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이 글을 쓰는 뜻
곁님·10살 아이·7살 아이하고 함께 살림을 짓고 시골에서 살며 한국말사전을 새로 쓰는 일을 하는 사내(아저씨)입니다. 시골 폐교를 빌려서 도서관학교로 가꾸면서, 우리 집 두 아이는 제도권학교 아닌 '우리 집 학교'에서 즐겁게 가르치고 함께 배웁니다. 어버이로서 두 아이한테 무엇을 가르치면 아름다울까 하고 생각하며 스스로 날마다 새롭게 배우는 살림입니다. 밥·옷·집을 손수 지으며 누리고 나누자는 마음으로 밑바닥부터 하나하나 익히려는 사랑을 길어올리려 합니다. 이러한 뜻으로 '아이키우기(육아)·살림(평등)·사랑(평화)'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남자도 여자도 아닌, 사람으로 사는 사랑을 이야기하면서 '여성혐오'도 '여성혐오를 혐오'하는 길도 아닌, 새로운 사람길을 밝혀 보고 싶어요



<달려라 하니>에서. 하니가 매우 서툴게 무를 써는 모습을 지켜보는 홍두깨 선생님
 <달려라 하니>에서. 하니가 매우 서툴게 무를 써는 모습을 지켜보는 홍두깨 선생님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만화책 <달려라 하니>가 있습니다. 1985년에 나온 만화이고, 1988년에 만화영화로도 나왔어요. 만화책은 이제 찾아보기 매우 어렵지만, 만화영화는 텔레비전에서 곧잘 다시 나오기도 해서, 이 만화가 처음 나오던 1980년대 어린이뿐 아니라 1990년대나 2000년대 어린이도 '하니' 이야기를 알 수 있습니다.

뜬금없는 하니 이야기를 꺼낸다고 여기실 수 있을 텐데, 우리 집 아이들은 2010년대를 살아가지만 이 하니를 압니다. 저한테는 <달려라 하니> 만화책이 있어요. 꽤 오래된 만화영화이지만, 동영상을 장만할 수 있기도 해요. 아이들하고 만화책을 돌려서 보거나 만화영화를 함께 보곤 합니다. 아이들은 하니 만화에서 이래저래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찾아내는데, 며칠 앞서 '홍두깨 선생님이 옥탑에 있는 하니네 자취방에 찾아가서 김치를 담그는 모습'을 아주 재미있다면서 자꾸 말해요. 홍두깨 선생님이 손이 안 보일 만큼 빠르게 무를 써니까 무가 숭숭숭 썰리면서 하늘을 날아 커다란 통에 담긴다고 말이지요.

부엌에서 무를 썰며 아이들한테 이야기합니다.

"자, 보렴, 무를 아주 빨리 썰어도 만화영화처럼 하늘을 날지는 않아. 만화영화는 사람들이 더 재미나고 또렷하게 잘 느껴 보라면서 그렇게 보여준단다. 음, 그런데 생각해 보면, 우리가 그야말로 손이 안 보이도록 무를 썰면 무가 숭숭숭 하늘을 날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

<달려라 하니>에서. 홍두깨 선생님은 손이 안 보일 만큼 빠르게 무를 썰면서 김장이란 무엇인가를 하니한테 알려줍니다.
 <달려라 하니>에서. 홍두깨 선생님은 손이 안 보일 만큼 빠르게 무를 썰면서 김장이란 무엇인가를 하니한테 알려줍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아이들이 재미있다고 하는 '썰린 무가 하늘을 나는 모습'을 가만히 생각하다가 문득 한 가지를 알아챕니다. 1980년대 첫무렵에 나온 만화책 <달려라 하니>에 나오는 홍두깨 선생님은 '사내'이지만 김치를 담글 줄 알 뿐 아니라, 밥이나 국을 매우 잘 합니다. 다른 '하니' 이야기에 나오는 '만화가 홍두깨 아저씨'도 밥솜씨가 얼마나 훌륭한지 몰라요.

1980년대에 '사내가 부엌칼을 쥐는 일'은 으레 손가락질이나 놀림을 받았습니다. 그런 때였어도 만화에서는 '부엌칼을 쥔 사내'를 그렸어요. 이 대목을 좀 곰곰이 생각해 봐야지 싶어요. 홍두깨 선생님이나 홍두깨 만화가는 어머니나 곁님 없이 홀로 살림을 짓습니다. 혼자서 김치도 담가야 할 테고, 밥도 짓고 국도 끓여야 할 테지요. 빨래이며 청소이며 홀로 거뜬히 해내야 할 테고요.

