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동짓날에 먹는 동지팥죽이다.
 동짓날에 먹는 동지팥죽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작은 설날' 동지다. 설에 버금간다고 해서 '아세'라고도 한다. 조선후기 학자 홍석모가 지은 <세시풍속지(동국세시기)>를 보면 '동짓날을 아세(亞歲)라 했고 민간에서는 흔히 작은설이라 하였다'고 한다. 동짓날은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짓날은 붉은 팥으로 팥죽을 쑤어 이웃과 나눠먹는 작은 명절이다. 동짓날 동지팥죽을 한 그릇 먹고 나면 우리는 나이를 한 살 더 먹게 된다. 그래서 팥죽에 자신의 나이만큼 새알심을 넣어 먹기도 한다.

동짓날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은 중국에서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 전래 시기는 언제인지 확실치가 않다. 중국 공공씨(共工氏)의 자식이 동짓날 죽어 역귀(疫鬼)가 되었다. 그가 살아생전 싫어했던 붉은팥을 넣어 쑨 죽으로 귀신을 쫓았던 풍습이 남아있다. 공공씨는 중국 고대 요순시대 때 형벌을 담당했던 신화적인 인물이다.

팥죽에 자신의 나이만큼 새알심을 넣어 먹기도 한다.
 팥죽에 자신의 나이만큼 새알심을 넣어 먹기도 한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우리 조상들은 붉은팥이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동짓날에 역귀나 잡귀를 물리치려고 집안 곳곳에 팥죽을 뿌렸다. 동짓날에는 동지팥죽과 더불어 달력을 선물하던 풍속도 있었다. <농가월령가>11월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노래하고 있다.

동지(冬至)는
명일(名日)이라 일양(一陽)이 생(生)하도다
시식(時食)으로 팥죽을 쑤어 이웃(隣里)과 즐기리라
새 책력(冊曆) 반포(頒布)하니 내년(來年) 절후(節侯)
어떠한고 해 짤라 덧이 없고 밤 길기 지리하다

동지팥죽의 붉은빛으로 액운을 몰아내고 다들 올 한해 마무리 잘하길 빈다. 우리 모두 기쁜 마음으로 무술년 새해맞이를 준비하자. 양의 기운이 싹트는 동짓날은 새해를 알리는 날이다. 이제 동지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 밤이 짧아지고 낮이 차차 길어지기 시작한다.

동지팥죽의 붉은빛으로 액운을 몰아내고 다들 올 한해 마무리 잘하길 빈다.
 동지팥죽의 붉은빛으로 액운을 몰아내고 다들 올 한해 마무리 잘하길 빈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다음은 자작시 동지팥죽이다.

동지팥죽
    - 조 찬현

새알심 하나에는
정겨움이
새알심 하나에는
고향의 푸근함이
또 다른 새알심 하나에는
포만감이 담겨있네.

나이만큼 빚어낸 
새알심과 조잘조잘
세월을 지껄이다보니
동지팥죽 그릇은 어느새 텅 빈 바닥
빈 숟가락은 여전히 내손에 붙잡힌 채로.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 블로그 '맛돌이의 오지고 푸진 맛'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동지, #동지팥죽, #새알심, #나이, #맛돌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