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자'라는 용어가 있다. 50년이 넘는 가수 활동을 하며 2000개가 넘는 곡을 발표하신 가수 이미자의 그 '미자'가 아니다. 이 용어는 '미성년자'의 줄임말이다. 어느 여성의 이름 같지만 아직 법적으로 '한몫을 할 수 없는 한계적 인간형', '미자'. 아니 미성년자. 하지만 공교롭게 올 한 해 가장 화제가 됐던 케이블 tvN과 종편 JTBC가 해를 마감하며 방영하는 금토드라마의 여주인공들도 이 '미자'들이다. 

도깨비의 신부, 지은탁

 tvN 10주년 특별기획 금토드라마 <도깨비> 속 지은탁(김고은 분). 굳이 이런 설정의 캐릭터를 만든 이유가 의아하다.

<도깨비>의 김은숙 작가는 왜 지은탁을 미성년자로 설정했을까? ⓒ tvN


올해 찾아보면 '미성년'이 여주인공으로 등장한 드라마들이 꽤 눈에 띈다. 김소현이 활약했던 tvN <싸우자 귀신아>, KBS의 <페이지 터너>가 그랬고, <구르미 그린 달빛>의 김유정이 분했던 홍라온이 그랬다. 돌아보면 '미성년자' 주인공들이 꽤 많이, 그것도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던 작품에 등장한 것이다. 하긴 김혜수는 15세의 나이에 <사모곡>(1987)의 여주인공을 맡았으니 이를 새삼스럽다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배우들의 활약과는 별개로 청소년물이 아닌 드라마의 여주인공으로 미성년자라는 설정을 택한 지점에 대해서는 분명 한 번쯤 짚어봐야 한다.

여기에 방점을 찍은 드라마가 있다. 바로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tvN의 <쓸쓸하고 찬란하神-도깨비>(아래 <도깨비>)다. <도깨비>는 900년을 넘게 살아온 도깨비 김신(공유 분)과, 그 도깨비와 '신부'의 연을 맺게 된 도깨비 신부 18세 지은탁의 사랑을 주된 서사로 삼고 있다. 드라마 속 고등학생 지은탁은 '사고무친'의 존재다. 엄마가 돌아가신 후 이모네 집에 얹혀살지만, 갖은 구박과 학대를 받는다. 그런 그녀에게 나타난 운명의 도깨비는 억압적 조건의 그녀를 구해 안락한 생활 환경과 사랑을 준다.

드라마는 900살이 넘은 도깨비와 그의 신부로 점지된 지은탁을 삼십 대 중반의 아저씨와 소녀의 관계로 드러낸다. 지은탁은 첫 만남부터 도깨비 김신을 900살이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아저씨라 호칭한다. 그리고 도깨비 역시 지은탁을 첫사랑 소녀로 대접한다. 드라마는 미성년이라는 지은탁의 존재론적 한계를 이미 성년인 배우 김고은을 통해 피해간다. 하지만 김고은이 <은교>라는 영화를 통해 세상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절묘한 피해가기' 내지는 '연상 작용의 포석'처럼 보인다.

드라마는 도깨비를 둘러싼 설화적 설정, 삶과 죽음 사이에 선 도깨비 신부 지은탁을 둘러싼 전설적 서사를 배경으로 삼는다. 하지만 결국 보호받아야 할 소녀 지은탁과 그녀를 보호하는 도깨비, 저승사자(이동욱 분), 집사 유덕화(육성재 분)의 보호와 사랑을 주된 이야기로 이어간다. 사회적으로,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사고무친'의 소녀는 사랑과 운명을 매개로 만난 아저씨에게 보호를 받는다는 이 기막힌 판타지.

현실에서 보호받지 못한 소녀들은 거리의 아저씨들에게 '보호'라는 이름 아래 위협을 받는다. 하지만 드라마 속 '사랑'의 세계에서 아저씨들은 소녀를 가로막는 가난과 재난, 심지어 사고에서까지 슈퍼맨이 돼 그녀를 보호한다. 그들은 서른 중반의 아저씨들이지만 돈으로 소녀들을 유혹하는 거리의 아저씨들과는 다르다. 사랑에 있어서는 고등학생보다 더 순진하고 천진하되, 재력과 능력에서는 누구도 따라오지 못할 신적 경계에 있으니 그 누가 감히 이 사고무친의 소녀를 돌보고 사랑하는 그에게 부적절할 관계라고 손가락질 할 수 있겠는가. 더욱이 "500만 빌려주세요"라거나 "사랑해요"라고 서슴없이 고백하는 이 당돌한 소녀를 두고, 그렇게 드라마는 전설과 설화, 사랑의 판타지를 빌려 현실을 윤색한다.

솔로몬을 자처한 소녀, 고서연

 자신의 방관이 이런 결과를 불러왔다는 것을 솔직하게 인정한 고등학생 고서연은 어른들에 비해 훨씬 낫다.

