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비 오는 날이면 아침이 조금 낮아진다. 꿈결인 듯 창밖으로 희미하게 전해지는 비 듣는 소리. 이제 누운 채로 완연하다. 어느새 꽃이 질까 걱정할 시기는 지났다.

아침잠이 많은데, 어제 늦어서야 잠자리에 들었는데, 평소보다 30분 일찍 눈을 떴다. 비가 온다. "이제와 새삼 이 나이에" 봄날 아침의 비가 특별할까. 개들이 분주하다.

아침식사를 마친 개들을 데리고 옥상에 올라간다. 사람은 정자 아래에서 비오는 봄날의 아침을 보고, 개들은 빗속에서 봄날의 아침을 적신다. 빗속에서 개오줌이 흔적 없다. 봄날이 가려나 보다.

이영애ㆍ유지태가 주연한 영화 <봄날은 간다>의 제목은 지은 제목이 아니지만 잘 지은 제목이다.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란 대사는 잘 지은 대사지만 그다지 신통방통한 대사는 아니다. 글쎄 변하지 않는 사랑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하지만 그래도 변한 사랑 앞에서, 변해가는 사랑 앞에서 "어떻게 변하냐"고 묻는 게 사랑인의 자세이긴 하다. 변할 것이 분명한 사랑 앞에서 변하지 않을 사랑을 꿈꾸는 게 사랑이기 때문이다.

아침부터 라면이 생각나지는 않았다. 하긴 어느 사이엔가 젊은 날 그렇게 좋아한 라면을 먹지 않게 되었다. 라면이 싫어진 게 아니라, 내 몸이 탄수화물을 잘 감당하지 못하게 되어서이다. 물론 대파든 잔파든 파를 송송 썰어 넣고 끓여서 맛있는 김치와 함께 먹는 라면은 언제나 올바르다.

영화 속 이영애의 대사 "라면 먹을래요"는 원곡 '봄날은 간다'의 다음 가사를 영화적으로 옮겨 적은 것이다.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별이 뜨면 서로 웃고 별이 지면 서로 울던"


그렇다면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는 다음 가사를 옮겨 적은 것일까.

"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은 간다

실없는 그 기약에 봄날은 간다"


이꼴저꼴 보기 싫은 듯 걸리버는 에어컨이 놓인 구석 자리에 머리를 콕 처박고 가는 봄을 서러워 한다.

나의 개
▲ 걸리버 나의 개
ⓒ 안치용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도 게재되었습니다.



태그:#봄날은 간다, #[개와 함께 사유하는 산책], #안치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학, 영화, 미술, 춤 등 예술을 평론하고, 다음 세상을 사유한다. 다양한 연령대 사람들과 문학과 인문학 고전을 함께 읽고 대화한다. 사회적으로는 지속가능성과 사회책임 의제화에 힘을 보태고 있다. ESG연구소장. (사)ESG코리아 철학대표, 아주대 융합ESG학과 특임교수, 영화평론가협회/국제영화비평가연맹 회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