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포스터. ⓒ CJ 엔터테인먼트


IMF 외환위기는 한때 우리 사회의 검은 유행어였다. 1997년 사상 초유의 경제 위기에서 한 집 건너 들려오는 흉흉한 소문은 때론 뉴스 시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불안에 떨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괴담이 아닌 현실, 당시 국민들은 정부의 금 모으기 운동 제안에 적극 동참했고, 언론에선 마치 국민이 과소비해서 혹은 경제문제에 둔감해서 위기가 커졌다는 식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위기가 지나간 후 우리는 어떻게 달라졌는가. 어쩌면 오는 28일 개봉할 이 영화, <국가부도의 날>이 좋은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커지는 위기감

영화 초반 자막을 통해 설명되듯 영화에 나오는 주요 인물과 사건 구성은 허구다. 지난 제작보고회에서 제작진이 밝힌 대로 영화는 'IMF 위기 당시 비공개 대응팀이 있었다'는 한 줄의 기사 문구에서 시작됐다. 상상 기반이지만 영화에 나오는 기업 도산 사태, 각종 경제 지표 등은 대부분 사실에 근거한 내용이었다.

사극이든 현대극이든 이미 결과를 관객들이 알고 대부분의 정보가 공개됐다는 점에서 구성과 변주의 미덕이 제1의 관심사긴 하다. <국가부도의 날>은 외환 위기가 현실화 되면서 부도 사태가 벌어지기 일주일 전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 CJ 엔터테인먼트


이야기는 총 네 개의 층위로 나뉜다. 위기를 감지하고 그전부터 꾸준히 경고성 보고서를 올리던 한국은행 통화정책 팀장 한시현(김혜수)과 그런 경고를 무시한 채 자신들의 안위를 생각하며 또 다른 음모를 짰던 정부 관료들(조우진, 김홍파 등), 명민하게 그 위기를 투자의 기회로 역이용한 전직 금융사 직원 윤정학(유아인) 무리, 그리고 성실하게 노동자로 자신의 일을 다하다가 길거리로 나앉게 되는 갑수(허준호)까지.

경제 위기라는 같은 상황에서 서로 다른 목표를 향해 달리는 네 그룹의 모습을 병렬로 나열하며 영화는 일종의 극적 구성을 담보했다. 일종의 옴니버스 구성으로 각 캐릭터들이 상황에 대처하는 장면에서 관객들은 저마다 몰입의 정도를 달리하며 영화를 관람하게 될 것이다. 큰 축은 한시현과 정부 관료지만, 감정적으로는 한시현에서 윤정학 혹은 갑수에게까지 몰입할 여지가 크다. 

최대 위기를 향해 내달리는 상황에서 영화는 네 그룹의 분량을 꽤 효과적으로 배분했다. 고군분투하는 한시현 팀이 번번이 막힐 무렵, 윤정학 그룹이 어떤 계획을 실행해가는지 궁금할 만한 때에 제시하는 식이다. 이 때문에 영화적 긴장감은 후반부로 갈수록 극에 달한다. 

결국 이 영화를 두고 관객의 평은 결말의 처리방식에서 갈릴 여지가 크다. 캐릭터와 구성력, 배우들의 연기는 흠잡을 곳이 없다. 다만 우리가 아는 그런 결말 이후, 그러니까 절망적 상황이 벌어진 이후 쌓여버린 감정적 에너지를 어떻게 해소시키느냐다. <국가부도의 날>이 선택한 방식은 어떤 작은 희망을 덧붙이는 것이었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 CJ 엔터테인먼트


뒤에 남는 어떤 씁쓸함

그런데 그 작은 희망에서마저 강한 쓴맛이 느껴진다. 한국의 경제적 체질마저 바꾸어버린 IMF 위기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고통을 직간접적으로 겪었는지 우리는 어느 정도 알고 있다. <국가부도의 날>에서 그린 작은 희망은 그저 정말 작은 실천 내지는 기대감에 그쳤는데, 어쩌면 이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강하게 던지려 하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그래서 영화는 무겁게 다가온다. 그 자체가 관람의 벽으로 작용하지 않길 바란다. 개인적으로는 <국가부도의 날>이 우리가 다 아는 그 결과가 아닌 정반대의 상상력을 발휘한 판타지 영화이길 바라기도 했다. 그랬으면 오히려 상영관을 나올 때 마음은 좀 더 가벼웠을지도 모른다. 
  
흥행만을 노렸다면 충분히 고려해봄 직한 선택임에도 영화는 너무도 우직하게도 예상 가능한 선택을 했다. 결국 남는 건 질문이고 오롯이 그건 관객의 몫이다. 이런 위기가 왜 일어났고, 정보는 어떻게 가려지거나 왜곡됐는가. 그때마다 우린 어떤 선택을 했는가. 이 질문들은 유효하다. 1997년 당시 신입생이었던 대학생들, 부모의 깊은 한숨을 지켜봐야 했던 아이들, 당사자로서 그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사투를 벌였던 수많은 노동자들, 아니면 다행스럽게도 그 위기를 체감하지 못한 또 다른 시민들에게까지.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영화 <국가부도의 날>의 한 장면. ⓒ CJ 엔터테인먼트


왜냐면 정부와 당시 결정권자들의 선택으로 지금의 경제환경이 결정됐기 때문이다. 좋든 싫든, 이 안에서 성공했든 실패했든 우린 여전히 대기업 친화적인 미국과 중국 등 경제 강국의 영향력 안에 놓인 현실임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 사건으로 꽤 많은 사람들이 돈과 삶을 대하는 가치관을 바꾸거나 크게 영향받았기 때문이다. 영화에서도 그 부분이 분명하게 묘사된다.

뒤에 남는 진한 씁쓸함으로 호불호가 갈릴 여지가 있지만 <국가부도의 날>이 이제껏 한국영화가 시도하지 않았던 경제 스릴러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는 동의해야 할 것이다.  

한 줄 평 : 지금 우리에게 필요했던 경제 드라마
평점 : ★★★★(4/5)

 
영화 <국가부도의 날> 관련 정보

각본 : 엄성민
연출 : 최국희
출연 :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뱅상 카셀, 김홍파, 엄효섭, 송영창, 권해효, 조한철, 박진주, 류덕환 등
제작 : 영화사 집
제공 및 배급 : CJ엔터테인먼트
크랭크인 : 2017년 12월 12일
크랭크업 : 2018년 3월 11일
관람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 114분
개봉 : 2018년 11월 28일
 
국가부도의 날 IMF 김혜수 유아인 조우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