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보령 씨앗나눔, 공식행사로는 작년에 이어 두번째입니다.

2016년 보령토종 씨앗나눔 행사 준비
 2016년 보령토종 씨앗나눔 행사 준비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작년엔 보령기술센터에서 했는데 올해는 구제역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지 않았으면 한다고 해서 급히 잡은 곳이 웅천복지회관입니다. 길고양이 한 마리가 우두커니 앉아 저를 맞이하고 있어요. 어디에선가 추운 밤을 보내고 따뜻한 볕을 쬐러 나온 듯 합니다.

토종씨앗 나눔행사가 열린 보령시 웅천복지관
 토종씨앗 나눔행사가 열린 보령시 웅천복지관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씨앗을 '나눈다'는 것,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농사짓는 사람들은 보통 씨앗을 사서 심어요. 아니면 모종을 사기도 합니다. 예전에나 씨앗을 받아 다음 해에 심었지 요즘은 대부분 종묘상에서 구매해서 농사를 짓습니다.

그런 씨앗들은 한번 재배하면 끝입니다. 다시 씨앗을 받아도 그건 생명력이 없는 경우가 허다해요.

[관련기사] '1농가 1토종 갖기 운동 필요, 토종을 응원한다'

위 글에도 나오지만 중요한 것은 언제 큰 문제가 터질 지 모른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청양고추'의 씨앗 값이 하루아침에 두 배로 뛴다면? 씨앗을 팔면서 농약이나 비료를 묶음으로 판다면?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오래 전부터 우리 씨앗을 지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저 또한 5년 전 쯤 이 사실을 알고 씨앗으로 농사짓는 일에 뛰어들었습니다.

나눔에 쓰라고 보내온 씨앗
 나눔에 쓰라고 보내온 씨앗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씨앗을 받아 농사짓는 데는 대부분 토종씨앗이 그 중심입니다. 토종, 재래종 그리고 외래종 등 다양한 분류방식에 대한 얘기는 여기서 하기에 너무 기니까 그만두기로 하고 어쨌거나 중요한 것은 '씨앗을 받아 다시 심을 수 있는 씨앗'을 소중히 여기고 지켜나간다고 보면 됩니다.

그런 사람들의 모임이 많이 있어요. 그 중심에 '씨드림'이 있고 '전여농'도 있습니다. 사람으로 치면 '안완식 박사', '변현단 선생', '안철환 선생' 등이 있습니다.

2017 씨드림 씨앗나눔 현장
 2017 씨드림 씨앗나눔 현장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일부 사람들이 토종씨앗을 판매하기도 합니다만 위에서 말한 모임에서는 절대 씨앗을 팔지 않습니다. 그게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단, 모종은 판매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씨앗을 지켜나가는 사람들이 각 지역에 '씨앗도서관'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씨앗을 빌려오고 나중에 돌려주는 그런 개념입니다. 보령과 가까운 곳에는 '홍성씨앗도서관'이 있습니다.

홍성씨앗도서관
 홍성씨앗도서관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그동안 농사지어 씨앗을 받아 모은 것들을 사람들과 나누기로 했습니다. 당연히 무료로 드리는 것이고 어떤 대가를 바라지 않습니다. 그것이 바로 예전부터 씨앗을 받아 계속 지켜온 우리 할머니들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보령 씨앗나눔행사에 가져간 씨앗은 전부 50여 가지 정도입니다. 일부는 나눔행사를 통해 받은 씨앗이고 또 어떤 것들은 저와 제 친구가 2년 이상 재배해서 씨앗을 받은 것들입니다. 나눔으로 받은 씨앗은 양이 많지 않고 직접 채종한 것들은 대부분 넉넉합니다.

준저리콩
 준저리콩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준저리콩은 아랫집 할머니로부터 얻은 것입니다. 지역에 따라 쥐눈이콩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콩나물용으로 좋습니다.

올해는 이런 식으로 보령 각지역을 돌아다니며 토종씨앗을 채집할 생각입니다. 그렇게 자료를 모으고 나중에는 보령토종씨앗이라는 이름의 도감을 만들 계획도 있습니다.

토종고추인 곡성초 씨앗을 말리고 있다
 토종고추인 곡성초 씨앗을 말리고 있다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전남 곡성에서 발견된 곡성초라는 고추입니다. 작년에 고추 서너 개를 얻어와서 심었는데 씨앗을 아주 많이 받았습니다. 개량종과 다른 방식으로 심었어요. 땅을 갈지 않고 비닐도 사용하지 않고 농약, 비료 없이 재배했습니다.

강한 바람에 쓰러지기도 했지만 이내 잘 살아났습니다. 벌레방제를 위해 허브종류인 '딜'을 함께 심었더니 효과를 좀 봤습니다. 그게 딜 때문인지 정확히 알기위해 올해도 또 시험해 볼 생각입니다.

