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까맣게 전소된 속초 농아인 교회의 모습.
▲ 속초 농아인 교회 새까맣게 전소된 속초 농아인 교회의 모습.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트럭이 녹아내려 바닥에 들러붙었다.
▲ 농아인 교회 앞 전소된 차량 트럭이 녹아내려 바닥에 들러붙었다.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전쟁이 난 것 같았습니다."

속초 농아인 교회의 이원훈(73) 목사. 그는 거대한 산불이 덮친 그날을 이렇게 기억했다. 이 목사는 농인이다. 

"빨간 불이 휙휙 날아다녔어요." 

통역사를 통해 전달된 말은 정돈되어 있었지만, 이 목사의 긴박한 표정과 손짓엔 산불 당시의 현장이 생생했다. 이 목사는 이번 산불로 교회가 전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검게 그을린 교회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파괴된 모습이었다. 건물 옆엔 노란색 트럭이 녹아내려 바닥에 들러붙었다. 당시의 참혹함을 보여주는 듯했다. 화재가 난지 10일이 지났음에도 탄내가 진동했다. 바닥엔 빈 소화기만이 남아, 화마와 싸우던 당시의 흔적을 말해주고 있었다.
 
수어통역이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하는 이원훈 목사(좌)
▲ 속초 농아인 교회 이원훈 목사(73) 인터뷰  수어통역이 없어 답답하다고 토로하는 이원훈 목사(좌)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화상통화로 상황 전파"

이원훈 목사는 재난 문자를 통해 산불 소식을 처음 접했다. 속초 농아인 교회에는 7~10명 정도의 농인들이 소속돼 있다. 이 목사는 교인들의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 통화를 걸었다.

"직접 높은 곳에 올라가 불길을 눈으로 봤습니다."

이 목사는 화재 상황을 직접 확인했다고 한다. 뉴스가 나오긴 했지만, 그저 불타는 현장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했다. 이 목사에겐 도움이 될 만한 정보가 없었다. 늦은 오후, 산불은 속초 시내 쪽으로 번져 왔다. 이 목사는 교회가 타고 있다는 소식을 지인이 보내준 카카오톡 메시지를 통해 접했다. 다음날 아침 이 목사는 완전히 전소된 교회를 마주했다.

"다행히 모두가 괜찮았습니다."

이 목사가 계속 대피를 지시한 끝에 속초 농아인 교회의 교인들은 무사할 수 있었다.
 
인터뷰에 응한 이유란 통역사(좌)와 조연주 센터장(우)
▲ 속초 수화통역센터 인터뷰에 응한 이유란 통역사(좌)와 조연주 센터장(우)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새벽 2시까지 수화로 상황 전달"

속초 화재 당시, 바쁘게 움직였던 건 이원훈 목사만이 아니다. 속초시 수어통역센터도 긴급하게 움직였다.

"새벽 2시까지 수화로 상황을 전달했어요."

조연주(48) 속초시 수어통역 센터장의 말이다. 산불이 난 급박한 상황에서 불이 났다는 외침이나, 전화와 같은 음성 정보들은 농인들에게 전달되기 어렵다. 수어통역센터(이하 센터)가 당일 긴박하게 대응에 나선 이유다. 센터에 등록된 농아인들 사이엔 영상통화가 가능한 전화기가 있다. 전화가 오면 설치된 조명기기를 통해 빨갛게 불이 들어온다. 센터는 화상전화기를 통해 4~5명의 직원들과 함께 속초시의 농인들에게 상황을 전파했다.
 
농인들이 사용하는 화상전화기.
▲ 화상전화기 농인들이 사용하는 화상전화기.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빨간 부분에 번쩍번쩍 불이들어와 농인들에게 화상 전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 화상전화 알림장치 빨간 부분에 번쩍번쩍 불이들어와 농인들에게 화상 전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뉴스는 그다지 도움 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급박했던 건 산불 당시에 화재로 통화가 끊기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농인들이 재난방송을 보면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TV를 보고 상황을 알 수 있지 않았냐'라는 물음에 조연주 센터장은 고개를 저었다. 실제로 5일 당일 저녁 뉴스는 단 한 곳도 수어번역이 없었다. 불길이 이미 어느 정도 잡힌 다음날 아침에서야 시작됐다.

'자막은 있지 않았냐'는 질문에도 고개를 저었다. 청각장애인들은 한국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수어와 한국어는 언어체계가 달라 배우기 어렵다. 더군다나 속초의 농인들은 무학이 많다. 때문에 뉴스 자막은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다. 당일 뉴스 보도가 시각적으론 불이 난 화면을 송출하는 것에 불과했던 것도 문제였다. 농인들에게 뉴스에서 얻을만한 정보는 '불이 났다'는 사실뿐이었다.

"재난 상황에서 소외된 농인들"

강원 산불 이전에도 재난방송엔 수어통역이 부족했다. 2년 전 포항 지진 때도 마찬가지였다. 한국 농아인 협회를 비롯해 장애인 시민단체들은 재난 방송에서 수어통역의 필수 도입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하지만 변하는 건 없었다.

현재 방송법은 수어통역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용성이 떨어진다. 전체 방송의 5%만을 규정하고 있다. 하루 24시간 중 72분에 불과하다. 그뿐만 아니라 뉴스에 나오는 수어통역 화면 크기도 매우 작다. 우리나라 방송에선 수어통역이 오른쪽 하단에 동그랗게 존재한다. 그러나 너무 작아서 알아보기 힘들다. 이원훈 목사도 "너무 화면이 작아서 알아볼 수가 없다"고 가슴을 치며 불만을 토로했다.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인 흔적이 남아있다.
▲ 속초 산불 현장에 남아있는 소화기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인 흔적이 남아있다.
ⓒ 함민정

관련사진보기

 
산불로 인해 100ha가 넘는 면적이 불탔다. 1600여 건의 주택과 공공시설이 피해를 입었다. 불길이 어디로 갈 지 모르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산불 진행 상황을 알려주고 대피를 돕는 시스템이 절실했다. 하지만 국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도입된 '재난보도'는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 특히 재난보도는 농인에게 더욱 불친절했다. 수어체계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그들에게, 수어통역 없는 보도는 '불구경'에 불과했다. 허술한 재난보도 체제에서 속초 농인들은 스스로 목숨을 지켜야 했다.

태그:#수어통역, #재난보도, #강원산불, #속초, #농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