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긴 연휴의 마지막날인 9일 한글날에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스러운 시민들이 많다. 올해 한글날부터는 무조건 광화문으로 달려가면 된다. 의미있는 행사가 열리기 때문이다.

한글 반포 571돌 기념 '세종대왕 납시오!' 행사 홍보물.
▲ "세종대왕 납시오" 한글 반포 571돌 기념 '세종대왕 납시오!' 행사 홍보물.
ⓒ 신향식

관련사진보기


휴식도 하고 한글문화도 체험하고 역사공부도 할 수 있는 국민 큰 축제가 한글날에 광화문 일대에서 개최된다. 세종대왕나신곳성역화국민위원회와 (사)한국지역문화사업협회는 한글반포 571돌을 맞이하는 축하행사 '세종대왕 납시오!'를 9일에 광화문과 한글가온길,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시간별로 다채롭게 연다. 서울시 후원으로 열리는 행사로 ①한글가온길 즈려 밟기(순례), ②세계어린이미술대전, ③세종음악회, ④세종문화상 시상, ⑤세종과의 만남 순으로 진행한다.

가장 많이 눈길을 끄는 행사는 '세종과의 만남'이다. 소리꾼(권송희)의 소리와 함께 등장하는 세종대왕(배우 이종구)은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하여 한글학회 권재일 회장, 한글문화추진위원회 이대로 위원장, 한국지역산업문화협회 박선우 회장,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최홍식 회장, 세종대왕나신곳성역화국민위원회 최기호 상임대표 등과 이야기를 나눈다. 오늘의 한글문화와 한글사랑 보급에 관한 정책 및 덕담을 나누는 상황극으로 진행된다. 

한글 춤을 선보이는 '늘푸른 자연학교' 어린이들.
▲ '한글 춤을 춥시다' 한글 춤을 선보이는 '늘푸른 자연학교' 어린이들.
ⓒ 신향식

관련사진보기


김슬옹 세종학교육원 원장이 진행하는 한글가온길 즈려 밟기(진행:김슬옹, 세종학교육원 원장)에서는 고궁박물관에서 서울시청 다목적홀까지 이어지는 체험 행사다. 세종대왕과 한글에 관한 다양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최고의 행사다.

한글사랑 세계어린이미술대전(진행:이병철)은 광화문 주무대에서 전시를 하며, 시상식도 한다. 케이티(KT)의 디지털 전시도 동시에 열린다. 이어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는 세종음악회, 세종문화상 시상이 진행된다.

세종음악회(진행:강순예, 동시 작가)는 국악포크 팀 '해사한'이 시낭송과 노래, 여주 '늘푸른자연학교'가 한글춤, 어린이 노래 그룹 '작은평화'가 한글노래 공연을 하여 한글날 축하 분위기를 돋운다. 이에 앞서 세종음악회 길을 여는 행사로, 세종 태권도 시범단(감독 윤수한)'이 태권도 시범을 보인다.

어린이 노래패 '작은 평화'가 한글날에 기념 공연을 한다.
▲ 어린이 노래패 '작은 평화' 어린이 노래패 '작은 평화'가 한글날에 기념 공연을 한다.
ⓒ 신향식

관련사진보기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는 세종문화상(진행:최은경, 정음문화연구원장)의 첫 수상자로는 한글실천운동 부문 오동춘 씨, 한글예술 부문 이건만 씨가 선정되었다.

한글반포 571돌 기념행사 '세종대왕 납시오!'는 세종대왕과 서울시장, 한글단체장이 수많은 시민과 함께 외치는 만세삼창, "세종만세!, 한글만세!"로 막을 내린다.

이 행사 총감독인 한국지역문화사회협회 박선우 소장은 "많은 시민이 참여한다는 점에서 뜻깊고, 해마다 열리는 국가행사로 발전시킨 것"이라면서 "세계 문화축제에 한 획을 그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글가온길 즈려 밟기'는 고궁박물관에서 서울시청 다목적홀까지 이어지는 체험 행사다.
▲ 한글가온길 표지석 '한글가온길 즈려 밟기'는 고궁박물관에서 서울시청 다목적홀까지 이어지는 체험 행사다.
ⓒ 신향식

관련사진보기


한글문화추진위원회 이대로 위원장은 "문자의 탄생을 기리는 날은 전세계적으로 한글날이 전무후무하다"면서 "이날 행사가 세계적인 잔치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그:#한글날, #세종대왕, #한글, #훈민정음, #박원순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자 출신 글쓰기 전문가. 스포츠조선에서 체육부 기자 역임. 월간조선, 주간조선, 경향신문 등에 글을 씀. 경희대, 경인교대, 한성대, 서울시립대, 인덕대 등서 강의. 연세대 석사 졸업 때 우수논문상 받은 '신문 글의 구성과 단락전개 연구'가 서울대 국어교재 ‘대학국어’에 모범예문 게재. ‘미국처럼 쓰고 일본처럼 읽어라’ ‘논술신공’ 등 저술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