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공공도서관은 세계 최고의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으로 손꼽히곤 한다. 또한 세계에서 문턱이 가장 낮은 도서관으로도 유명하고, 시민 누구나 자신의 잠재력과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소중한 공공장소이다.

과학‧비즈니스(Science, Industry and Business) 전문도서관, 공연 예술(Performing Arts) 전문도서관, 흑인 문화(Black Culture) 전문도서관을 비롯한 전문도서관이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90여 개의 지역 분관(Neighborhood Library)이 주민 밀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뉴욕 공공도서관을 들여다보면, 미국 사회의 창의적인 많은 성과들이 도서관 서비스에서 비롯했다는 사실, 도서관이 지식과 정보는 물론이고 각계각층의 시민을 연결하고 사회의 활력을 낳는 곳이라는 사실, 또한 도서관이 민주주의의 보루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마침 뉴욕 공공도서관에 관한 좋은 다큐멘터리가 나와 관심을 끈다. 더구나 공공장소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오며 공공성의 가치를 돌아보게 하는 프레더릭 와이즈만의 작품이다. 바로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다. 
 
 영화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포스터.

영화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포스터. ⓒ 영화사 진진


삼무(3無) 다큐멘터리... 주인공, 내레이션, 인터뷰

뉴욕 공공도서관*을 다룬 다큐멘터리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는 시종 도서관의 곳곳과 그곳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일들을 '보여주기만 한다'. 이 다큐멘터리에는 3가지가 없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다.

첫째, 주인공. 영화든 다큐멘터리든 보통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 만한 주인공을 정한다. 도서관이라면 당연히 사서를 주인공으로 삼을 수 있겠다. 이용자를 만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민 토론회를 준비하는 도서관 사서 말이다. 그러면 이야기가 전개되며 사건이 벌어지고 때로 갈등 장면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다큐멘터리는 주인공을 정하지 않았다. 여러 사서들을 보여줄 뿐 그들이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은 아니다. 감독은 의도적으로 보는 이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을 피해갔다. 

둘째, 내레이션. 다큐멘터리는 종종 내레이션을 사용하기 마련이다. 인물 소개, 상황 소개 등의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다큐멘터리는 도무지 내레이션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는 이가 알아서 보아야 한다. 

셋째, 인터뷰. 다큐멘터리에서는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인터뷰도 종종 활용한다. 그런데 이 다큐멘터리는 인터뷰도 하지 않는다. 도서관 관장이나 사서를 인터뷰하거나 도서관을 이용하는 시민을 인터뷰하지도 않는다. 

도서관에서 왜 다양한 강의나 워크숍을 개최하는지, 도서관이 어떻게 정보와 자료를 연결하여 문화 창조가 일어나게 하는지, 도서관이 민주주의 사회의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콕 집어 속시원하게 말하지 않는다.

이렇게 주인공, 내레이션, 인터뷰가 없는 이 다큐멘터리는 그저 도서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여주기만 할 뿐이다. 그러다 보니, 상영 시간이 약 3시간 30분이나 된다! 이 긴 시간 동안 관람자가 스스로 알아서 보고 알아서 듣고 알아서 의미를 구성해야 한다.

불친절하기 그지없는 몹쓸 다큐멘터리 아닌가! 대체 뭘 보여주려고 이런 걸까?

삼유(3有) 다큐멘터리 -시민, 다양성(포용성), 민주주의

대신 이 다큐멘터리에는 3가지가 있다. 첫째, 시민이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주인공을 정하지 않았는데, 도서관에서 주인공은 도서관을 드나드는 수많은 시민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카메라는 뉴욕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계속 보여준다. 

저자 강연회나 워크숍을 보여줄 때에도 강사의 모습을 비추는 만큼 시민의 모습을 세심하고 정성스럽게 담는다. 카메라는 강사와 시민을 계속 왔다갔다 하며, 시민의 소통을 주목한다. 이런 덕분에 '뉴욕의 시민들'이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이 된다. 결국, 이 다큐멘터리는 도서관의 주인이 바로 시민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다양성 또는 포용성이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도서관에서 일하는 사람과 이용자들이 무척 다양하다는 것, 또는 도서관은 사회 각계각층을 차별 없이 안을 수 있도록 품이 아주 넓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서관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있을 뿐만 아니라, 휠체어를 탄 직원도 있고, 심지어 노숙자(!)까지 고용한다. 사실, 뉴욕 공공도서관은 포용성이 높아 노숙자들이 좋아하는 곳이다. 도서관 운영 회의에서 노숙자의 자립에 도서관이 어떤 적극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지 토론하는 장면은 무척 인상적이다. 

