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조선혜

관련사진보기


농업협동조합·저축은행 등 제 2금융권에서 가계 등에 빌려준 돈이 지난 4월 한 달 만에 20조 원 넘게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지난 1993년 이후 사상 최대폭의 증가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안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를 더 올리면 시중이자도 올라 대출자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비은행금융기관이 가계, 기업 등에 빌려준 돈은 762조2869억 원이다. 2금융권으로 불리기도 하는 비은행금융기관에는 농협,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 생명보험, 저축은행 등이 포함된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여신 잔액은 4월 한 달 만에 20조2203억 원 늘었다. 3월에는 그 전월보다 1조4688억 원 증가했는데, 이와 비교하면 한 달 새 2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대해 김인구 한국은행 시장총괄팀장은 "자산운용사, 신탁회사 등의 머니마켓펀드(MMF)가 각각 4조 원, 5조 원 늘었고 우체국 등의 경우 5조 원 증가했다"며 "상호금융, 새마을금고는 3조 원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한 분기가 끝날 때마다 여신이 증가하는데 그런 현상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산운용사 등이 채권을 많이 사들이면서 여신도 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호금융 등이 빌려준 돈의 증가 규모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 가운데 가계에 빌려준 돈만 놓고 봐도 그 증가 폭이 전월보다 커졌다.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지난 4월 한 달 간의 2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2조6000억 원 확대됐다. 3월 한 달 동안 2조5000억 원 증가한 것보다 1000억 원 더 늘었다. 이어 5월에는 한 달 간 3조7000억 원이나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달 2금융권에서 빌려준 돈이 2조6000억 원 늘어난 것보다 1조1000억 원이나 확대된 것이다. 

2금융 주택담보대출 기준 강화했지만 증가 규모 더 커져

이를 금융기관별로 살펴보면 상호금융의 가계대출은 지난 4월 1조8000억 원 늘어 3월 1조9000억 원 증가한 것보다는 다소 주춤한 모양새다. 하지만 5월에는 다시 전월보다 2조3000억 원이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보험의 경우 3월에는 전월보다 1000억 원 늘었고, 4월 3000억 원, 5월에는 5000억 원 늘어 그 증가폭이 꾸준히 커졌다. 저축은행의 경우 3월 1000억 원, 4월 3000억 원 늘었다가 5월에는 2000억 원 늘면서 다소 진정됐다. 같은 기간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대출 증가액은 4000억 원, 2000억 원 등으로 줄어드는 듯하다가 5월에는 7000억 원으로 확대됐다.

이에 대해 이상훈 저축은행중앙회 팀장은 "2금융권 전체 대출이 늘었다는 것은 은행 거래가 어려워진 이들이 2금융권을 찾았다는 의미"라며 "저축은행 대출이 증가한 것도 경기가 어려워져 자금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2금융권의 대출 증가액이 확대되는 것은 금융당국이 3월부터 상호금융권에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도입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대출이 이전보다 늘어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그 증가액이 느는 것에는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당시 발표한 정책은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원금과 이자를 함께 나눠 갚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는 이자를 먼저 갚으며 원금은 이후에 갚을 수 있었던 이전보다 기준을 더 강화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지난 14일(현지시간) 0.75∼1.00%인 기준금리를 1.00∼1.25%로 올리면서 우리의 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아진 점이다. 일부에선 미 연준이 올해 안에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리 오르면 2금융권 대출자 부담 커져 "빚 탕감 먼저 해야"

이와 함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금리가 올라갈 경우 은행과 같은 1금융권보다 높은 이자로 2금융권에서 돈을 빌린 이들의 부담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6월에는 증가세가 마이너스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2금융권 대출이 워낙 많이 늘다 보니 줄어들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2금융권 대출 증가세를 잡으려면 보다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저소득, 저신용, 다중채무자의 빚을 탕감해 없애버리고 그 다음 소득을 늘리는 정책을 기본적으로 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전 교수는 "최저임금을 올리는 등 경제구조 전체에 대한 대책 없이는 가계부채 문제가 없어지지 않는다"며 "다중채무자 탕감을 먼저 시행한 후 주택담보대출 정책에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태그:#한국은행, #2금융권, #대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