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8년도 최저임금이 적용된 지 10일이 지났다. 올해 최저임금은 지난해 6470원보다 16.4% 많은 7530원으로 역대 최고율로 인상됐다. 인상폭이 큰 만큼 최저임금을 다루는 5대 일간지(경향,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기사 내용도 '극과 극'의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에 부정적인 기사는 10일자 하루 신문에만 <조선>이 7건으로 보수 언론 매체 중에서는 최대 건수고 2위의 <중앙>에 비해서도 3배 이상 많은 기사를 내 보낸 걸로 확인됐다.

5대 일간지(경향,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1월 10일자 최저임금 관련 기사 리스트
 5대 일간지(경향,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1월 10일자 최저임금 관련 기사 리스트
ⓒ 노동과세계

관련사진보기


조선일보는 10일자 1면에 <최저임금 지원금 3조...勞使 대부분 "안받고 말지">기사를 시작으로 <"근로자 월급 36만원 느는데... 정부 지원은 13만원뿐">, <"최저임금인상 재고해주세요">, <맞벌이 夫婦의 최저임금 충격> 등의 기사를 포함해 총 7개의 최저임금 인상에 부정적인 기사를 지면에 할애했다.

조선일보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일자리 안정자금 신청을 노사가 왜 꺼리는지 이유에 대해 "보험료 지원 끊기면 비용 부담 커져", "단기 지원이라 신청 필요성 못 느껴", "적발되면 최대 5배 물어내야", "정부 안내서 봐도 절차 이해 안돼", "보험료 내면 급여 줄어 불만", "190만원이 월급 상한선 될 우려"가 있다고 말하며 정부의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자체를 무의미화 시키는 보도를 했다.

중앙일보도 <정부도 못 피한 최저임금 역설... 외국인 상담원 7명 해고> 기사와 <임대료 탓은 그만... 최저임금 속도 조절로 푸는게 정석> 사설 등을 보도했다. 조선일보에 비해서 중앙일보가 상대적으로 기사 수는 적지만 내용상으로는 최저임금 인상을 반대하는 강한 어조로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사설에서 "최저임금 후유증을 임대료 탓으로 전가하는 것은 정치적으론 묘수(妙手)일지 몰라도 경제적으로 악수(惡手)다"며 최저임금 인상으로 향후 경제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암시했고 "대통령은 최저임금 정책의 선의(善意)를 강조했지만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돼 있다는 말이 자꾸 떠오른다"며 최저임금 인상이 결국 '지옥으로 가는 길'이라는 공포감을 일으키는 자극적인 표현을 사용했다.

이와 반대로 경향신문은 <자영업자가 손댈건 인건비뿐...'을'끼리 전쟁시키는 사회> 기사에서 최저임금 갈등의 진실이 "높은 임대료와 대기업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갑질 등 고질적인 문제는 제쳐두고 최저임금만을 고용축소 등의 '주범'으로 모는 것은 무리"라고 분석했다. 또한 "상가임대료등 불로소득에는 관대하면서 노동소득에는 인색한 풍조가 소상공인 대 최저시급 노동자 간의 '을과을의 전쟁'으로 변질돼 사안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남정수 대변인은 "노동 현장은 아직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첫 월급도 지급된 적이 없다"며 "최저임금 인상이 적용된 지 채 10일 밖에 되지 않았지만 보수 매체들의 쏟아지는 최저임금 인상 무력화 보도는 그 의도가 의심 받기에 충분하다"고 우려를 전했다.

<조선>, <중앙>, <동아>는 최저임금 인상의 부작용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과장하고 있는 반면 <경향>, <한겨레>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통계와 연구 결과 등을 통해 객관적으로 보도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노동과 세계' 홈페이지(http://worknworld.kctu.org)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최저임금, #민주노총, #조선일보, #최저임금 왜곡보도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