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리처드 파인만. 아인슈타인의 뒤를 이은 20세기 최고의 스타 물리학자이자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사람. 1986년 미국 우주왕복선위원회 위원으로 일할 때 그 유명한 우주왕복선 챌린저 호의 폭발 사고 원인을 풀어내며 전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린 바로 그 파인만이다. 일찍이 제2차 세계대전 중 미국의 원자 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했고, 1965년엔 노벨물리학상을 타기도 했다. 

서른도 되기 전에 코넬 대학교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한 파인만은 1950년부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일명 '칼텍'에서 재직한다. 1981년 가을, 한 젊은 과학도가 연구원으로 부임해 파인만 연구실 근처로 온다.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더숲)를 비롯해 많은 베스트셀러 과학 교양서를 낸 칼텍 교수 레너드 믈로디노프였다. 젊디 젊은 그는 명성이 자자한 박사 논문을 써 칼텍에 스카웃됐다.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표지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표지
ⓒ 더숲

관련사진보기

젊은 시절 믈로디노프의 회상이 담긴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를 통해 우리는 리처드 파인만의 특별한 말년을 엿볼 수 있다. 이밖에도 1969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머레이 겔만과 리처드 파인만의 은근한 경쟁과 서로를 향한 존경, '모든 것의 이론' 후보 중 하나이자 현재 가장 중요한 이론인 끈 이론의 초기 모습을 읽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 길 잃은 젊은 물리학도의 모습을 통해 보편적 삶과 길을 함께 고민할 수 있다. 저자는 파인만에게 길을 물었고 부단한 고민 끝에 그 길을 간다.

'과연 내가 이곳에 맞는 사람일까'하는 고민은 모든 이들이 한다. 누군가는 '이런 누추한 곳'은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 테고, 누군가는 '이런 대단한 곳'은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 테다. 나는 지극히 후자의 입장인데, 가끔은 전자처럼 생각하기도 한다.

저자는 박사 논문이 몇몇 유명한 물리학자들의 눈길을 끈 '덕분에' 칼텍이라는 위대한 곳에 특별연구원 자리를 얻었다고 생각했다. '내가 이런 대단한 곳에 맞는 사람일까'하는 생각을 끊임없이 되풀이했고, 그때마다 파인만을 찾아가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 '나의 아이디어가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 과학자는 어떻게 생각할까? 창조성의 본질은 무엇일까?' 그는 파인만으로부터 과학과 과학자의 본질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따로 있었다. 파인만 덕분에 새로운 각도로 삶에 접근하게 됐다는 것이다. 그만의 길을 찾았다는 뜻일 테다. 우리가 이 책을 보며 얻게 될 것도, 얻어야 하는 것도 과학 혹은 과학자의 본질보다는 그것이지 않을까.

대단하지 않은 말들, 거기서 얻는 대단한 깨달음

우리 또한 파인만의 말에서 어떤 크나큰 깨달음을 얻으려 해선 안 된다. "배울 게 많을 것 같다"는 저자의 말에 파인만은 "나는 나 자신 말고는 다른 사람들한테 뭐가 좋은지 잘 모른다"라고 대답한다. 더불어 그는 지극히 당연하고 누구나 알고 있을 법한 이야기만 한다. 물론 그 속에는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깨달음이 있다. 

상대방의 진심을 얻으려면 자기 자신부터 진심으로 다가가야 한다. 저자는 파인만에게 사심이 아닌 오직 길을 찾기 위해 다가간다. 전설적인 존재와 친해져 그 유명세로 사익을 얻고자 했다면 오래지 않아 더 이상 파인만을 볼 수 없었을 것이다.

파인만은 저자를 가장 괴롭힌 문제인 '과학자의 자질'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보통 사람이 하는 일과 과학자가 하는 일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

문제 해결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한다. 

"문제 푸는 건 간단한 거야. 모두 상상력과 끈기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지."

