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훌륭한 말과 글에 비해 실제 인격은 그렇지 못한 사람을 종종 본다. 아니 더 나아가 자신의 평소 얘기하는 사상과 정반대의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스스로도 그렇다. 큰 정의를 꿈꾸지 않고, 남에게 피해 주지 않으면서 자그마한 선행을 베풀고 살고 싶다는 생각마저도 지키기 어려울 때가 많다. 상처 주는 말을 하고, 하지 않아야 할 행동들을 하며 매번 그렇게 후회하며 살아간다. 그래서 사실 옳은 말만 하는 사람, 더 나아가 옳은 행동만 하는 사람은 괜시리 정이 가지 않는다.

영화 <시빌워>에서 아이언맨이 캡틴아메리카의 구구절절히 옳은 말들에 반박은 하지 못하면서 "가끔은 너의 잘난 면상을 치고 싶다"는 대사를 하는 기분이랄까. 나만 이렇게 모순적이고 볼품없지는 않잖아, 우리 모두 조금씩은 다 모자라고 불완전하잖아라고 동의를 구하고 싶은 마음에서다.

그래서 한때는 위선을 가장 혐오했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얘기'들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했다. 대학때 학회나 동아리 세미나 때 오고 갔던 무수히 많은 정치적으로 올바른 얘기들은 공중에서만 떠돌아 다니고, 혁명을 꿈꿨던 사람들은 저마다의 먹고사니즘에 묻혀 지내는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요리활동'저자인 박영길씨의 요리하는 모습. 그에게 있어 요리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들어내는 매개체이자, 자아로만 함몰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일상이기도 하다.
 '요리활동'저자인 박영길씨의 요리하는 모습. 그에게 있어 요리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들어내는 매개체이자, 자아로만 함몰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일상이기도 하다.
ⓒ 포도밭

관련사진보기


그런 생각이 바뀌게 된 건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며 다양한 협동조합들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보면서였다. 혹자는 협동조합을 5명이서 각자 100원씩 총 500원으로도 너무 쉽게 만들 수 있게 해줘 좀비 협동조합이 무한정 양산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비판하기도 하는 그 법이다. 하지만 내게는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의 작은 선의가 얘기되는 과정이 감동스러웠다.

지금과 조금은 다른 사회를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나를 포함해 내 주변에서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본다면 변화를 만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면 대학교 교직원으로 안정되게 일을 하다가 협동조합 일이 하고 싶어 이직을 한 가장 큰 계기는 작은 선의를 지킬 수 있지 않을까란 기대 때문이었던 것 같다. 불완전하고 모순된 개인이지만 이 사람들이 모여 작은 선의를 모아내고 우리 주변에 자급자족하는 생활경제공동체를 만들어내어 먹고사니즘도 해결할 수 있다는 건 얼마나 매력적인 제안인가. 대학생협학생위원을 하며 협동조합에 들떴던 기분이 다시금 살아났다.

물론 선의가 항상 좋은 결과를 낳지는 않았다. 협동조합은 사업체이자 결사체인데 이 둘 모두를 다 잘한다는 게 여간 힘든 게 아니었다. 조합원들간 갈등, 지역사회의 필요와 수요에 맞지 않는 사업 아이템 선택으로 인한 사업실패, 자본의 부족, 이사장의 독단적인 리더십으로 인한 갈등 등등. 그동안 협동조합 상담과 교육으로 만난 분들의 사연만 모아 봐도 인생극장이 따로 없을 듯하다. 그렇게 힘들게 모인 작은 선의는 암초에 부딪혀 금세 흩어지고 다시금 원래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았다.

<요리활동>은 '요리'로 대변되는 일상, 그리고 일상에만 머무르지 않는 사상의 실천으로서의 '활동'을 연결하는 독특한 에세이다.
 <요리활동>은 '요리'로 대변되는 일상, 그리고 일상에만 머무르지 않는 사상의 실천으로서의 '활동'을 연결하는 독특한 에세이다.
ⓒ 포도밭

관련사진보기

개인적으로도 3년 6개월 협동조합 일로 이직을 해오며 많은 일들이 있었고, 현실은 마냥 아름답지 않은 부분도 많았다. 그렇기에 작은 선의에 덧붙여 일희일비하지 않는 꾸준함이 필요하다. <요리활동>(박영길, 포도밭, 2016)은 이 꾸준함이 일상에서 나온다고 얘기한다. 땡땡책협동조합 활동을 하며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저자는 나로서는 도저히 따라할 수 없는 전업 활동가이다. 낮에는 청주 생활교육공동체 공룡의 대표로서, '지역 꼬뮌학교 동동'의 진행자 등으로 바쁘게 일을 하고, 밤에는 사회적기업 '삶과 환경'의 수거원으로 일한다.

