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5·18 광주민주항쟁 38주년을 맞아 민중학살 책임자인 전두환 전 대통령의 흔적을 그의 고향 경남(합천)에서 지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경남 합천 출신이다. 합천에는 그의 생가가 있고, 그의 아호(일해)를 딴 '일해공원'이 있다.

'일해공원'은 합천군이 심의조 군수 때인 2007년 '새천년생명의숲'에서 명칭을 바꾼 것이다. 당시 명칭 변경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합천군은 강행했다. 이곳에는 '일해공원'이라는 표지석이 있다.

생가는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에 있고, 초가집이다. 합천군이 1983년 본채와 곶간, 헛간, 대문 등 4동의 건물을 복원해 현재까지 관리하고 있다. 합천군은 예산을 들여 초가지붕을 교체하고 있다.

또 창녕 영산 '호국공원'에는 전 전 대통령의 14대 조상 '전제 장군 충절사적비'가 있다. 이 공원은 전두환 전 대통령 때, 당시 관선군수에 의해 조성돼 '아부용'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 합천에 있는 '일해공원' 표지석. 일해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아호다.
 경남 합천에 있는 '일해공원' 표지석. 일해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아호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경남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에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생가.
 경남 합천군 율곡면 내천리에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생가.
ⓒ 합천군청

관련사진보기



석영철 "전두환의 흔적을 지워야 한다"


석영철 민중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17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해 공원 등 경남에 남아 있는 광주민중학살의 책임자 전두환의 흔적을 지워야 한다"고 했다.

그는 "경남에서 국가반란수괴이며, 학살자이자 독재자인 전두환이 여전히 기려지고 있다"며 "전두환은 1995년 12월 검찰에 구속 기소되어 뇌물수수와 반란·내란 수괴 등의 혐의로 1심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으며, 항소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됐고 이는 1997년 4월 대법원 판결로 확정되었다"고 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상남도는 경남 합천에 소재한 전두환 생가를  예산 6100만원을 들여 복원하였으며, 시설 유지 관리비로 2억 3000만원을 지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합천에는 도비 20억원을 포함하여 약68억원을 쏟아부어 전두환의 아호를 딴 일해공원을 만들었으며, 군비 3000만원으로 '일해공원'이라는 표지석까지 세웠다"고 덧붙였다.

그는 "영산호국공원에는 전두환의 조상인 '전제'를 기리는 조형물이 있고, 경남도청에는 초상화를 걸었다가 비판 여론이 일자 떼어내기도 했다"며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경남 출신 인물 58명의 전기를 모아 1999년에 발행한 <경남인물지>에는 전제 장군은 아예 포함되어 있지도 않았다"고 했다.

이어 "정유재란 당시 영산현감을 지낸 '전제'는 울산 전투에서 권율 장군에게 효수를 당한 인물임에도, 전두환의 조상이라는 이유로 '경남을 빛낸 선현' 여섯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고 조형물과 초상을 안치한 것은 경남의 수치이다"고 덧붙였다.

석 위원장은 "전두환은 명백한 독재자이며 법으로 심판받은 내란수괴이고 학살자"라며 "그런 그의 아호를 딴 일해공원은 그 명칭을 변경해야 하며 경남에 남아 있는 전두환의 흔적은 지워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광주민중항쟁은 군사독재에 저항하여 민주주의 새 역사를 쓴 거룩한 항쟁이며 전두환은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국민을 학살한 범죄자이다"며 "그런 범죄자이자 독재자인 전두환은 역사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일해공원 등 전두환을 기리는 잔재가 남아 있다는 것은 경남도민의 수치이다"고 했다.

석영철 위원장은 "경남에 있는 전두환의 모든 잔재를 청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며 새롭게 드러난 전두환의 범죄에 대해 엄정한 사법적 심판을 내릴 것"을 촉구했다.


태그:#전두환, #일해공원, #합천군청, #석영철
댓글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