이 말을 들은 저자는 아래와 같이 생각을 정리한다.

"가정에 가정을 되풀이하고 어림에 어림을 되풀이해야 한다. 여기에 앞으로 나가는 능력, 직관을 따르는 능력, 자신이 하는 일을 스스로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을 믿어야 한다."

당연한 말이 아닌가 하다가도, 이런 당연한 말을 하기까지 어떤 역경을 겪었을까 생각하면, 마냥 당연하게만 들리지 않는다. '재미 있는 일'과 '가슴이 뛰는 일'을 하라는, 다분히 자기계발적이고 그래서 오글거리기까지 한 파인만의 조언도 다르게 다가오는 것과 비슷하다.

데카르트의 수학적 분석에 영감을 준 무지개의 가장 큰 특징을 묻는 파인만에게 당연하게 과학적으로만 대답한 저자. 거기에 다시 답하는 파인만의 대답이 압권이다. 이는 저자가 가려 하는 '파인만의 길'이자 파인만의 과학이다.

"자네는 이 현상의 핵심적인 특징을 놓치고 있군. 그의 영감의 원천은 무지개가 아름답다는 생각일세."(본문 159쪽)


아름다움을 놓치지 않고 행복을 추구하는 삶


그래서 저자는 어떤 삶을 살기로 결심했을까. 그가 걸어가기로 한 파인만의 길은 어떤 것일까. 인류 역사에 길이 남을 전설적인 인물인 리처드 파인만의 길은, 누가 보아도 성공한 길이었다. 성취하고, 남에게 감명을 주고, 중요한 사람이 되고, 리더가 되는 것 말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것은 파인만이 아니라 겔만의 길이라고 말한다.

파인만의 길은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와는 관계없었다. 자신을 감동시킨 목표를 추구하며 자기 인생의 한정된 시간을 쓰고, 삶에서 '아름다움'을 절대 놓치지 않는 삶이었다. 파인만의 길을 저자의 길로 치환하면, '하나의 연구 분야에만 매달리지 않고, 한 가지 직업에만 매달리지도 않는, 내부에 초첨을 맞춰 관습적인 또는 물질적인 맥락에서의 성공을 거두지 못할 수도 있는 삶'이 된다.

마치 저자는 이렇게 묻는 듯하다. 너는 어떤 길을 가고 싶으냐고. 갈피를 잡지 못했다면 나를 따라 파인만의 길을 가보는 게 어떻겠냐고. 행복은 내 자신이 통제할 수 있으며, 내가 통제할 수 있는 행복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 아니냐고 말이다. 비록 수많은 사람들의 비난과 무시, 경멸감 어린 시선을 받을지 모르지만 말이다.

한편 이 책은 '스승' 리처드 파인만에 관한 책이기도 하다.

저자는 평생 애제자 한 명 남기지 않은, 일반적인 시선에서 봤을 때 스승과는 거리가 먼 파인만이야말로 진정한 스승이라고 생각한다. 스승은 제자가 만드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다. 진정한 스승은 진심어린 마음만 전할 뿐 진심 따윈 없는 기술을 전하는 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도 든다. 이 책을 읽으며, 파인만이라는 새로운 스승을 발견하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겠다.

시대의 스승들이 많이 세상을 떠났다. 마음 둘 곳이 점점 없어진다. 또 한편으로는 내가 또는 내 또래의 누군가가 시대의 스승 역할을 해야 할 때가 올 것이라 생각해 본다. 한없이 부끄럽고 저어되지만, 누군가는 시대를 이끌며 다음 세대를 끌어올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레너드 믈로디노프 지음, 정영목 옮김, 더숲 펴냄, 2017년 3월)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 세계적 물리학자 파인만이 들려주는 학문과 인생, 행복의 본질에 대하여

레너드 믈로디노프 지음, 정영목 옮김, 더숲(2017)


태그:#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리처드 파인만, #물리학, #삶, #아름다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