만화에서 '하니'가 가시내 아닌 사내였다면, 하니가 집을 뛰쳐나와 옥탑방에서 혼자 먹고산다고 할 적에 무엇을 했을까요? '가시내 아닌, 사내 하니'는 김치를 담그겠다고 생각할까요?

만화를 보면서 '살림'을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혼자 제금을 난다고 할 적에는 밥이며 옷이며 집을 스스로 건사합니다. 가시내이건 사내이건 손수 밥을 지어야 합니다. 김치나 반찬도 손수 마련해야 할 테고요. 빨래나 청소도 손수 해야 할 테고요. 우리는 가시내나 사내를 떠나서 옷이랑 집이랑 밥을 건사하는 살림을 누구나 배울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저는 집안일을 얼추 열 살 무렵부터 거들었다고 떠올라요. 그무렵부터 뭔가 머리가 굵으면서 이런저런 집안일을 거들었구나 싶어요. 그즈음 마을 이웃 아주머니들은 으레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종규 너는 어쩜 그렇게 어머니를 잘 돕니. 야무지지. 너는 여자로 태어났어야 하는데." "그러게 말야, 쟤는 여자로 태어났어야 하는데." "여자로 태어나서 일을 도우면 얼마나 잘 도울까." "우리 집 딸은 일을 시키면 얼마나 싫어하는지 몰라." "싫어하기만 하면 좋게. 우리 집 딸은 일도 잘 못해."

함께 살림짓는 길을 어릴 적부터 가시내하고 사내 가르지 말고 즐거이 배우며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함께 살림짓는 길을 어릴 적부터 가시내하고 사내 가르지 말고 즐거이 배우며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김장철에는 한 집에서만 김장을 하지 않고 집집마다 온 살림을 너른 마당에 다 내어놓고 함께 합니다. 그야말로 여기도 저기도 온통 김장 담그는 일로 시끌벅적해요. 어머니 곁에서 어머니 일손도 거들고 이웃 아주머니 일손도 거들다가 이런 말을 들으니 아뭇소리도 할 수 없는데다가 얼굴이 벌게집니다. 얼굴이 너무 화끈거려 그 자리에 그대로 있으며 어머니를 거들지 못하겠어요. 얼른 자리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마음에도 없는 "이제 좀 놀러갈게요" 하는 말을 짧게 내뱉고는 후다닥 달아납니다.

달음박질을 치며 그 자리를 빠져나옵니다. 그렇다고 동무들이 노는 곳으로 가지 않습니다. 우리 마을을 벗어나서 기찻길로 갑니다. 오래되어 하루에 몇 번 안 지나가는 기찻길이 마을 가까이 있었어요. 그 기찻길을 여러 시간 하염없이 거닐며 '애먼 시간을 때웠'습니다. 이동안 생각에 잠겼어요.

'그래, 내가 가시내로 태어났으면 느긋하게 김장을 거들며, 김치를 어떻게 담그는가를 배울 수 있었겠지. 그런데 사내로 태어나도 김장을 거들며 김치를 어떻게 담그는가를 배우면 되지 않아? 왜 가시내만 김장을 거들고 김치 담그기를 배워야 해? 왜 가시내한테만 김장을 가르쳐야 해? 왜 가시내한테만 집일을 시켜야 해? 왜 사내는 놀기만 하고 집일을 안 배워? 이건 뭔가 잘못이 아니야?'

마을에서나 학교에서나 '평등'이라든지 '남녀평등(또는 여남평등)·성평등' 같은 말은 한 마디도 듣지 못하던 어린 날입니다. 1980년대를 이렇게 보냈어요. 평등이라는 말을 듣지도 보지도 못했으니 알지도 못했습니다만, 가슴에 어떤 싹 하나가 몽실몽실 태어나려고 했어요.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글쓴이 누리집(http://blog.naver.com/hbooklove)에도 함ㄲ게 올립니다.



태그:#남자도 여자도 아닌, #살림노래, #삶노래, #성평등, #집안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