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느슨한 일상에는 가끔 설레임이 필요하다. 후텁지근한 삼복더위에 폭포수 소낙비를 바라는 마음이다. 중외공원 숲속에 자리한 광주시립미술관에서 '먹 산수의 대가' 아산 조방원(1926~2014) 전시를 보았다. '묵우(墨雨;1998)', 45도 각도로 퍼붓는 검은 빗줄기가 화면 80%를 뒤덮었다. 낚싯대를 거둔 다섯 하동(河童)이 검은 비를 헤치고 나온다. 그림밖에서도 소나기를 맞은 듯 가슴이 후련해진다.

전시를 보고 비엔날레 카페에서 차를 마신다. 때 맞춰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진다. 통유리 창을 때리는 빗방울, 제문헌 연못에 튀어 오르는 물방울, 수양버들가지도 '묵우' 그림속의 빗발처럼 45도로 휘날린다. 마치 방금 보고 온 아산선생 작품이 눈앞 현실로 나타나는 느낌이다. 찌는 삼복더위가 식고, 느슨한 심신에 생기가 돈다. 깜짝 소낙비 바람은 일상을 흔들어주는 설레임이었다.

느슨한 일상에는 가끔 설레임이 필요하다. 후텁지근한 삼복더위에 폭포수 소낙비를 바라는 마음이다.
 느슨한 일상에는 가끔 설레임이 필요하다. 후텁지근한 삼복더위에 폭포수 소낙비를 바라는 마음이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아쉽게도 소낙비는 짧다. 차를 다 마시기도 전에 그친다. 마치 폭염 날 샤워처럼 시원함이 오래 가지 못한다. 집안에서 폭염을 견디는 데는 샤워가 제일이다. 열대야 때문에 잠을 못자는 밤이면 샤워를 여러 번 해야 한다. 끈적거리는 땀을 물로 씻고 선풍기바람을 맞으면 조금 견딜 만 해진다. 그러나 몸 짜증을 식히는 샤워나 선풍기 바람은 설레임은 아니다.

일상에 지친 마음 짜증에 생기를 불어넣어야 설레임이다. 어떻게 해야 짜증나는 마음이 활기로 가득 찰까? 노래 부르는 사람, 붓글씨 쓰는 사람, 산보 가는 사람, 차를 마시는 사람... 사람마다 다 자기 방법이 있다. 차 마시는 그 시간, 붓글씨 쓰는 그 시간만은 생기가 돈다. 다만 그 설레임은 선풍기 바람처럼 오래가지 못한다. 마음 설레임을 한 나절 간직하는 방법은 없을까.

'마음 숨쉬기!', 성자 간디는 '숨 쉬듯 기도를 멈추지 말라'고 한다. "단 1분이라도 숨쉬기를 멈추면 몸은 죽어간다. 마음숨쉬기인 기도를 단 1분이라도 멈추면 마음이 미쳐간다"고 말한다. 틱낫한 스님도 기도의 힘을 말한다. "삶 전체가 기도가 되게 하라. 앉아서, 서서, 누워서, 빨래하면서, 차 운전하면서 기도하라." 성자가 아닌 일상인이 삶 전체를 기도로 채울 수 있을까?

한 나절만이라도, 기도를 하면 틀림없이 두려움이 사라질 것 같다. 짜증나는 일들도, 마귀가 십자가 무서워 도망치듯 멀리 도망칠 것 같다. 그런데 무슨 기도를 드릴까. '숨 쉬듯 멈추지 않는' 기도문은 무엇이 되어야할까. 간절한 마음이 없는 기도는 허세이다. 설레임을 부르는 간절한 마음을 담아 시를 외워본다. 시문이 기도문이 된다. 시 암송은 나의 기도이다.

"당신이 마냥 사랑해주시니 기쁘기만 했습니다. 언제 내가 이런 사랑을 받으리라 생각이나 했겠습니까. 밥도 안 먹고 잠도 안 자고 당신 일만 생각했습니다. 노을빛에 타오르는 나무처럼 그렇게 있었습니다 해가 져도 나의 사랑은 잠들지 않고 나로 하여 언덕은 불붙었습니다. 바람에 불리는 풀잎 하나도 괴로움이었습니다 나의 괴로움을 밟고 오소서, 밤이 오면 내 사랑은 한갓 잠자는 나무에 지나지 않습니다." - <노을>, 이성복

"내 마음은 골짜기 깊어 그늘져 어두운 골짜기마다 새들과 짐승들이 몸을 숨겼습니다. 그 동안 나는 밝은 곳만 찾아 왔지요. 더 이상 밝은 곳을 찾지 않았을 때 내 마음은 갑자기 밝아졌습니다. 온갖 새소리, 짐승 우짖는 소리 들려 나는 잠을 깼습니다. 당신은 언제 이곳에 들어오셨습니까." - <만남>, 이성복

'마냥 사랑해주시는 당신'이 있는 세상은 설레임이 있는 세상이다. '언덕을 불붙인 내 사랑'이 있는 밝은 세상이다. 일상이 설레임으로 변한다.
첨부파일
묵우(1998).zip


태그:#설레임, #사랑, #세상, #소낙비, #시암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무리 어려운 문제도 글로 쓰면 길이 보인다'는 가치를 후학들에게 열심히 전하고 있습니다. 인재육성아카데미에서 '글쓰기특강'과 맨토링을 하면서 칼럼집 <글이 길인가>를 발간했습니다. 기자생활 30년(광주일보편집국장역임), 광주비엔날레사무총장4년, 광주대학교 겸임교수 16년을 지내고 서당에 다니며 고문진보, 사서삼경을 배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