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세진씨가 서울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그린 수채화
▲ 소녀상 김세진씨가 서울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을 그린 수채화
ⓒ 김세진

관련사진보기


일본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기억하기 위해 전국 74곳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을 수채화로 만나는 전시회가 경기도 성남 중원구 여수동 성남시청에서 열린다.

성남시는 오는 1월 29일부터 2월 4일까지 시청 2층 공감 갤러리에서 '소녀, 평화를 외치다'를 주제로 그림 전시회를 연다. 상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4학년 휴학 중인 김세진(30·남)씨가 104일간 전국을 다니며 화폭에 담은 소녀상 그림 74점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김씨는 25일 이 전시회를 준비하면서 "내가 그린 그림은 현재 74점이고 현재 전국엔 100여 개의 소녀상이 세워졌으며 앞으로 더 세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디 전시회에 와서 이 소녀상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문제해결을 위한 작은 참여에 동참해길 바란다"라며 다음과 같이 전했다.

"솔직히 당황스러울 정도로 뜨거운 반응이었다. 내 설명을 들으며 눈시울을 붉히던 어머니들, 내 설명에 하나도 지루해 하지 않고 초롱초롱한 눈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끝까지 놓치지 않고 들어주던 학생들, 내 손을 꼭 잡으며 장하다고 칭찬해주던 아버지들, 그 분들을 보며 '내가 이렇게 하고 있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닌 많은 분들을 위한 옳은 길이었구나' 하고 다시 느꼈다. 시민들이 함께 해준다면 해결 못할 문제가 없다는 희망을 발견하게 됐다."

김세진씨가 성남시청 광장 소녀상을 그린 수채화
▲ 소녀상 김세진씨가 성남시청 광장 소녀상을 그린 수채화
ⓒ 김세진

관련사진보기


김씨의 작품은 같은 모습으로 화폭에 그렸지만, 지역마다 다른 표정과 배경의 소녀상 모습을 따뜻한 색채로 섬세하게 묘사했다.

전시작 중 성남시청 광장에 전시된 작품에는 30여 개의 태극기가 달린 나무가 소녀상을 지키는 모습이 담겼다. 김씨는 "작품 속 태극기는 민중의 항일 정신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전시회 기간 매일 오전 11시, 오후 3시 도슨트 타임도 마련된다. 김씨가 관람객과 작품에 관해 이야기하고, 하나하나 설명을 곁들일 예정이다.

김씨가 전국에 소녀상이 설치된 곳을 찾아가 수채화로 남기는 작업을 시작한 건 서울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지킴이 활동을 하던 지난해 5월부터다. 한 시민이 전국 어디에 몇 개의 소녀상이 있는지 물었는데 답을 하지 못했다. 이를 계기로 전국 현장을 찾아다니며 그림을 그렸다.

거제시 문화예술회관 전시회 당시 관람하러 온 관객과 함께 한 장면
▲ 일제강점기 민족의 고통을 상징하는 소녀상을 화폭에 담는 청년화가 거제시 문화예술회관 전시회 당시 관람하러 온 관객과 함께 한 장면
ⓒ 위정량

관련사진보기


성남시 한솔고등학교 사회참여 동아리 SOCIO 학생들이 성남시내버스 및 '디자인 그리고' 협찬으로 성남시내버스㈜ 220번
의자에 부착한 소녀상 포스터
▲ “우리가 무관심하면 정의도 없다!” 성남시 한솔고등학교 사회참여 동아리 SOCIO 학생들이 성남시내버스 및 '디자인 그리고' 협찬으로 성남시내버스㈜ 220번 의자에 부착한 소녀상 포스터
ⓒ 위정량

관련사진보기


김씨는 지난해 7월 성남시청 광장에 평화의 소녀상을 그리러 온 것이 계기로 성남시청과 인연을 맺었다. 무료로 빌릴 수 있는 전시 공간 '공감'도 알게 돼 전시를 기획하게 됐다.

그가 그린 74점 작품 모두를 전시하는 것은 거제시 문화예술회관(1.12~17)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성남시는 김씨의 전시 계획, 작품 설치 등 전시 과정 전반을 지원한다.

성남시는 평화의 소녀상 설치(2014.4) 후 지킴이 활동 정례화, 위안부 피해자 특별전(2017.9), 성남시내버스㈜ 220번 버스 의자에 소녀상 설치·운행(2017.11) 등 위안부 할머니 문제 해결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확산하고 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현재 31명뿐이다.


태그:#일제강점기, #위안부, #소녀상 , #소녀상 지킴이, #소녀상 청년화가 김세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