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당진항만관광공사는 이전 당진해양관광공사는 함상공원의 운영을 위해 출범했으며 현재도 가장 중요한 사업 내용이다.
▲ 삽교천 함상공원 입구 모습 당진항만관광공사는 이전 당진해양관광공사는 함상공원의 운영을 위해 출범했으며 현재도 가장 중요한 사업 내용이다.
ⓒ (출처 당진항만관광공사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청사진 없는 조례 개정 추진 '논란'

경영 악화에 빠져 있는 당진항만관광공사(사장 정용해, 이하 당진항만공사)가 항만정책이나 자체사업이라는 '염불'보다는 관내 공공시설물의 관리·운영이란 '잿밥'에만 촛점을 맞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당진항만공사는 지난 2014년 해양관광공사에서 항만관광공사로 전환됐다. 당시 당진시는 ▲당진화 활성화 및 중국교류 확대를 견인할 항만전문 기능조직 육성 ▲당진시 주도의 능동적으로 특화된 항만정책 추진 ▲장래 국영항만공기업(PA) 출범대비 대응조직 필요 등을 추진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내세웠다.

하지만 2014년 1천 3백만 원의 이익을 제외하고는 15년도 5천 4백만 원, 16년도 9천 3백만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행정안전부 주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결과 16~17년 2년 연속 최하등급인 '마'등급을 받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당진시의 세금 투입은 지속되고 있다. 2017년도 한해에만 당진시가 지급한 보조금 액수는 6억 원에 가깝다. 당진시의 보조금 지급 없이는 공사가 가지고 있는 시설들은 보수 유지도 자체 자금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잿밥' 찾아 나선 당진항만관광공사?

상황이 이렇게 되자 당진시는 공사의 경영개선 및 운영활성화 방안 추진을 위해 조례 개정안이라는 카드를 들고 나왔다. 당진시 항만수산과가 당진시의회에 제출한 '당진항만관광공사 설립 및 운영 조례'(아래 조례)의 일부 개정안에 따르면 당진항만공사는 기존 항만·부두의 개발, 물류 및 관광산업 외에 공공시설물 등의 관리 및 운영도 할 수 있도록 했다.

즉,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당진항만공사는 기존 관광을 포함한 항만·부두 관련 사업뿐만 아니라 당진시에 존재하고 있는 공공시설물의 관리와 운영하는 사업까지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런 공사의 경영 난관을 타파하기 위한 당진시의 조례 개정 추진이 공사 설립과 항만 분야 강화를 위한 전환 취지에 맞느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당장 당진시의회의 출무일 보고 당시 시의회 의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공사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 지적을 쏟아냈다.

현재 공사의 기존 주요 사업을 살펴보면 ▲삽교호 야영장 운영·관리 ▲삽교호바다공원 물놀이행사 대행 ▲난지도 캠핑장 운영 및 관리 ▲항만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 ▲항만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안보글짓기 사업 ▲요트세계일주 홍보관 위탁대행 등이다. 이와 함께 ▲해나루항만에 4억 원을 출자하기도 했다.

공사가 당진시에 신규사업으로 진출하겠다고 제출했던 계획은 ▲삽교호 해수풀장 예정지 수탁사업(중복사업으로 보류) ▲농산물판매물류단지 조성(부지 부적합으로 불가) ▲도시공원 관리사업(조례상 위탁가능사업 아님으로 불가) ▲석문국가산업단지 관리(조례상 위탁가능사업 아님으로 불가) ▲쓰레기 봉투사업(조례상 위탁가능사업 아님으로 불가)이었다.

이 중 항만 관광 분야는 해수풀장과 물류단지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시설관리 사업이다. 설립 취지에 맞게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보다는 당장 손쉽게 수익을 창출하는 '잿밥'을 찾아 나서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당진시의 이번 조례 개정 추진이 공사의 고질적인 체질개선보다는 당장 눈앞의 문제만 해결하려는 근시안적인 대응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함상공원 내부 모습
 함상공원 내부 모습
ⓒ 출처 당진항만관광공사 홈페이지

관련사진보기


항만 전문가 없는 항만관광공사

물론 '공사의 변신과 정상화를 긴 호흡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여론도 없지 않지만, '지금 당진항만공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문가의 부재라'고 꼬집는 목소리도 나온다.

공사가 최초 해양관광공사로 출범 당시 가장 중요한 사업이었던 함상공원과 해양테마과학관 등의 입장료와 수익은 7억 8천(14년), 6억 5천(15년), 6억 2천(16년), 6억 4천(17년)을 기록하고 있다. 시설은 노후화 됐고, 관객이 지불한 입장료에 대한 만족감 역시 떨어진다는 평을 듣는다.

현실적으로 함상 공원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해 당진시의 보조금 지급이 필요하더라도, 항만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걸린다. 공사의 항만분야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직원은 항만 분야의 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의 김성수 전 사장과 계약직 직원 한 명 뿐이었다. 이들이 모두 퇴사한 이후, 공사에 항만관련 전문가는 물론 담당 팀원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항만 분야 전문가라고 영입했던 김성수 전 사장 당시에 '항만 분야의 수익을 당진시민에게 나누겠다'는 취지로 세금 4억 원을 투자한 해나루항만 사업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작년 경영진이 교체됐다.

작년 3월, 당시 공사 사장으로 결정된 정용해 사장에 대해 당진 참여연대의 반대 성명 역시 이 같은 우려를 담고 있었다. 참여연대는 정용해 사장이 비리 문제에 연루돼 처벌된 도덕성 문제보다도 항만과 관광 분야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첫 번째 이유로 내세울 정도로 깊은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조례 개정 추진에 대한 우려에 대해 당진시 항만수산과 공영식 과장은 "우려에 대해서는 공감한다. 다만 조례를 개정하더라도 항만·관광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공사 본연의 사업은 성실하게 추진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당진신문에도 송고한 기사입니다.



태그:#당진항만관광공사, #삽교호 함상공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