카메라가 도서관 이용자들을 비추는 일에 꽤 신경 쓰는 덕분에 보는 이는 나이, 성별, 인종, 민족, 출신, 지위, 장애 유무 등에 관계 없이 시민 누구나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도서관에는 책을 읽는 사람, 옛 자료를 찾는 사람, 워크숍에 참여하는 사람, 토론을 하는 사람, 노트북이나 핫스팟을 빌리러 온 사람, 주제별로 이미지를 보러 온 사람, 학습 도움을 받는 사람, 장애인 서비스를 받는 사람, 수어를 배우는 사람, 사교 댄스를 배우는 사람, 움직이는 로봇을 만드는 사람 등 무척 다양한 이용자들로 북적인다.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뉴욕 공공도서관은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이들로 북적인다.

▲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뉴욕 공공도서관은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이들로 북적인다. ⓒ 홍보 스틸컷

  
셋째, 민주주의가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도서관은 배제되는 사람 없이 누구나 자유롭고 평등하게 정보와 지식을 이용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통하고 토론하며,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사회 공동체에 활력을 제공하는 장소이라는 점을 나직하게 보여준다. 

특히 공론장으로서 도서관의 모습이 드러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장면이 바로 도서관 '마당'에서 '연설'을 하는 장면이다(도서관 로비의 리처드 도킨스 강의). 이는 민주주의의 상징적인 장면으로, 고대 그리스 아고라에 시민이 모이고 연설하는 장면이 오버랩되지 않을 수 없다! 

마지막 장면도 시민 토론회다. 인종 차별에 관한 토론이다. 공교롭게도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에서 뽑을 수 있는 키워드가 '시민', '광장', '토론' 정도가 된다. 다큐멘터리에서도 "도서관은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기둥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인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다큐멘터리가 트럼프 집권 시기에 나왔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도 있다. 트럼프 정부는 다양성과 포용성의 가치를 훼손하고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려 한다는 의심을 받는다. 이런 시기에 감독은 공공도서관은 시민, 다양성(포용성), 민주주의가 있는 곳이라는 사실을 나직하지만 도도하게 보여준다. 

공공장소인 도서관에서 공공성의 가치를 묻다 

프레더릭 와이즈만은 그동안 공공성의 가치를 돌아보게 하는 작품을 선보여왔다.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도 마찬가지 고민을 안긴다.

특히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공공장소임에도 장소가 사유화되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즉 개인의 출세를 위해 시험 공부를 하는 이들이 장소를 점유하고 있다. 도서관의 상당 공간을 차지하는 이른바 '공부방 말이다. 도서관이 지식과 정보를 나눔으로써 공익을 추구하는 장소가 아니라, 개인의 출세를 위한 사익 추구의 장소로 전락한 것이 아닌가. 이는 도서관에 대한 심각한 왜곡을 낳고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이 진정 공공성을 지니려면 사회의 차별과 배제를 극복해야 한다. 우리의 공공도서관은 시민이 주인인 장소인가? 공공성과 공익을 추구하는 장소인가? 다양성을 포용하는가? 민주주의의 기둥 역할을 하고 있는가?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참고로, 이 다큐멘터리는 뉴욕 공공도서관을 소개하는 책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스가야 아키코 지음)과 함께 보면 더욱 좋다.

---------------------
*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한글 번역 자막에는 뉴욕 '공공'도서관(Public Library)이 뉴욕 '공립'도서관으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뉴욕시가 만든 도서관이 아닌,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니는 NPO가 운영하는 도서관이다. 따라서 공립도서관이 아닌 공공도서관이 어울리는 번역이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뉴욕 공공도서관이라고 부른다.
덧붙이는 글 서상일 기자는 도서관 사서입니다.
뉴욕 라이브러리에서 프레더릭 와이즈만 공공도서관 다양성 민주주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1년 9월, 이달의 뉴스게릴라 선정 2002년, 오마이뉴스 2.22상 수상 2003~2004년, 클럽기자 활동 2008~2016년 3월, 출판 편집자. 2017년 5월, 이달의 뉴스게릴라 선정. 자유기고가. tmfprlansghk@hanmail.ne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