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포충사의 새 사당
 포충사의 새 사당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포충사 입구에 서서 안내판의 글을 읽는다. 역사유적이나 문화유산을 답사했을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이다.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호남 의병을 이끌고 금산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1533∼1592), 고종후(1554∼1593), 고인후(1561∼1592) 3부자와 유팽로(1554∼1592), 안영(1564∼1592)을 모신 곳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헐리지 않았던 전남 지역 2대 서원 중 하나이다.

포충사 사당의 고경명 선생 영정(재촬영한 것이므로 실물과는 여러모로 다릅니다.)
 포충사 사당의 고경명 선생 영정(재촬영한 것이므로 실물과는 여러모로 다릅니다.)
ⓒ 포충사

관련사진보기

이 건물은 왜란 후 호남 유생들이 충의로운 인물을 기리고자 세웠는데 1603년 고경명의 후손들과 제자인 박지효 등이 임금에게 청하여 "褒忠(포충)"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1980년에 새로운 사당과 유물 전시관 정기관, 내외삼문, 정화비 및 관리사무소 등을 세웠고, 이때 옛 사당을 보수하면서 충효당, 청사영당, 전사청, 고직사 등을 철거하였다. 그러나 옛 사당과 동서재는 본래의 위치에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채로 남아 있다. 포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문적 4종 9점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 21호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경내로 들어서면 길을 두 갈래로 나눠진다

안내판의 글을 읽은 후 정문을 통과한다. 길이 두 갈래로 나눠진다. 오른쪽에 유물 전시관(정기관)이 있고, 저 멀리 정면으로 사당이 보인다.

포충사 참배를 왔으니 응당 정기관부터 둘러볼 일이다. 정기관에는 고경명의 충절을 기려 토지에 대한 요역을 면제해 준다는 1594년 증명서 <입안> 복제품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요역이 무엇인지 알게 해주기 때문이다. 사전을 찾아본다. 국가가 백성의 노동력을 무상으로 징발하던 제도를 요역이라 한다.

그 외에도, 어머니의 뜻에 따라 고경명의 아들이 1610년 포충사 관리를 위해 논을 기증한 문서 <명문> 복제품, 고경명의 아들이 1618년 포충사 관리를 위해 노비를 기증한 또 다른 <명문> 복제품, 고종의 아들 이강이 고경명 집안을 칭송하여 내린 '一門忠孝萬古綱常(일문충효만고강상)', 즉 '일문의 충효는 만고에 변하지 않는 근본'이라는 뜻의 글씨로 만든 현판 등 볼 만한 것들이 많다. 

고종의 아들 이강이 내려준 "일문 충효 만고 강상"으로 제작한 현판
 고종의 아들 이강이 내려준 "일문 충효 만고 강상"으로 제작한 현판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고경명의 문집 <제봉집>
 고경명의 문집 <제봉집>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일반 시민이 고경명을 기리는 묘소, 신도비 등을 두루 찾아보기는 어렵다. 정기관은 답사자들을 위해 많은 사진과 탁본도 준비했다.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오동리 소재 '고경명 선생 묘' 사진, 신도비 사진, 신도비 탁본, 모표비 탁본, 충남 금산군 금성면 양전리 소재 '고경명 선생 순절비각' 탁본 등이 그들이다. 고경명의 시문 등을 모아 1617년에 목판으로 간행한 <제봉집>도 있다.

직진을 하면 새 사당, 왼쪽으로 가면 옛 사당

정기관 관람을 마친 뒤에도 길은 또 다시 두 갈래 나뉜다. 직진을 하면 사당으로 가게 된다. 왼쪽으로 가도 역시 사당으로 가게 된다. 사당으로 가는 길이 두 갈래로 나 있다는 말 같지만 그것은 아니다. 정면으로 가면 새로 지은 사당에 가고, 왼쪽으로 가면 옛날부터 있던 사당에 간다. 이정표에는 '사당'과 '옛 사당'으로 표현되어 있다.

정기관 : 포충사의 유물 전시관
 정기관 : 포충사의 유물 전시관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옛 사당이 더 궁금하다. 왼쪽으로 접어든다. 작은 동산 아래에서 새 이정표와 만난다. 새 이정표가 있다는 것은 길이 또 나뉜다는 뜻이다. 동산으로 곧장 올라가는 계단이 오른쪽에 있고, 평평한 길이 왼쪽으로 나 있다. 두 길 모두 끝은 옛 사당 외삼문이다.

두 노비를 기려 세운 자연석 빗돌

옛 사당으로 올라가는 길 입구에 세워져 있는 '충노비'
 옛 사당으로 올라가는 길 입구에 세워져 있는 '충노비'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이정표 바로 뒤에 빗돌이 하나 있다. '忠奴(충노) 鳳伊(봉이) 貴仁之碑(귀인지비)'라는 이름의 자연석 빗돌이다. 충성스러운 두 노비  봉이와 귀인을 기려 세운 비석이라는 말이다.

