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무위당 장일순 선생
▲ 장일순 선생 무위당 장일순 선생
ⓒ 무위당 사람들

관련사진보기

1979년은 한국현대사의 변곡점이었다.

긴급조치로 포장된 폭압통치는 제1야당 총재 김영삼을 국회에서 제명하고, 이에 저항하여 봉기한 부마항쟁은 마침내 박정희 통치 18년의 1인지배 체제에 종언을 불러왔다.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박정희와 경호실장 차지철을 궁정동 안가의 비밀요정에서 역순으로 총격을 가해 절명시켰다.
 
박정희는 죽었지만 그가 남긴 악의 뿌리는 함께 제거되지 않았다. 군사독재의 유재는 한국사회 도처에 겹겹이 쌓여있었다. 무엇보다 권력에 맛을 들여온 정치군인들이다. 하나회라 불리는 이들은 박정희의 친위사단에 속하는 정치군인들이었다. 이들의 존재로 하여 10ㆍ26사태 이후 '서울의 봄'은 곧 안개정국에 덮히고, 민주화를 바라는 국민은 다시 불안감에 쌓였다. 
 
장일순은 10ㆍ26사태에 비교적 담담했다.
자신의 청춘을 짓밟고 이상을 꺾고, 그것도 모자라 3년의 투옥과 가산을 털어 세웠던 학교를 빼앗기고, 교육사업에서 추방, 이후 사회안전법의 규제 등 그동안 당한 설움과 아픔으로 말할 것 같으면 그의 죽음에 덩실덩실 춤이라도 췄을 것이지만, 오히려 담담한 심경이었다. 
 
장일순은 그 시기 세속의 권력자나 자신이 당한 고난과 같은 속사(俗事)에서 상당히 초월해 있었다. 그렇다고 무슨 도사이거나 성인이 되었다는 뜻은 아니고, 정신적으로 그만큼 성숙해진 것이다.

묵혀 두었던 글씨를 다시 쓰게된 계기가 박정희 때문이었다고 술회할 만큼 마음의 넓이가 깊어졌다. 『노자』를 꾸준히 배우고 해월을 익힌 까닭일 터이다. 

"내 맑은 난은 박정희로부터 왔지
(정란유래정희공:(淨蘭由來正熙公)
원한 관계를 원한으로만 생각하면 안 돼.
그렇게 되면 자신이 너무 초라해지고 추해져.
박정희 씨가 아니었으면
내가 먹장난을 다시 시작하지 않았을 게야.
박정희라고 하는 탄압이 없었으면
난초가 생길 수가 없잖은가? 그래서 내 난초는 박정희 씨 덕이다. 그런 생각을 가끔 한다구." 
  
'일화와 함께 보는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이란 부제로 2004년 최성현님이 발간한 <좁쌀 한 알 장일순>
▲ "일화와 함께 보는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이란 부제로 2004년 최성현님이 발간한 <좁쌀 한 알 장일순> "일화와 함께 보는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이란 부제로 2004년 최성현님이 발간한 <좁쌀 한 알 장일순>
ⓒ 최장문

관련사진보기

장일순은 어떤 심적 동기가 있었던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1965년 37세 때부터 써오던 청강(淸江)이란 호를 박정희 사후 무위당(無爲堂)으로 바꾸었다.

푸른 한강을 보면 마음이 편해져서, 맑고 푸른 한강처럼 그렇게 살고 싶다고 하여 지었던 청강(淸江)이란 호를 바꾼 것이다. 
 
장일순은 이와 함께 조 한 알 이라는 뜻의 '일속자(一粟子)'를 호로 쓰고, 스스로는 이 아호를 가장 즐겨 사용하였다.
 
무위당은 하찮은 벌레나 풀잎보다 자신을 낮추곤 했다.
무위당의 여러 호 중에 '조 한 알(一粟子)'이라는 호가 있다.

"나도 인간이라 누가 추어주면 어깨가 으쓱할 때가 있지요. 그럴 때마다 내 마음을 지그시 눌러주는 화두 같은거야. 세상에 제일 하잘 것 없는 게 좁쌀 한 알 아닌가."

"내가 조 한 알이다 하면서 내 마음을 추스르는 거지."

이 호를 사용한게 바로 이런 이유에서였다.

자신을 낮추고 이웃을 섬기며 살겠다는 다짐을 의미하기도 했다. 1970년대 이후 사람들은 그를 무위당 선생으로 불렀으나 1980년대 이후 스스로는 조 한 알이란 호를 주로 사용했다.
(주석 1)
 
교재로 쓰고 있는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이다
▲ 교재로 쓰고 있는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이다 교재로 쓰고 있는 "무위당 장일순의 노자이야기"이다
ⓒ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장일순이 청강(淸江)에서 무위당(無爲堂)으로 호를 바꾼 것은 철학적인 성숙을 의미한다. 무(無)라는 말은 무(无)의 차자(借字)에 속한다. 무(无)의 원래 뜻은 『설해문자』에 따르면 "존재하던 어떤 것이 없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무(無)라는 말은 사상적 개념으로서는 전국시대 후기에 활동한 도가에서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이후 도가계열의 여러 사상에서 참된 실재인 도(道)의 하나의 성질(유의 부정) 및 나아가 도(道) 그 자체라는 의미로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장자ㆍ노자ㆍ열자 등 도가(道家)들은 도(道)를 우주의 원리로 보고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하였다. 장일순이 『노자』에 심취하면서 무위당으로 자호한 것은 이 같은 사상사의 흐름에 자신의 존재를 띄운 것이라 하겠다.

일반적으로 '청강'이 아웃사이더의 위치에서 사회개혁운동을 전개할 때, '무위당'은 세속을 뛰어넘으면서, '일속자'는 무위에서도 작은 존재 즉 민초의 역할을 자임하면서 취한 자신의 모습이다.  

주석
1> 김찬수,「장일순 선생의 호(號) 변천과정」, '무위당 사람들' 제공.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무위당 장일순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청강, #조 한 알, #일속자, #무위당, #장일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