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저는 두 다리로 살랑살랑 걷기를 즐깁니다. 책방마실을 다닐 적에도 두 다리로 삼십 분이고 한 시간을 골목을 가만히 거닐다가 슬며시 깃들기를 즐겨요. 혼자서 서울에서 살던 무렵에는 저희 살림집을 일부러 종로구 평동에 있던 적산집에 마련했어요.

아파트 재개발이 들어서기 앞서까지 있던 적산집은 오직 나무로 지은 2층 일본집이었어요. 삐그덕거리는 나무 계단 소리가 좋았고, 서울에서는 종로구 평동에서 어디로든 걸어서 한두 시간이면 모든 헌책방으로 마실을 갈 수 있었습니다.
겉그림
 겉그림
ⓒ 유유

관련사진보기

버스도 전철도 많은 서울인데 이런 서울에서 부러 두 다리로 한두 시간을 걸어서 책방을 다녔는데요, 오늘 걸었으면 이튿날에는 자전거를 타고 다녔습니다. 두 다리하고 자전거를 갈마들면서 책방마실을 다녔지요. 책방마실을 마친 뒤에는 가방이며 두 손에 가득 책짐을 들고 지면서 낑낑대며 다시 걷거나 자전거를 달렸습니다.

일본 만화의 저력은 작가를 사랑하고 사소한 것까지 챙기는 꼼꼼함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40쪽)

다케오 시립도서관에 들어서는 순간 내가 사는 도시에 대해 느꼈던 아쉬움이 더 가까이 다가왔다. 연간 방문객만 100만 명. 도서관 하나가 인구 5만의 소도시에 생기를 불어넣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85쪽)

걸어서 골목을 가로질러 책방마실을 할 적에는 우리 보금자리하고 책방 사이에 깃든 숱한 이웃집을 마주합니다. 두 곳 사이에 이렇게나 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다르게 살림을 짓고 어우러지는 모습을 느껴요. 그래서 때로는 '내가 사는 집'도 다른 이웃한테는 그분이 거닐거나 자전거를 달리면서 지나치는 골목집 가운데 하나가 되겠네 하고 생각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걷거나 자전거를 달려서 책방마실을 다닐 수는 없습니다. 바퀴걸상으로 다니는 분이라면 자동차로 다니면 한결 낫지요. 오토바이를 좋아한다면 오토바이를 몰면서 골골샅샅 누빌 수 있을 테고요.

일본 책방
 일본 책방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경남 진주에서 책방살림을 짓는 조경국 님은 오토바이(또는 바이크)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오토바이를 몰기 앞서는 조경국 님도 두 다리나 자전거로 책방마실을 다니셨을 텐데, 이제 진주에서 이 고장 저 고장으로 싱싱 오토바이를 달린다고 해요. 그리고 이러한 오토바이 책방마실은 한국으로는 좁아 바다 건너 일본으로 뻗습니다.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단순히 책을 빌려주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기록물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까지 포함해야 한다. 엄밀하게 따진다면 이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어야 제대로인 공공도서관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92쪽)

짧은 시간 머물렀을 뿐이지만 기조 그림책 마을이 편안하고 좋았던 이유는 책보다 자연과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 충북 괴산의 '숲속작은책방'이나 전남 고흥 사진책도서관 '숲노래' 같은 곳에 힘을 모을 수 있다면 기조 그림책 마을 같은 곳을 충분히 만들 수 있지 않을까. (108쪽)

<오토바이로, 일본 책방>(유유 펴냄)은 책방을 좋아할 뿐 아니라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는 책방지기이자 책마실벗으로서 일본을 한 바퀴 빙 돌면서 이곳저곳 누빈 이야기에, 이곳저곳 누비는 틈틈이 책방에서 마음이며 몸이며 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일본 책방
 일본 책방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오토바이로 일본 책방마실이라니, 남다르다 할 수 있고 유난스럽다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재미있겠네 싶어요. 일본에서 기차나 버스로 골골샅샅 누빌 수도 있습니다만, 손수 오토바이를 달린다면 가고 싶은 곳으로 더 느긋하게 갈 수 있습니다. 쉴 적에도 하염없이 쉬면서 여러 날 지낼 수 있지요.

기차가 닿지 않는 시골이나 버스가 드문 시골로도 얼마든지 오토바이로 달릴 만해요. 때로는 고개를 낑낑 넘고 바닷가를 한갓지게 지날 수 있어요. 책방마실도 책방마실이지만 새삼스러이 온몸으로 마주하는 일본마실이 될 만합니다.

