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명절만 다가오면 주부들은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피 한 방울 나누지 않은 신랑 친척들과 오랜 시간 부대껴야 하는 부담은 그나마 가볍다. 얼굴도 모르는 남편 조상을 위해 하루 종일 차례 음식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색 나물 삶아 무쳐내고, 부추전도 수십장 부쳐야 한다. 온갖 재료에 반죽을 입혀 기름 냄새 질리도록 튀김을 만들고, 물고기도 종류별로 쪄내야 한다.

명절 차례상 준비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 때문에 명절을 앞둔 주부들은 두통과 소화불량을 소호한다. 스트레스를 넘어 '명절 증후군'이라는 집단 병리현상까지 생겨나고, 명절 이후 이혼율이 급증하는 대한민국만의 특수현상까지 만들고 있다.

이미 사회 문제화 된 명절 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진단과 해법들이 제시된다. 명절이면 어김 없이 각종 방송에는 전문가들이 출현해 "허례허식을 버리고, 간소하게 차례상을 준비하자"는 말들을 연례행사처럼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말잔치로 끝나고 만다.

경남 진주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명절 차례상을 매우 간소하게 준비해 모범이 되는 집안이 있다. 젊은 아들이나 며느리가 먼저 요구한 것이 아니라 집에서 가장 높은 어른이 먼저 제안하고 실천해서 뜻이 더 깊다. 바로 진주문화예술재단 최용호(79) 이사장 댁이다.

진주문화예술재단 최용호 이사장 댁 차례상
 진주문화예술재단 최용호 이사장 댁 차례상
ⓒ 최용호

관련사진보기


얼마나 간소하게 지내길래 모범이라고 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사진을 참고해 보자. 작은 상 위에 포도와 사과, 배, 감, 귤, 바나나 같은 과일이 놓여 있고, 그 뒤로 떡 한 접시와 물 한 잔이 차례 음식의 전부다. 한쪽에는 국화 한 다발도 단정하게 놓여있다.

차례상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밤 대추, 식혜도 없고, 어렵게 쪄내야 하는 생선이나 전도 한 조각 없다. 20년 전부터 이런 차레상을 차려왔고, 가까운 어른을 모시는 기제사 때도 마찬가지로 사진과 별반 다르지 않는 제사상을 차린다고 한다.

최용호 이사장은 "돌아가신 분의 영을 맑게 하기 위해 초와 향을 켜고, 맑은 술과 신선한 과일들로 제사와 차례를 지내고 있다. 과하게 상을 차리는 것은 돌아가신 분을 위하는 것도 아니고, 음식 준비하는 사람을 위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금의 일반화된 차례상과 제사 형식은 조선시대 '주자가례'에서 유래됐다. 전문가에 따르면 중국 '주자가례'나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에도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와 같은 말이 나오지 않는다. 형식보다는 오히려 마음가짐을 강조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살아 있는 후손들이 쉽게 구해 먹을 수 있는 제철 과일이나 채소를 올리는 것이 예법에도 맞는 형식이라는 것이다.

최용호 이사장 댁도 처음부터 제사나 차례를 간소하게 지냈던 것은 아니다. 불교 공부를 하고 그것이 유교 예법에도 어긋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곧바로 실천에 옮겼다. 그렇다면 집안 사람들의 반대는 없었을까?

최 이사장은 "내가 제일 어른이라서 특별히 반대할 사람은 없었다. 집안 제사를 지내는 장조카에게도 뜻을 잘 설명하니 이해하고 따라주더라"고 말했다. 삼형제와 며느리들의 반응은 물론 대환영이었다. 최 이사장은 "복잡한 전통 방식을 고집하면 젊은 주부들이 제사를 기피하게 된다. 어쩔 수 없이 한다고 해도, 안 좋은 마음으로 음식을 준비한다면 오히려 그게 예법에 어긋나는 것이 된다"고 말했다.


태그:#명절 증후군, #추석, #차례상, #며느리
댓글18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