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동네주민들에게 친근한 공간이 된 의릉.
 동네주민들에게 친근한 공간이 된 의릉.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서울 은평구 연신내역와 중랑구 봉화산역을 오가는 6호선 전철 안에는 역별 대표 여행지가 소개돼 있다. 그 가운데 성북구 돌곶이역의 명소 '의릉'이 눈길을 끌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된 40기의 조선 왕릉(북한에 2기) 가운데 처음 들어보는 능 이름이었다.

성북구에 같이 있는 정릉이나 이웃동네에 자리한 태릉은 알겠는데 왜 의릉은 몰랐을까. 궁금한 마음에 의릉을 찾아갔다. 아담하고 평범한 의릉을 천장산이 감사고 있다. 의릉은 서울에 있는 조선의 왕릉 가운데 전망이 가장 좋은 곳으로, 산책로를 따라 향긋한 숲 내음을 맡으며 걷기 좋다.

짧고 조용히 살다간 왕과 왕비가 잠든 곳 
 
짧고 조용히 살다간 왕과 왕비가 잠든 의릉.
 짧고 조용히 살다간 왕과 왕비가 잠든 의릉.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이윤, 1688~1724)과 그의 비인 선의왕후 어씨(1705∼1730)의 무덤이다. 연도를 보면 알 수 있듯 경종은 37살, 부인은 26살에 세상을 떠났다. 경종의 어머니는 역사 드라마에 자주 나왔던 희빈 장씨(장희빈)다. 경종은 13살 세자시절 어머니가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는 비극을 목도해야 했다.

게다가 태양왕으로 불리며 46년간 장기 집권했던 아버지 숙종과 달리 불과 4년의 재임기간 후 승하했다. 몸이 허약했던 경종은 자손 없이 죽고 이복동생이었던 영조가 임금 자리를 이어받는다. 조선왕조 500년 역사에 이렇게 짧게 별 흔적 없이 조용히 가신 분들이 또 있을까 싶다. 
 
문화재 해설사와 함께 하면 더 유익한 왕릉여행을 할 수 있다.
 문화재 해설사와 함께 하면 더 유익한 왕릉여행을 할 수 있다.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능에 들어서면서 보이는 의릉의 한자어 의(懿)가 궁금해 관리소에 물어보니 아름답다, 훌륭하다라는 뜻이 있단다. 후대인 영조 때 지은 것으로 경종임금의 성정이 담겨 있다고. 알고 보니 조선 왕릉은 명칭 속에 저마다의 뜻을 품고 있었다.

관리소 직원 아저씨가 알려준 왕릉 이름 가운데 '사릉'이 제일 기억에 남는다. 어린 나이에 권력다툼에 희생된 조선시대 6대 임금인 단종의 부인 정순왕후가 묻힌 능으로, 비명에 간 단종을 생각하며 여생을 살았을 것이라 여겨 무덤의 이름을 사릉(思陵)이라 지었다고. 
 
꼬리가 재밌게 표현된 능침의 수호 동물 석호.
 꼬리가 재밌게 표현된 능침의 수호 동물 석호.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만화속 주인공같은 정자각 지붕 위 잡상.
 만화속 주인공같은 정자각 지붕 위 잡상.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왕과 왕후가 잠들어 있는 능침은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돼 있지만, 문화해설사의 왕릉 설명시간엔 잠시나마 능침을 가까이에서 둘러볼 수 있다(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2시). 무인석·문인석등 능침을 지키는 석물 가운데는 동물도 있는데, 당시엔 신성시 되었다는 산양과 호랑이가 눈길을 끌었다.

특히 석호는 무섭기는커녕 민화 속 호랑이마냥 친근한 표정을 짓고 있고, 등으로 말려 올라간 꼬리까지 재밌게 표현했다. 정자각 등 능 옆 한옥건물 지붕에 있는 잡상은 만화에 나오는 주인공 같다. 맨 앞에 앉아 있는 장수처럼 보이는 잡상은 조선판 '쩍벌남'이지 싶어 웃음이 난다. 경건하고 엄숙한 왕릉이지만 해학과 익살을 잊지 않았던 조상들의 성정을 느끼게 된다.

중앙정보부 청사가 들어섰던 의릉 
 
60년대 중앙정보부에서 의릉에 조성한 연못과 정원, 돌다리.
 60년대 중앙정보부에서 의릉에 조성한 연못과 정원, 돌다리.
ⓒ 의릉관리사무소

관련사진보기

의릉안에 남아있는 중앙정보부 강당.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를 했던 곳으로 등록문화재가 되었다.
 의릉안에 남아있는 중앙정보부 강당.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를 했던 곳으로 등록문화재가 되었다.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의릉은 능의 주인인 경종과 부인이 순탄치 못한 짧은 삶을 살다간 것과 같이 여러 고난을 겪었다. 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면서 의릉이 다른 왕릉에 비해 규모가 작고 시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를 알게 됐다. 이곳은 과거 30여 년 동안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었던 철저히 봉쇄된 지역이었다.

1962년 초대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종필은 의릉을 중정청사로 택한다. 지금이야 말도 안 되는 일이지만, 당시엔 무소불위의 권력을 지녔던 국가정보기관이었기에 가능했다. 이후 1996년 중정청사가 이전하면서 비로소 능은 시민들에게 공개된다. 하지만 중앙정보부청사 자리는 오롯이 의릉에 귀속되지 못하고 한국종합예술학교 건물이 들어섰다.

의릉은 중앙정보부 청사가 떠나면서 오랜 기간 복원공사를 해야 했다. 왕릉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연못과 정원·돌다리 등 시설을 만들고, 능 한편에 축구장·테니스장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심하게 훼손됐기 때문이다. 10년 넘게 인공연못을 없애고 금천교를 복원하는 등 정비를 마치고 현재의 모습을 되찾았다.

의능 둘레길을 걷다보면 옛 중앙정보부 강당 건물을 볼 수 있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를 했던 곳으로, 등록문화재 제92호로 선정됐다. 현재 시민들을 위한 각종 강연과 행사장으로 쓰이고 있다.
  
의릉 둘레길에서 만난 오래된 향나무.
 의릉 둘레길에서 만난 오래된 향나무.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의릉 둘레길에서 이어지는 천장산 숲길.
 의릉 둘레길에서 이어지는 천장산 숲길.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의릉을 돋보이게 하는 곳은 능 뒤에 자리한 천장산(天藏山)이다. 의릉 둘레길을 걷다보면 산길과 자연스레 이어진다. 해발 140m 정도로 낮고 완만하며 숲이 울창한 산이라 산림욕하며 걷기 좋다. 왕릉답게 소나무와 잣나무가 많이 살고 몸체가 용틀임하듯 자라나는 향나무가 눈길을 끈다.

도토리나무라 불리는 활엽수 참나무도 많다. 떡갈나무·굴참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 등 형제가 많은 참나무류 가운데 상수리나무에 이름표를 붙여 놓았다. 상수리나무는 도토리가 크고 맛이 좋아 수시로 임금의 수라상에 올랐다 하여 이름 붙은 나무로, 왠지 왕릉과 잘 어울렸다.

* 의릉 소재지 : 서울 성북구 화랑로 32길 146-20 (석관동)
* 의릉 관리소 : 02-964-0579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서울시 '내손안에 서울'에도 실립니다.


태그:#의릉, #조선왕릉,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중앙정보부, #천장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