나가노행을 결정한 건 탁월한 선택이었다. 울창한 숲과 깊은 계곡을 끼고 달리는 153번, 19번 국도의 주변 풍경이 너무나 아름다웠다. 나가노에 거의 도착해 터널에서 교통 정체 때문에 약간 고생한 걸 빼면 9시간 내내 오토바이 타는 재미를 누렸다. (149쪽)

일본 책방
 일본 책방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일본 책방
 일본 책방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우리가 읽는 책은 지은이 한 분이 이녁 삶자리에서 길어올린 이야기를 담습니다. 줄거리만 담긴 책이 아니라, 지은이 땀방울에 발자국에 살림살이에 마을 이웃 모두 고이 담기는 책이에요.

우리는 지은이가 살던 옛집을 찾아가서 지은이 손자국을 느끼면서 책을 새롭게 돌아볼 수 있습니다. 지은이가 거닐던 길을 우리도 따라서 거닐어 보면서 책을 짓는 동안 들인 숨결을 함께 느낄 수 있습니다. 일본을 크게 한 바퀴를 오토바이로 도는 동안 이제까지 '책으로만 만났던 일본'을 살갗으로 더욱 깊이 들여다볼 수 있어요.

두 손에 책 하나를 쥐면서 책에 이르는 마음길을 거닙니다. 두 손으로 오토바이 손잡이를 단단히 움켜쥐고 아홉 시간을 달리는 동안 숱한 사람들이 이 길에서 빚은 삶과 살림과 사랑을 넘나듭니다. 우거진 숲을 가로지르면서 이 숲이 바로 책이 되어 주었고, 우리가 읽은 책은 우리 마음자리에서 새로운 이야기숲으로 거듭나는구나 하고 되새길 수 있습니다.

어느 책방이든 책과 다른 책방지기의 이야기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독자에게 알리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171쪽)

<모든 책은 헌책이다>와 <헌책방에서 보낸 1년>은 박노인 선생님의 바람에 어울리는 책이다. 그물코 출판사에서 각각 2004년과 2006년에 나왔지만 아쉽게도 두 권 모두 현재 절판되었다. 그사이 사라진 헌책방이 얼마나 될까. 만약 기록하지 않았다면 그 흔적조차 알 수 없을 책방도 많다. 나는 이 책보다 더 자세하고 방대하게 헌책방에 애정을 가지고 기록한 책을 아직 보지 못했다. (320쪽)

일본 책방
 일본 책방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일본 책방
 일본 책방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온나라에 교보문고나 알라딘 지점만 있다면 온나라를 누비는 책방마실은 그리 재미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같은 지점에는 서울에도 부산에도 광주에도 모두 똑같은 책에 똑같은 상품만 있거든요.

고장마다 아기자기하게 문을 여는 마을책방이나 오래도록 뿌리를 내려온 헌책방으로 나들이를 다니면, 전국 어느 마을책방이나 헌책방으로 찾아가도 저마다 다른 책을 만날 수 있어요. 다 다른 책방에서 다 다른 책을 만나는 재미라고 할 만하지요.

<오토바이로, 일본 책방>은 일본이라는 나라 어디를 가도 저마다 다른 고장에 맞추어 저마다 다른 책방이 저마다 다른 결로 책꽂이를 짜고 책을 갖추어 저마다 다른 책손을 맞이하는 모습을 지켜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교토가 도쿄를 닮을 일이 없고, 도쿄도 교토를 닮을 일이 없습니다. 한국에서도 대전이 대구를 닮을 일이 없고, 부산이 서울을 닮을 일이 없겠지요. 마을책방은 광주하고 포항이 다르고, 순천하고 속초가 다릅니다. 전주하고 청주도 다르지요.

다 다른 고장에서 다 다른 이야기가 자랍니다. 다 다른 이야기는 다 다른 지은이가 살며시 길어올리면서 책으로 엮습니다. 다 다른 책이 태어나면 다 다른 고장에 깃든 다 다른 마을책방이 이렇게 다르면서 이쁜 책을 다 다른 손길로 저마다 정갈하게 건사합니다.

조경국 님이 오토바이로 누빈 일본
 조경국 님이 오토바이로 누빈 일본
ⓒ 조경국

관련사진보기


오토바이로 일본을 누빈 책방지기이자 책마실벗 조경국 님은 어쩌면 머잖아 오토바이로 중국을 가로지르고 유럽이며 남미이며 동아시아를 가로지르는 책방마실을 다닐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이 길에 숱한 이웃 책벗이 함께 오토바이로, 자전거로, 버스로, 두 다리로 느긋하게 책방마실을 누릴 테고요.

덧붙이는 글 | <오토바이로, 일본 책방>(조경국 글·사진 / 유유 펴냄 / 2017.8.4. / 16000원)



오토바이로, 일본 책방 - 어느 헌책방 라이더의 고난극복 서점순례 버라이어티

조경국 지음, 유유(2017)


태그:#오토바이로일본책방, #조경국, #책방마실, #헌책방, #책넋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