'토종은 늦되다'란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직접 키워보니 그렇더군요. 오이도 고추도 서리내릴 때까지 수확할 수 있었습니다.

아주까리밤콩
 아주까리밤콩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아주까리를 닮은 색깔에 밤맛이 나는 콩입니다. 회원 한 분이 '언니네텃밭'에서 분양받아 나눔에 쓰라고 제게 주셨어요.

여기서 문제를 하나 내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에 나오는 콩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콩 이름은 무엇일까요?
▲ OOOO 콩 콩 이름은 무엇일까요?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힌트를 드리자면,

'옛날 한 선비가 과거를 보러 한양을 가던 중 어느 집에서 밥을 먹다 이 콩을 먹고는 과거를 포기하고 주저 앉았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또는 선비가 먹물 묻은 손으로 콩을 잡아서 노란콩에 저런 검은 색이 묻었다는 설도 있어요.

정답은 위 힌트에서 글자 두개를 꺼내 이어붙이면 됩니다.  OOOO콩.

(이 글 맨 아래에 정답이 나와 있습니다.)

2017 보령 토종씨앗 나눔행사
 2017 보령 토종씨앗 나눔행사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작년에 비해 오신 분들이 많지 않았어요. 토종씨앗연구회 회원에게만 나눔한다고 해서 그랬을 수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올해는 멀리서 오신 분들이 작년보다 많았습니다.

참석하신 거의 모든 분들과 뜻 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을 만난다는 건 삶의 중요한 기쁨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해요.

우편으로 보내 줄 토종씨앗
 우편으로 보내 줄 토종씨앗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이번 행사에 참석 못하는 분들께는 이렇게 우편으로 일일이 보내드렸습니다. 이렇게 준비하는 시간과 비용 그리고 우편요금 등은 누가 충당하느냐고 묻는 분들이 있어요. 그냥 자비로 하고 있습니다. 그럼 왜 하냐고 묻지요.

제 대답은 '그냥 재미로'입니다. 거창한 목표나 대단한 사명감이 아닙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씨앗의 중요성을 알았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한 농가가 최소 한 가지 이상의 토종을 키웠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농업활력화대회에서 토종씨앗을 전시하고 있다.
 농업활력화대회에서 토종씨앗을 전시하고 있다.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2015년 농업활력화대회에 참가하여 토종씨앗을 홍보했습니다. 2017년 농업활력화대회에는 함께 모여 재배과정도 공유하고 정보도 나누고 각자 채종한 씨앗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눌 수 있길 기대합니다. 그래서 축제의 장이 되길 희망합니다.

이렇게 조금씩 나아가다보면 보령이 '토종씨앗'또는 '씨앗지킴'의 본거지가 될 수도 있을겁니다. 농부가 아닌 시민은 베란다나 옥상텃밭에 우리 씨앗을 심어보는 겁니다. 그리고 우리 씨앗으로 농사 지은 농산물을 사서 먹는 것이 결국 우리 씨앗을 지키는 일이라는 것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나눔행사를 하고 나니 선물을 받았습니다. 첫번째 선물은 바로 이겁니다.

선물받은 검은꼬리 자보
 선물받은 검은꼬리 자보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행사를 마치고 식사하러 들른 식당 주인께 남은 씨앗을 듬뿍 드렸더니 이렇게 '검은꼬리 자보'라는 닭을 한쌍 주셨습니다. 기존에 키우고 있던 큰 닭과 분리해서 키우기로 했습니다.

두번째 선물은...

선물로 받은 돼지감자
 선물로 받은 돼지감자
ⓒ 유봉근

관련사진보기


돼지감자 한 박스입니다. 동물병원에 들렀다가 이런저런 얘기 중에 씨앗 얘기가 나와서 토종씨앗 몇 종을 드렸더니 이렇게 선물을 주셨어요. 반은 잘라서 말려 차로 먹을 생각이고 반 정도는 심을 계획입니다.

좋은 분들 만나 즐거웠고 좋은 선물 받아 무척이나 행복했던 나눔 행사였습니다. 앞으로 보령에 '씨앗도서관'도 생기고 '씨앗나눔행사'도 매년 2~3회씩 열릴 수 있게 되길 희망합니다.

* 위 퀴즈의 정답은 선비잡이콩입니다.

덧붙이는 글 | 보령시 블로그에 실릴 예정입니다.



태그:#토종씨앗나눔, #토종씨앗, #산골총각, #보령시SNS홍보요원, #토종씨앗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충남 보령에 사는 농사꾼입니다. 땅을 갈지 않고 농약,비료,비닐 없이 농사짓고 있어요. 토종씨앗을 위주로 합니다. 어떻게 하면 일을 많이 하지 않고 최대한 놀면서 농사 지을까 고민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