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당시 미군사령관
 당시 미군사령관
ⓒ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관련사진보기


"원인에는 흥미 없다. 나의 사명은 진압뿐" 당시 미군사령관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는 1947년부터 제주에서 일어난 집단학살사건인 4·3에 대해 당시 실질적 권한을 행사했던 미군정의 책임을 묻고, 미국과 UN(국제연합)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하는 10만인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를 비롯해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회, 제주4·3희생자유족회는 작년 10월 17일 주한 미대사관 앞에서 '제주4·3에 대한 미국과 UN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하는 서명 운동' 선포식을 열고 기자회견을 가졌다. 기자회견 날짜를 10월 17일로 정한 이유는 70여 년 전 이날 군과 경찰의 초토화 작전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다음은 범국민위원회와의 일문일답이다.

- 미국의 책임을 촉구하는 10만인 서명 운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제주4·3 항쟁은 미군정이 통치하던 시기에 발생했고, 대량학살이 벌어진 1948년 가을 이후에도 여전히 미국 군사고문단이 한국군을 통제하고 있었다. 이처럼 4·3 당시 제주도민 학살에 대해 미국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는 사실은 정부가 내놓은 진상조사보고서에도 분명하게 명시돼 있다. 특히 1948년 4·3직후 제주지구 미군사령관으로 파견되어 현지의 모든 진압작전을 지휘·통솔한 브라운 대령은 '원인에는 흥미 없다. 나의 사명은 진압뿐'이라는 발언을 했는데, 이는 초기부터 미군정이 평화적 해결을 외면하고 대량학살로 이어지는 강경 진압 작전을 취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렇게 명백한 책임이 있음에도 미국은 70년이 지나도 아무 상관이 없었다는 듯이 침묵으로 일관해 왔다. 이번 서명운동은 4·3 당시 제주도민 대량학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묻는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 그동안에는 미국의 책임을 묻기 위한 움직임이 없었는가?
"학술적인 차원에서 미국의 책임을 공론화하는 활동이 있었고 미국 의회를 대상으로 한 청원운동 차원의 서명도 진행됐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개인적으로, 또는 일부 단체 중심으로만 진행돼 폭넓게, 일관성 있게 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는 70주년을 앞두고 전국적으로 사회각계 단체와 인사들이 참여하는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만들어졌고,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그리고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조직적으로 결의하고 힘을 실어서 추진한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무엇을 요구하는 서명인가?
"이번 서명운동의 핵심은 4·3항쟁과 학살의 진실에 대한 미국의 책임 인정과 사과,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촉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정부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4·3 진상에 대한 한-미 공동 조사를 촉구한다. 나아가 국제 연합(UN)에 대해서도 2005년 UN 총회에서 채택한 '국제인권법의 중대한 위반행위와 국제인도법의 심각한 위반행위의 피해자의 구제와 배상에 대한 권리에 관한 기본원칙과 가이드라인'에 근거, 당시 미국과 한국 정부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조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 앞으로의 계획은?
"10월 17일 기자회견을 마치고 미국 대사관을 방문하여 서명 취지를 담은 성명서를 전달했다. 책임 있는 당국자가 나온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어떻게 처리될지 모르겠다. 1차로 2018년 3월 31일까지 10만인 서명을 받아서 4·3 주간에 미국 대사관에 전달하고, 한-미 양국 정부와 국제연합의 과거사 보고관에게도 전달할 예정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에서 발행한 <4.370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제주4.3,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4370신문
댓글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는 2018년 제주 4·3 70주년을 맞아 아픈 역사의 정의로운 청산과 치유를 위해 전국 220여개 단체와 각계 저명인사로 구성된 연대기구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