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2015년 3월 1일 울산 남구 신정동 울산대공원 동문 광장 입구에 건립된 울산 '평화의 소녀상'. 소녀상을 건립한 시민사회가 부산 소녀상에 대한 일본 태도에 발끈하고 나섰다
 지난 2015년 3월 1일 울산 남구 신정동 울산대공원 동문 광장 입구에 건립된 울산 '평화의 소녀상'. 소녀상을 건립한 시민사회가 부산 소녀상에 대한 일본 태도에 발끈하고 나섰다
ⓒ 박석철

관련사진보기


일본 정부가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설치한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며 일본대사를 귀국조치 하는 등 외교와 경제 대응 조치에 나서자 부산의 이웃도시인 울산에서도 이를 규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울산 '평화의 소녀상'은 부산에 앞서 3·1절 96주년인 지난 2015년 3월 1일 울산 남구 신정동 울산대공원 동문 광장 입구에 건립됐다.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전교조 울산지부, 울산시민연대 등 2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평화의 소녀상 건립 울산시민운동본부를 발족해 거리 캠페인을 통해 5000만 원가량을 모금한 결과다.

특히 울산 '평화의 소녀상'도 우여곡절 끝에 건립된 바 있어 울산시민들은 이번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6일 일본의 조치에 울산지역사회가 발끈하고 나섰다.

시민사회 "정부가 일본에 법적 책임 물어야"

울산의 두 무소속 국회의원인 김종훈(울산 동구)·윤종오(울산 북구) 의원은 6일 공동논평을 내고 "아베 총리가 오늘(6일) 주한 일본대사를 귀국조치하며 소녀상 철거를 주장하는 등 부산 소녀상 설치를 놓고 일본정부 대응이 도를 넘어섰다"면서 "바로 2015년 12월 굴욕적인 한일위안부 합의가 그 근거"라고 지적했다.

김종훈, 윤종오 의원은 이어 "이는 내정간섭을 넘어 우리 시민들의 자발적 활동까지 제약하는 안하무인식 외교압박이며 나아가 우리나라를 비롯해 동북아 전역을 무력 침략했던 과거를 여전히 반성조차 않는 태도"라고 덧붙였다.

특히 두 의원은 이번 사태의 원인이 박근혜 정부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도 반성해야 한다. 한일위안부 합의는 무능외교 사대외교의 상징"이라면서 "합의 당시 외교부는 소녀상 이전 이면합의는 없다고 못 박았지만 아베 총리까지 나서 연일 주장하는 합의 내용과 전면 배치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만일 일본정부 주장이 사실이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사유도 추가돼야 마땅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정부는 유감 논평 정도가 아니라 한일위안부 합의 폐기를 선언해야 한다"면서 "탄핵정국으로 어려움이 있다면 국회에 요청해서라도 엄중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또한 "일본정부는 소녀상 철거 주장을 멈추고, 반세기 넘게 고통받아온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진정성을 가지고 책임 있게 사과부터 하라"면서 "만약 정치, 경제적 압박만을 지속한다면 향후 발생할 긴장과 대립의 모든 책임은 오롯이 일본정부에게 있음을 밝힌다"고 경고했다.

지역 시민사회 등으로 구성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울산행동'도 "정부는 굴욕적인 12.28 한일합의를 폐기하고 화해치유재단을 해체하라"면서 "굴욕적인 한일 합의 추진과정을 낱낱이 밝히고, 합의 주도한 박근혜 대통령과 주무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정부는 이제라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국가적, 법적 책임을 묻고 피해자 할머니들이 진정어린 사과와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부산 소녀상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