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7월 말부터 폭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위를 피해가지 못하고, 그저 견딜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편집자말]
계절은 불평등하다. 무슨 뜻인지 궁금하다면 '여름'의 이미지를 떠올려보자. 바다, 휴식, 아이스크림 등을 떠올렸다면 당신에게 여름은 '버틸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여름은 이미지가 떠오르기는커녕 '살아남아야 한다'는 목표만 생각나게 할 것이다. 그러니까, 생사를 가르는 상황이라는 거다.

전국 전 지역에 첫 폭염특보가 내려진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거주민 방 온도가 39도까지 치솟고 있다.
 전국 전 지역에 첫 폭염특보가 내려진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 거주민 방 온도가 39도까지 치솟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임대주택 내에 있는 복지관으로 몇 달간 봉사활동을 하러 다녔다. 더위 때문에 구급차에 실려 있는 노인들을 몇 번 봤고, 복지관 관계자가 어떤 할머니가 쓰러지셨다고 말하는 것도 가끔 들었다. 덜컥 떠날 수 있다는 무서움 때문일까 아니면 더위 때문일까. 집보다는 시원한 복지관 사랑방에 노인들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텔레비전을 보며 더위를 버티고 있었다.

극단의 날씨를 버티는 방법 중 하나는 여름에 겨울을 생각하고 겨울에 여름을 생각하며 뭘 할지 꿈꾸는 거다. 계절을 바꿀 수 없으니 상상할 수밖에. 날씨를 바꿀 수 있는 건 오직 신이나 영화 촬영장에서나 아주 잠깐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내 경험에 의하면 인간은 지금도 계절을 '바꿀 수' 있다. 기계를 이용한다면 가능했다.

재수학원 속에서의 '뒤바뀐' 계절

이 사실을 알게 된 건 스무살에 재수학원에 다니면서였다. 재수학원에 다니던 해는 기록적으로 더운 해라고 신문에서 떠들었지만 난 덥지 않았다. 추워서 오들오들 떨던 기억뿐이다. 담요와 두꺼운 후드티를 입고 있을 정도였으니까. 내 기억이 왜곡된 게 아니다. 같은 재수학원을 다녔던 친구들도 나와 비슷한 기억을 가졌다.

재수학원에서 틀어주던 에어컨이 너무 빵빵해서 그랬다. 그해 여름, 학원 안은 겨울이었다. 너무 추워서 대다수가 수업시간에 무릎담요를 덮고 있었다. 심지어 누군가는 얇은 패딩을 입고 있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 에어컨 때문에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에 걸려 코를 훌쩍대고 재채기를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재수생의 유일한 해방시간인 점심시간에는 옥상 위에 올라가서 햇빛을 보곤 했다. 그렇지 않으면 얼어서 죽을 거 같았으니까. 그때가 여름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었다.

하지만 여름의 추위만이 문제가 아니었다. 또 다른 문제는 '온도조절'. 사육장 같은 공간에 빡빡하게 들어 있는 사람들을 모두 만족시킬 바람의 세기라는 건 존재하지 않았다. 더구나 그 학원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높음, 중간, 낮음이라는 세 가지 선택지뿐이니 섬세한 온도조절은 불가능했다. 여기서 학생들의 신경전이 벌어졌다. 누군가 온도를 올려놓으면 몇 분 정도 있다가 다시 온도를 내리는 일이 반복됐다.

반대로 올리면 낮췄다. 온도가 바뀌는 텀이 짧아지면 누군가는 온도 조절 버튼을 신경질적으로 누르며 '이 온도에서 더 이상 건드리지 마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던졌다. 자습시간 내내 이런 일이 반복됐다. 추움을 견디질 못한 누군가는 아예 복도나 계단에서 공부를 하기도 했다.

강의실에 나와 자습하고 있는 재수학원 학생들
 강의실에 나와 자습하고 있는 재수학원 학생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수능이 끝난 다음달인 12월부터 재수학원에 다녔기에, 겨울의 재수학원 풍경도 잘 알고 있다. 겨울이지만 여름이 됐다. 반팔 티셔츠를 입고 돌아다니는 사람이 많았고 히터가 뺏어간 수분을 보충하려면 물을 계속 마셔야 했다. 그래야 목이 아프지 않았으니까.

너무 '더워서' 히터 좀 줄이면 좋겠다는 불만이 한겨울에 터지는 일이 다반사였고, 밥을 먹고 쏟아지는 졸음을 잠으로 이어주는 히터는 자신의 일을 그만둘 줄을 몰랐다. 물론, 온도조절 싸움은 겨울에도 있었다. 학원을 탈출하고 나서야 싸움을 보지 않을 수 있었다.

그해 재수학원 밖 여름은 따뜻했고 겨울은 시원했다. 건물 안은 계절이 뒤바뀐 장소였기에 건물 밖을 나와서야 그 시간의 계절을 제대로 알 수 있었다. 인간이 만든 '날씨를 바꾸는 기계'는 이토록 위대했다.

가혹하기 짝이 없는 '더위 불평등'

그리고 지금 그 기계들 때문에 벌을 받고 있다. 더운 여름을 더 덥게 추운 겨울을 더 춥게 지내는 벌 말이다. 인간의 영역 밖인 날씨를 바꿔서 환경을 파괴한 탓이다. 한데 인간은 그 벌을 받으면서도 벌을 피한답시고 더 많은 기계와 더 좋은 기술을 탐하며 계절을 더 바꾸는 모순을 행하고 있으니 이제 그 죗값을 더 치를 일만 남은 것 같다.

하지만 이상한 건, 그 벌이 기계의 혜택을 가장 적게 본 사람, 그러니까 자연을 가장 덜 파괴한 사람에게 더 많이 돌아가고 있다는 거다. 더위에 피해를 보는 건 늘 전기요금 누진제 탓에 에어컨 틀기를 무서워하거나, 아예 에어컨이 없는 서민, 빈곤층 청년·노인, 쪽방촌 사람들 등 사회적 약자다. "더위마저 불평등하다"는 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적어도 벌을 받아야 한다면 더 많이 쓴 사람이 많은 벌을 받아야 하지 않겠는가. 하지만 불평등의 원인을 제거하고자 하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누진제 논란을 보니 그 불평등이 해결될 것 같진 않다. 결국 각자 살아남는 수밖에 없는 걸까.


태그:#여름은겨울겨울은여름, #재수학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