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재 신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장

김병재 신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장 ⓒ 한국영화평론가협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제24대 회장으로 김병재 한국영상정책연구소장이 선출됐다. 박근혜 정권에 우호적이었던 우익 인사가 신임회장에 선출되면서 영화평론가협회가 탄핵 국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영화계의 흐름이나 시대적 상황과 동떨어진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병재 신임회장은 1988년 <매일경제> 문화부를 시작으로 <문화일보> 문화부,  YTN 미디어 문화연예부장, <이데일리> 문화, 스포츠, 레저부 본부장을 거쳐 논설실장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권 초기에 영화진흥위원회(아래 영진위) 사무국장을 맡기도 했고 현재는 영진위 예술영화인정소위원회 위원장이다.

김 회장은 <이데일리> 재직 시절인 지난 2013년 3월 박근혜 정권 출범 직후 선진화시민행동-문화미래포럼-한국문화안보연구원이 주최한 '한국 사회와 문화 현실' 세미나에서 '좌파 지배 문화 현실과 대책'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문화예술계가 좌편향 돼 있다"며 "주도면밀한 대응"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이 세미나에서 영진위 산하 노조 등을 좌파로 규정한 후 "문화계 중 영화계만큼 좌파들이 실세를 이루고 있는 곳이 없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영진위 사무국장으로 있으면서 10년 좌파 기간 동안에 영화 정책을 입안한 사람들의 계획과 정부 돈을 어떻게 영화계 쪽으로 유용했는지 봤는데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그에 앞서 영진위 사무국장으로 재직하던 2009년 3월, 김 회장은 계약 만료 예정인 직원 5명을 일괄적으로 해고 예고 통보 조치해, 이에 반발한 영진위 노동조합으로부터 강한섭 위원장과 함께 퇴진 요구를 받기도 했다. 당시 영화단체들로부터도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행동이라며 비판받았다. 

부산영화제 사태 "개인에 대한 법률적 사안"

부산영화제에 대한 정치적 탄압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해 1월에는 부산지역 일간지인 <국제신문> 기고를 통해 "부산영화제 사태는 개인에 대한 법률적 문제일 뿐 영화제 죽이기가 아니"라며 부산시나 정부 측 입장을 옹호했다. 그 내용의 일부는 아래와 같다.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당시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을 놓고 시와 영화제 간에 빚어진 마찰과 이에 이은 이 위원장의 사퇴압력설, 영화제 지원예산 삭감과 관련한 중앙정부와의 대립이 그것이다. 그럴 때마다 영화제 측과 일부 단체는 공개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죽이기' 혹은 '정치적 보복'이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하지만 이번 일은 영화제 전체 조직과는 무관한 이 위원장과 전·현 직원 개인에 대한 법률적인 사안으로 보는 게 타당할 듯싶다. 개인에 대한 법률적인 조치와 부산국제영화제와는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영화제 죽이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 ('부산국제영화제를 보는 또 다른 시선' 중) 

또한 그는 '2016년 국제영화제 육성지원사업'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부산영화제는 2015년에 이어 2년 연속 10억 미만을 지원받게 되면서 일종의 '정치적 심사의 피해자'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일부 국내 영화제 관계자들은 김병재 신임회장을 두고 "심사의 공정성과는 거리가 먼 인물"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2014년 <다이빙벨> 상영 이후 발생한 부산영화제 사태는 최근 특검 조사를 통해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지휘 아래 문체부와 영진위 역시 청와대 지침을 충실히 이행한, 정치적 탄압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박근혜 정부가 좌파 배제를 목적으로 만든 블랙리스트 논란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우파들의) 주도면밀한 대응"을 말했던 인사가 영화평론가협회의 수장으로 선출된 것에 대해 영화계의 시선이 곱지 않은 모습이다.

이런 선출결과에 대해 영화평론가협회의 한 회원은 "요즘 같은 시국에서 부끄럽다"며 "총회에 회원들의 관심과 호응도가 약하다보니 직선제가 간선제로 바뀌면서 저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영화평론가협회 김병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