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9일 오전 평양 백화원영빈관에서 '9월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9일 오전 평양 백화원영빈관에서 "9월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남북 정상의 평양공동선언에 따라 동해선과 경의선 등 남북 철도와 도로 연결 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합의한 평양공동선언문에는 '금년 내 동, 서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을 위한 착공식을 갖기로 하였다'는 내용이 명시돼 있다. '금년 내 착공식'이라고 사업 추진 시점을 명시한 것이 눈에 띈다.

앞서 남북 정상은 지난 4월 판문점 선언에서 2007년 10·4 선언의 연장선으로 동해선, 경의선 철도와 도로 연결에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선언문에는 '실천적 대책을 취한다' 외에 구체적인 내용은 적히지 않았다.

지난 7월 남북 철도 협력 분과회의에서도 동해선과 경의선 철도에 대한 공동 조사를 벌인다는 것 말고는 눈에 띄는 진전이 없었다. 판문점 선언과 북미 정상회담 등으로 화해 분위기는 조성됐지만, 대북 제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적극적인 행보를 취하진 못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때문에 이번 평양공동선언에서 착공 시점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은 정부가 대북 경협 사업 추진 의지를 확고히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는 최근 국회 업무보고에서 동해선 철도와 경의선 도로 연결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한 바 있다. 동해선 남측 구간인 강릉역에서 제진역까지 104.6km 구간과 경의선 고속도로 문산에서 개성까지 11.8km 구간이 사업 대상이다.

국토부는 동해선 철도에 2조 3490억 원, 경의선 도로는 5179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단 국토부가 계획한 구간은 모두 대북 경제제재 대상이 아닌 남한 영토이기 때문에 연내 착공도 점쳐볼 수 있다.

동해선 철도는 부산에서 강릉을 거쳐 북한 원산과 나진을 연결하는 철도망이다. 동해선의 경우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 노선은 러시아횡단철도와 이어지기 때문에 물류와 운송 측면에서 경제적 중요성도 크다.

북한 나진과 러시아 하산은 이미 철로가 연결된 상태다. 국토부는 지난 7월 북한을 방문해 동해선 남북 연결 구간인 금강산청년역∼군사분계선에 대한 현장 점검을 하고 상태가 양호한 것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번 선언에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 2016년 중단된 경원선 철도 사업의 재개도 기대해볼 수 있다. 경원선은 서울 용산∼철원(백마고지)∼북한 원산을 연결한다.

당시 정부는 철원에서 남방한계선까지 9.3㎞ 구간을 복원하기 위해 시공사도 선정했다. 그런데 높은 토지 보상비를 부담하지 못해 공사가 중단됐다.

그런데 최근 지난해 사업비가 증액되면서 올해 4월 토지 보상을 마무리했다. 기본설계 작업도 마친 상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남북 철도사업이 본격화된다면, 여러 여건이 갖춰진 경원선 사업의 추진 속도가 가장 빠를 것 같다"고 밝혔다.

태그:#경의선, #경원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