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미국 선수단이 입장하고 있다.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미국 선수단이 입장하고 있다. ⓒ 이희훈


그야말로 지구촌 최대의 빙상 축제의 서막을 알리는 화려한 퍼포먼스의 향연이었다. 평창 동계올림픽이 지난 9일 오후 8시 18분부터 'Peace in Motion(행동하는 평화)'를 주제로 한 개회식을 시작으로 대단원의 막을 올렸다. 여러 악재를 딛고도 짧은 기간에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대한민국이 쌓아올린 정서와 문화 등 모든 것을 축약한 개회식에, 외신들의 호평도 줄을 잇고 있다.

폭죽과 음향 그리고 조형미가 가득했던 개회식을 뒤로 한 채, 주경기장은 조용히 폐회식을 준비하는 무대로 활용될 예정이다. 개폐회식 전용 경기장으로 준공된 올림픽 스타디움은, 평창 패럴림픽까지 마친 후 규모를 대폭 축소해 종합 체육 시설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화려한 잔치 후에는 넘어야 할 고비가 산더미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사전행사에서 북측 태권도 시범단이 공연을 하고 있다.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이 열리고 있다. ⓒ 이희훈


3만 5000석 규모로 준공된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은 대회 종료 후 좌석을 모두 철거해 올림픽 유치의 상징성을 계승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림픽 스타디움과 메달 플라자 인근을 활용해 올림픽 공원과 올림픽 기념관을 일부 조성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패럴림픽을 포함해 총 4차례 진행되는 개·폐회식 행사를 위해 투입된 635억 원의 예산과 그 밖의 해체 비용 등을 들며, '재정 낭비'라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유지관리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의 관리 주체인 강원도와 행정 책임주체인 평창군은 지방 재정 자립도도 매우 낮아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해 기준 강원도의 재정자립도는 29.07%로 전국 시·도 가운데 3번째로 낮다. 평창의 경우 14.03%로 더욱 열악한 상황이다.

비용적 측면 뿐만 아니라 사후 재활용 역시 여러 방면에서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는 사후 인프라 조성이다. 현재 올림픽 스타디움 주변에는 스포츠·문화 관련 인프라 시설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올림픽 이후 주경기장 주변 인프라 조성 사업에 대해 평창올림픽 운영국 담당자는 12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조직위로부터 이관 후 결정될 사안"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그러나 공원과 기념관 조성 외에는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 이미 평창 올림픽에 활용되는 대부분의 시설이 민간 업체와의 MOU를 통해 사후 활용방안을 마련한 가운데, 주경기장 관련 대책만 답보 상태인 것이다.

또 오각형으로 설계된 스타티움의 설계적 특수성도 문제다. 개방형 경기장의 경우 대부분 구기 종목 이벤트를 유치해 재활용 한다. 2014년 소치 올림픽의 개·폐회식 경기장으로 사용된 피시트 스타디움 역시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활용하기 위해 리모델링 과정을 거치고 있다. 하지만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의 경우 구기 종목 이벤트의 규격에는 맞지 않는 오각형 형태다.

조직위원회 '생활체육시설 건립' 활용방안 무색해 골치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이 열리고 있다.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이 열리고 있다. ⓒ 이희훈


지난 4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강원도 평창 알렌시아 리조트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조직위와 강원도, 한국 정부가 하루빨리 논의해 대회 후 경기장 활용 방안을 매듭짓는 게 시급하다는 IOC의 입장을 전했다"고 밝혔다(2018년 2월 4일 <연합뉴스> [올림픽] 바흐 IOC 위원장이 밝힌 평창올림픽의 최대 난관).

CBS 보도에 따르면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지난 1월 29일 "현재 총리 지시에 따라 문체부와 기재부가 경기장 사후 관리에 필요한 예산을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2018년 1월 29일 <노컷뉴스> 평창올림픽 시설사후활용 지원 '입장 차이' 여전).

한편 일부 SNS 상에서 제기된 몇몇 지자체 단체의 축구전용구장 건립과 관련해, '주경기장 해체 후 발생한 좌석 일부를 구매해 활용하겠다'는 방안에 대해서 강원도청 관계자는 "요청온 바도 없고 들은 적도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마땅한 대책없이 '행사만을 위해' 지은 건축물이 자칫 골치아픈 적자 덩어리의 상징이 될 수도 있어 지자체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어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스포츠 평창올림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