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밭떼기(포전) 상인이 생산 농민에게 배추 한포기를 292원에 사서 도매법인에 868원에 넘긴다. 도매법인은 중도매인에 933원에 팔고 다시 1163원에 소매상으로 간다. 결국 소비자는 농민이 292원에 판 배추 한포기를 5배인 1400원에 사게 된다.

2012년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생산·소비자가 손해를 보는 왜곡된 대표적 유통 구조 사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전국 농협 조직망을 활용한 품목별 산지조직출하를 유도해야 한다."

충남도 남궁영 행정부지사가 지난 20일 기자브리핑에서 '충남의 제안'을 통해 농산물 산지 유통체계 확립을 강조했다.

현재 실정은 쌀을 뺀 전국 농산물의 84%가 밭떼기를 통해 도매법인 또는 중도매상에게 개별로 출하하고 있다. 농민이 가격결정권을 조금이나마 행사할 수 있는 산지조직을 통한 유통은 16%에 불과하다. 도매시장과 대형마트가 농산물 70% 이상을 독과점하고 있으니 우월적 지위를 행사할 수밖에 없는 것.

독과점 구조에 대응해 농민중심의 가격교섭과 수급조절기능을 확보하려면 광범위한 품목산지조직출하가 필수적이다.

그동안 충남도는 농산물 브랜드화(충남오감·통합마케팅) 판로확보 등을 매개로 산지조직 출하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도매시장 대형마트에 밀려 성과를 낼 수 없었다. 이에 도는 전국농협조직망(지역농협 1131곳)을 활용하면 광범위한 산지조직출하와 유통·수급조절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도단위 농협조공법인(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을 만들어 그 안에 수박센터, 사과센터 등 품목별 광역센터를 두는 방식이다. 그러면 각 품목별 산지조직에서 생산한 농산물이 지역농협 책임아래 각 광역센터로 입고 된다.

이곳에서 공동선별과 포장이 이뤄지면 도농협조공법인은 도매시장과 대형마트를 상대로 가격협상을 벌이고 수급조절을 하게 돼 경쟁력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한편 농산물유통구조 개혁에 있어 농협의 책임적 역할은 수십년 전부터 강조됐던 과제다. 지만 농협중앙회 등 농협의 조직·지배구조가 농업, 농민과 직접 연동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어서 농산물유통혁신은 이뤄지지 않았다.

충남 예산군 오가면에서 배추를 생산하는 한 농민은 "농협의 주인이 진정 농민이었으면 벌써 해결될 문제였다. 신용사업만으로도 배가 부른데 그들이 골치아픈 경제사업을 왜 하겠냐"고 꼬집은 뒤 "지금 농촌은 밭떼기 상인이 없으면 농사를 짓지 못할만큼 의존적이 돼 버렸다. 농사만 잘 지어놓으면 일꾼까지 데리고 와서 직접 수확을 해가는데…. 한마디로 그 사람들 없으면 농사를 져먹을 수 없는 세상이 됐다"고 한탄했다.

덧붙이는 글 | 충남 예산에서 발행되는 지역신문 <무한정보>와 인터넷신문 <예스무한>에도 실렸습니다.



태그:#농산물유통구조, #밭떼기, #광역조공법인, #산지조직출하,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