자신의 방관이 이런 결과를 불러왔다는 것을 솔직하게 인정한 고등학생 고서연은 어른들에 비해 훨씬 낫다. ⓒ JTBC


tvN이 '김은숙'이라는 스타 작가의 힘을 빌려 '사랑'으로 2016년 연말을 데울 때, <뉴스룸>을 통해 공신력 있는 언론으로 올해 우뚝 선 JTBC가 선택한 것은 일본의 사회파 작가 미야베 미유키 원작의 학원 추리 소설 <솔로몬의 위증>이다. 하지만 일본 원작이 무색하게 무소불위의 사학, 거기에 '부역'하는 어른들, 그런 어른들의 '보호' 아래 입시 교육에 내몰린 채 '학교 폭력'을 외면한 아이들의 이야기는 너무도 친근하다.

그 '친근'하고 부조리한 교육 현실 속에서, 드라마는 당돌하게도 학교에서 벌어진 한 학생의 죽음을 '교내 재판'이라는 해법을 통해 풀어가고자 한다. 하지만 재판에 도달하는 길이 쉽지 않음을 크리스마스를 앞둔 3, 4회의 드라마는 그려낸다.

생각지도 않은 한지훈(장동윤 분)의 등장으로 당혹스러워 하던 학생들. 하지만 '남신'이라 불리는 그의 인기에 순탄하게 서명 작업을 마친 아이들은 당당히 500부를 넘긴 교내 재판 동의서를 교장 앞에 내보이며 재판을 허가받는다. 하지만 새학기가 시작되기 전 짧은 시간, 협조적이긴커녕 범인으로 추정되는 최우혁(백철민 분)의 적대적인 태도와 그를 고발한 이주리(신세휘 분)의 태도로 재판은 그 시작부터 난항을 겪는다.

드라마는 재판을 하게 되기 전까지 고서연(김현수 분)의 태도에 주목한다. 처음에는 그저 다른 학생들처럼 최우혁에 의한, 이소우에 대한, 학교 폭력에 눈을 질끈 감았던 서연, 하지만 늘 그랬듯 지나갈 것만 같던 그 폭력이 이소우의 죽음으로 이어지자 서연은 "너희는 공부만 하면 돼"라는 어른들의 말에 의문을 표하기 시작한다. 겨울 방학이 지나면 고3이라는 지상 최대의 엄정한 과제가 시작되지만, 이소우의 죽음을 목격한 그 순간부터 서연은 공부에만 매진한다며 진실을 외면해 왔던 자신이 결국 죽음의 방조자가 된 것이 아닌가 반성한다. 그런 서연에게 또 하나의 계기가 되어준 것은 주리의 고발장, 교장 선생님에게 그리고 아빠가 형사인 서연에게 배달된 두 장의 고발장. 이제 곧 고3이라는 아빠의 말에 주춤했던 서연, 하지만 결국 초롱이가 교통사고를 당하고, 주리가 실어증에 빠지자 자신의 방관에 깊게 반성한다.

그래서 서연은 재판을 하겠다고 나서고, 고발장을 나 몰라라 했다는 친구들의 힐난에 솔직하게 자신의 외면을 고백한다. 그리고, 학교 재판과 그 과정에서 벌어진 최우혁 할머니의 사고 앞에 우혁도 주리도 모두가 서로의 탓을 할 때 서연은 물벼락까지 맞으며 사죄를 한다. 미성년자라는 존재를 제3자로 밀어제친 어른들 앞에서 자신들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겠다던 서연은, 문제의 주도적 해결만이 아니라, 사건을 방관했던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음을 자임하고 나서 '어른'들을 앞선다.

두 미성년자의 선택, 스스로 도깨비의 신부라 자청하고 사랑을 선언한 지은탁과 학내에서 벌어진 죽음을 해결하겠다고 나선 고서연. 같은 미성년자이지만 두 사람의 선택을 둘러싼 두 드라마의 서사는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 그 어떤 성인 여성보다 당돌하게 말도 잘하고 자신의 선택에 똑부러지지만, 안타깝게도 그 지은탁의 존재는 '사랑'하는 아저씨들이 없다면 무색하다. 진정성 있는 혹은 운명적 사랑이라 주장하지만, 뒷맛은 개운치 않다. 그에 반해 '자신들의 문제'에 끼어드는 한지훈에게 자존심 상해하고, 홀로 눈물짓지만 진실 앞에 물러서지 않으려 하고, 방관자의 부끄러움에 진솔한 고서연의 행보는 지은탁보다 어쩌면 훨씬 더 성숙할 수 있다.

최근 이어지는 촛불 집회에서 당당하게 그 목소리를 높이며 등장한 청소년들, 한편에서는 투표 등을 통해 드러나는 민심의 보수성을 우려하며 투표 연령을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할 만큼 그들은 어른들을 부끄럽게 한다. 어느덧 드라마 속 청소년들은 사랑도 하고, 자신들의 주장을 '재판'으로 풀어낼 만큼 당차졌다. 다만 이 청소년들의 행보를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12%가 넘는 <도깨비>, 0.97%의 <솔로몬의 위증>의 하늘과 땅 같은 시청률의 차이가 의미하고 있는 바는 무엇인지 생각이 깊어지는 연말이다.

도깨비 솔로몬의 위증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6,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