대와는 다르다. 은퇴를 하더라도 내가 나를 경제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게 대다수 우리 세대에게 닥친 미래일 것이다. 부모와 배우자는 물론 어쩌면 학자금 부채에 시달리며 변변한 직장도 얻지 못하는 자녀들까지. 결혼으로 독립시키기는커녕 자녀와 함께 늙어 갈 수도 있다. 물론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당신의 미래에 벌어지지 말란 법 또한 없다.

이런 불안한 시절에 경제 시스템 바깥으로 밀려난다면 어떤 심정이 될까? 그것도 아무런 준비도 없이 밀려난다면?

우리 인생을 전반전과 후반전으로 나뉜 운동 경기로 비유한다면 지금까지 교육받고, 취업하고 혹은 사업하며 살아온 인생은 전반전이라고 할 수 있다. 운 좋은 직장인이나 사업가는 그 기간이 훨씬 더 길어질 수도 있겠지만 많은 사람이 50대 즈음에 밀려 나오기 시작한다. 원하든 원치 않았든 전반전이 끝나 버리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일부는 그동안의 경력을 바탕삼아 재취업을 하거나 사업에 뛰어들기도 하겠지만 모두가 그렇게 되지는 않는다. 퇴직금을 곶감 빼먹듯 하기보다는 뭐라도 하기 위해서 치킨집이나 커피숍 여는 걸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을 테다.

그 뭐라도 할 수 없는 사람들은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공백기를 겪기도 한다. 그 공백기가 어떤 이에게는 방황기가 될 테고 어떤 이에게는 눈에 보이지 않는 적과 싸우는 분투기도 될 테다. 그리고 어떤 이는 곧 시작될 인생 후반전을 위한 준비 시간으로 삼기도 할 거고.

내 인생의 하프타임
 
나 또한 인생의 후반전을 앞두고 하프타임을 보내고 있다.
 나 또한 인생의 후반전을 앞두고 하프타임을 보내고 있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우리 아버지나 할아버지 세대는 전반전이 끝나면 은퇴자로 살았다. 그들이 2세나 3세 보는 낙으로 혹은 소일거리에 만족하며 사는 게 후반전이었다면 지금은 전반전 못지않게 치열하게 뛰어야 하는 후반전이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그 후반전은 무척 길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전반전을 뛰면서도 에너지를 미리 분배해두고 전반전 마치면 후반전 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 이렇듯 전반전과 후반전을 이어주는 하프타임은 매우 중요하다. 후반전의 성패를 가를 수도 있다.

운동 경기에서는 하프타임에 전반전을 복기하며 후반전을 준비한다. 전반전이 좋았어도 작전에 약간의 변화를 주면 훨씬 활기차진다. 만약 전반전이 뜻대로 풀리지 않았다면 새로운 작전으로 후반전을 준비하면 된다. 물론 그 작전이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지만. 때론 전반전에 너무 지쳐서 그냥 쉬다가 후반전이 닥치면 그냥 들어갈 수도 있다. 자칫하다간 다쳐서 후반전을 망치거나 좋은 기회를 못 살리곤 푹 쉬게 될 수도 있지만.

인생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전반전 마치고는 공백기에 뭔가 열심히 준비하거나 너무 지쳐서 그냥 쉬거나. 혹은 후반전이 닥치면 그냥 닥치나 보다 하거나. 그렇지만 후반전의 성패를 가르는 이 중요한 시간을 공백기로만 보내지 말자. 오히려 전반전보다 멋진 후반전을 치르는 원동력으로 하프타임을 활용해 보면 어떨까?

나 또한 인생의 후반전을 앞두고 하프타임을 보내고 있다. 지금 이후의 삶을 지나온 전반전과는 다른 삶으로 살고 싶어서 여러 가지로 노력 중이다. 

몇 년 전, 오십을 앞두고 정책대학원에 입학했다. 당시 입법 관련 업무에 참여하게 됐는데, 업계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학술적으로 연구하고자 새로 공부를 시작한 것이다.

대학원에서 얻은 건 학위뿐만이 아니었다. 내가 책 읽기와 글 쓰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덕분에 앞으로 글을 써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만이 쓸 수 있는 글이 있기도 했고, 나이가 들어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판단했다. 그렇게 글을 쓰기 시작했다. <월간문학>에서 수필로 신인 작품상을 타며 등단했고, <오마이뉴스>에도 글을 꾸준히 보냈다.

1년 조금 넘게 글을 쓰니 반응이 있었다. 지난해 쓴 글들은 출판을 권유받기도 했고, 한 인터넷매체에서는 '강대호의 책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북 칼럼 연재를 시작하게 됐다. 지금은 내가 즐겨 읽던 동화를 쓰겠다는 꿈을 키우며 동화작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이번에 시작하는 '내 인생의 하프타임' 연재도 그런 노력 가운데에서 나오게 됐다.

앞으로 올릴 글들은 처음엔 내 이야기로 시작하겠지만 결국은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내 또래 남자들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지금 하프타임을 보내고 있거나 앞으로 준비할 사람들의 이야기.

좀 더 들어가서 사회 현상을 돌아보며 우리 또래가 사회에서 어떤 지위를 가졌는지 돌아볼 예정이다. 중앙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이나 제도는 어떤 것이 있는가도 살펴볼 예정이다. 기회가 닿는다면 정책 제안까지 해 보는 게 목표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누군가에게 조금이라도 필요한 글이 됐으면 하는 게 가장 큰 바람이다. 연재될 글들을 그 누군가가 읽고 힘을 얻는다면 더없이 보람 있는 일이 아닐까.

덧붙이는 글 | '내 인생의 하프타임'은 격주 수요일에 연재됩니다. 이 기사는 기자의 블로그에도 실립니다.


태그:#내 인생의 하프타임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50대 중반을 지나며 고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봅니다. 내가 나고 자란 서울을 답사하며 얻은 성찰과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