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수선화 혁명'(?), 나만의 생각이다. 그냥 붙여본 것이다. 왜, 그런 것 있지 않은가. 제3세계에 속한 나라들의 민중혁명에 꽃 이름을 붙여 부르는 것 말이다.

튀니지의 자스민 혁명, 이집트의 연꽃 혁명, 그루지아의 장미 혁명 등. 그런데 왜 혁명에 꽃 이름을 결합시키는 걸까. 혁명이 힘과 힘의 대결이라면 꽃은 그 반대 개념이 아닌가.

어떤 시인은 이렇게 상상의 나래를 폈다. 꽃과 피(血)는 동의어다. 꽃에 붙는 동사는 다른 것이 아닌 '피다'이다('꽃이 말하다', '꽃이 먹다'…가 아님). 혁명엔 피의 희생이 따랐다. 혁명은 꽃이면서 피다.

(꽃이) 피다의 반대말은 '지다'이다. 혁명을 성공시키지 못하면 '지는(패하는)' 것이다. 꽃이 지는 것과 혁명에서 지는 것은 궁극적으로 같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꽃과 혁명을 조합한 이유이다. 그럴 듯하지만 사실에 부합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자, 그렇다면 지난 겨울을 뜨겁게 달구었던 우리의 촛불 혁명에 꽃 이름을 갖다 붙인다면?

수선화가 어떨까. 수선화 혁명.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수선화가 겨울 꽃이라는 것. 개화 시기가 12월에서 3월 사이이다. 대통령을 탄핵시킨 우리의 촛불집회 기간과 일치한다.

둘째, 수선화 꽃말의 의미이다. 여러 가지 뜻이 있지만 자기애(自己愛), 고결, 가르침 등의 뜻에 주목하고자 한다. 촛불혁명의 주체는 시민들이다. 시민이 주인임(자기애)을 확인하는 기회였다.

셋째, 3개월 동안 20회에 걸쳐 촛불을 밝혔다. 참석자는 연인원 1천6백 만 명을 넘었다. 이런 대규모 집회에서 단 한 건의 불상사(구속자 무, 부상자 무)가 없었다는 것은 기적이다. 참가자들의 높은 시민 의식, 즉 수선화와 같은 고결성을 말해 주는 것이다.

넷째, 촛불집회는 좋은 학습의 장이었다. 각계각층의 사랑들이 모여 다양한 목소리를 냈지만 궁극의 목표는 같았다. 박근혜 탄핵! 다른 소리를 들음으로써 사고(思考)의 폭을 넓혔다. 수선화의 꽃말 '가르침'의 전용(轉用)이다.

다섯째, 우리나라가 수선화의 주요 서식지 중 한 곳이라는 점이다. 수선화의 말뜻이 우리의 촛불집회와 부합한다 해도 한반도에 서식하지 않아 생소한 꽃이라면 문제가 있다. 하지만 수선화는 우리에게 가까이 있는 친근한 꽃이다.

여섯째, 수선화는 수선(修繕, 고치기)을 촉구하는 꽃이다. 촛불집회는 잘못된 것을 고치자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운동이다. 대통령 탄핵으로 그 일차적 목표가 이루어졌다. 아직 수선되지 못한 것들은 고쳐지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수선화 혁명, 듣기와 말하기에도 자연스럽다. 우리의 촛불혁명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하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한다. 개인이 아닌 기관 및 단체가 받은 전례가 있어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닌 것 같다. 그렇게 되면 좋겠다.

우리의 '수선화 혁명'(?)은 대통령을 탄핵하는데 기본 동력이 되었다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거기에 더해 국민의 높은 민주주의 수준을 세계에 알렸다는 사실도 중요하다.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배워야 한다고 각국 언론들이 보도하고 있다. 즐거운 일 아닌가!

덧붙이는 글 | 이것은 대구 경북 지역 언론 '뉴스민'에도 기고한 글입니다.



태그:#촛불집회, #수선화혁명, #대통령탄핵, #꽃말, #노벨평화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포도 향기 그윽한 김천 외곽 봉산면에서 농촌 목회를 하고 있습니다. 세상과 분리된 교회가 아닌 아웃과 아픔 기쁨을 함께 하는 목회를 하려고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