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제주들불축제를 다녀왔습니다.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1997년부터 시작되어 22회째 맞는 들불축제는 제주의 옛 목축문화 '방애'(액을 막는 행위의 제주말)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만든 축제입니다.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제주농가는 1980년대 전만 해도 보통 2, 3마리의 소를 기르며 밭을 경작하고, 수확한 농산물을 밭에서 집으로 또는 시장으로 운반하는 노동력으로 삼아 왔습니다.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농한기에는 마을마다 양축농가들이 윤번제로 서로 돌아가며 중산간 초지를 찾아다니며 방목 관리하던 풍습이 있었는데요. 이때 소와 말 등 가축 방목을 위해 중산간 초지의 해묵은 풀을 없애고,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늦겨울에서 초 봄 사이 목야지 들판에 불을 놓던 것이 '방애'입니다.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방애'를 하면 중산간 일대는 마치 들불이 난 것처럼 보이는데 그 장관을 축제로 형상화시킨 것이지요.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들불축제는 초창기만 하더라도 장소가 들쑥날쑥 했습니다. 장소는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와 동부지역 구좌읍 덕천리 중산간을 오가며 개최되었지만, 이후 축제장을 고정화해야 한다는 여론에 의해 2000년부터는 새별오름으로 정해졌습니다. 안 그래도 유명한 새별오름의 억새를 태우게 된 것이죠.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올해는 4일 간의 축제(7일~10일)기간 중 주말에 비가 왔습니다. 들불축제의 클라이맥스인 새별오름 불놓기는 토요일 9일 저녁에 진행되었는데, 점심부터 꽤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덕분에 많은 이들이 이렇게 비가 오는데도 불놓기가 가능한지 물어봤다는.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그러나 그 빗속을 뚫고 올해도 어김없이 새별오름은 불타올랐습니다. 비록 장대비에 오름 전체로 불이 쉬이 번지지는 않았지만, 수 만 명의 관광객이 지켜보는 앞에서 불꽃놀이와 함께 새별오름이 불타는 모습은 말 그대로 장관이었습니다.

뜨거운 열기에 내리는 비로 인한 추위도 까맣게 잊을 정도였지요. 이글이글 타오르는 불을 쳐다보는 아이들의 초롱초롱한 눈망울. 아마도 그것이 프로메테우스를 움직인 원동력이었을 것입니다.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올해 제주들불축제는 아쉽게도 비 때문에 9일에 일찍 막을 내렸지만, 축제는 앞으로도 계속 될 것입니다. 한 애 액운을 태우고 싶으신 분들은 내년 3월 제주 새별오름에 주목하시기를.
 
ⓒ 이희동

관련사진보기




태그:#모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