봉이와 귀인은 고경명 집의 가노(집의 하인)로, 금산 전투에 선생과 함께 참전했다. 두 가노는 '고경명 선생과 차남 인후의 시신을 거두어 정성껏 장사 지냈고, 이듬해 다시 고경명 선생의 장남 종후를 따라 진주성 전투에 참가해 왜적과 싸우다가 주인과 함께 순절하였다.' 안내판은 '국난을 당해 신분을 초월한 자기희생을 기리기 위해 자연석에 새긴 비'를 건립했다고 밝히고 있다.

옛 사당에 함께 모셔진 유팽로와 안영

유팽로는 1588년 문과에 급제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옥과(곡성)에서 살았다. 전쟁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고경명 군에 합세, 참모장 격인 종사관 역할을 수행했다. 고경명, 양대박과 더불어 전라도에서 가장 먼저 창의했다 하여 '삼창의(三倡義)'로 불렸다.  

일본군은 대군이자 정규군이고 아군은 소수에 훈련이 되지 않은 병사들이었다. 맞붙으면 일방적으로 불리했다. 유팽로는 험한 곳에 나누어 진을 치고 있다가 적이 허술해지면 그때 공격하자고 제안했으나 '오직 죽음이 있을 뿐'이라며 고경명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패전이 눈앞일 때 탈출했지만 고경명이 아직 적진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싸움터로 되돌아갔다. 그는 대장을 잠시 구하지만 결국 함께 전사한다.

포충사 옛 사당
 포충사 옛 사당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안영도 후퇴했다가 군대를 재건해서 싸우자고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안영은 고경명을 억지로 말에 태웠으나 승마에 서툰 고경명은 낙마했고, 말은 달아나버렸다. 안영은 자신의 말에 고경명을 태운 뒤 걸어서 수행했다. 하지만 몰려드는 일본군을 감당할 수 없어 대장, 유팽로, 고인후와 함께 순절했다.

고경명의 생애를 간결히 요약해서 보여주는 안내판

"선생은 1588년(명종 13)에 문과에 장원 급제했다(<중종실록> 1558년 11월 2일자 기사에 '문과에 고경명 등 35인을 뽑고, 무과는 남언순 등 28인을 뽑았다'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선생은 장원 급제 이후 중요 직책을 두루 거쳐 동래 부사에 이르렀는데 서인이 몰락할 때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에서 모집한 의병 6,000여 명을 이끌고 1592년 7월 10일에 금산에 침입한 일본군과 싸우다 눈벌에서 전사하였다." 

충남 금산 '고경명 선생 비' 앞 안내판은 고경명의 일생을 아주 간결하게 묘파했다. '고경명을 동래 부사로 삼았다'라는 내용은 <선조수정실록> 1589년 10월 1일자에 나온다. 고경명이 동래 부사를 그만두지 않고 계속 맡고 있었더라면 어찌 되었을까?

전쟁 발발 당시 동래 부사는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 주기는 어렵다'라는 명언을 남기고 장렬하게 순절한 송상현이다. 만약 고경명이 동래 부사로 계속 있었다면 임진왜란의 역사는 어느 부분에서 얼마만큼 바뀌었을까? 적어도 '호남 의병장 고경명'은 볼 수 없었으리라.

충남 금산의 '고경명 선생 비'
 충남 금산의 '고경명 선생 비'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1649년에 세워진 비석을 1940년에 부수는 일본

1649년(효종 1) 금산 군수 여필관이 비문을 지어 고경명이 전사한 눈벌 건너편 산기슭에 '고경명 선생 비'를 세웠다. 일본 경찰은 그로부터 291년 뒤인 1940년 이 비를 부수었다. 다시 77년이 흐른 오늘날에도 일본은 우리나라 곳곳에 세워져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부수지 못해 안달이다.

고경명 시조의 원문


보거던 슬뮈거나 못 보거던 닛치거나
제 낳지 말거나 내 저를 모르거나
찰하로 내 먼저 츼여셔 글이게 하리라

"보면 싫어지거나 못 보면 잊혀지거나
제가 태어나지 말았거나 내가 저를 모르거나
차리라 내 먼저 죽어 날 그리워하게 하리라."

차라리 내가 먼저 죽어 그로 하여금 나를 그리워하게 하리라! 선생이 이토록 애절히 사랑했던 대상은 누구였을까? 부인, 순절한 두 아들, 함께 전사한 의병들, 조국….

고경명은 먼저 이 세상을 떠났다. 우리는 과연 그를 진심으로 그리워하고 있는 것일까? 아직도 일제 강점기 때의 친일 문제를 슬기롭게 청산해내지 못하고 있는 우리 스스로를 돌이켜보지 않을 수 없다.


태그:#고경명, #평화의소녀상, #유팽로, #안영, #포충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