이밖에도 땡땡책협동조합 이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충북평등지부 삶과환경 분회 사무장 등 여러 활동들을 맡아서 하고 있는데, 개인생활은 말할 것도 없고, 도대체 잠은 자고 생활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이러한 활동을 꾸준히 하는 비결이 '요리'란다. 이 요리는 일상적인 공동체를 만들어주는 그만의 비결이다. "거대한 시스템과 싸우면서도 작은 일상들을 무시하지 않고, 거기에서부터 어울리고 연대하며 새로운 것들을 꿈꾸는 생성의 장을 만들고자 노력하는 것"(11페이지)이 요리를 통해 일상을 재구성하는 이유이다.

또한 요리라는 일상으로부터 그만의 활동에 대한 철학이 나온다. '돼지고기 두루치기'를 살펴보자. 50인분 가량의 돼지고기 두루치기를 준비하면서 양념을 망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에 휩싸인다. 잔뜩 긴장을 한 채 요리를 하면 하는 사람도 피곤하고 즐거움도 사라지는 대목이 나온다.

저자는 얘기한다. "내 감을 믿는 것이다. 그래야 요리가 피곤하지 않고 재미있으며 내게 힘을 준다. 요리의 첫발은 함께 먹을 누군가를 책임질 만큼의 용기를 내는 일이 아닐까 싶다(29p)"고. 사실 함께 한다는 것은 늘 좋은 모습만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이기에 실수투성이고, 부족한 부분이 많다. 내 감을 믿으며, 책임을 지며 용기를 내서 한 걸음 더 나가보는 것이 공동체를 만드는 비결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렇게 자세히 얘기도 하지 않는다. 그저 요리와 관련한 경험과 추억을 나누고 자기만의 생각을 툭툭 던져놓는데 거기엔 모두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노하우, 오랜 활동 속에서도 지치지 않는 그만의 비결이 담겨있다. 그래서 요리를 통한 활동이고, 요리와 활동의 결합이다. 요리라는 일상적이고 사적인 영역이 활동이라는 사회적이고 거시적인 영역과 결부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마저도 인위적인 구분이다. 일상이 곧 활동이고, 활동이 곧 일상이기 때문이다. 유린기를 소개하며 그는 다시 얘기한다.

"9가지 이상의 재료를 섞어야 본연의 맛이 나는 유린기 소스처럼, 삶 본연의 맛도 다양한 경험과 공부와 관계 속에서 우러나는 게 아닐까?"(174p)

협동조합은 사회적경제의 한 방식이다. 내가 이해한 사회적경제란 요리활동처럼 우리의 일상을 바탕으로한 사회의 변화이다. 각자도생으로 뿔뿔히 흩어지지 않고 함께 모여 사회를 이루고 같이 경제활동을 하며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리의 일상이 변해야 한다. 그러한 일상의 변화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말과 글은 시간이 지나면 공허해지고 저자의 말대로 "아집과 때로는 타협과 배반으로 변질"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얘기를 다른 책에서도 보게 된다. <심야인권식당>(류은숙, 따비, 2015)에서 저자는 인권연구소 '창'을 운영하면서 회의와 공부모임 등이 열릴 때마다 밥 때에는 밥을, 술 때에는 술을 대령하며 술방의 주모 역할을 자처한다. "술방의 주모를 고집하는 또 다른 이유는 '중요한' 일에 대한 나의 판단 때문이다. 나는 일상성에 중요한 것이 묻혀 있고 일상에서의 움직임에 중요한 것이 드러난다고 생각한다. 먹고 마시고 치우고 사람을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일들이 내겐 멋진 글을 쓰고 발언을 하고 특별한 자리에 나서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15p)." 최근에 본 영화 <트럼보>에서도 비슷한 일화가 나온다.

영화 트럼보는 싸움의 결과 못지 않게 그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나 싸움이 일상마저 흔들게 해서는 안된다는 진리를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영화 트럼보는 싸움의 결과 못지 않게 그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나 싸움이 일상마저 흔들게 해서는 안된다는 진리를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 트럼보

관련사진보기


트럼보는 '로마의 휴일'을 비롯해 잘나가던 시나리오 작가였으나, 1940년대 후반 미국 사회를 뒤흔든 매카시즘으로 인해 교도소에서 복역하고, 블랙리스트에 올라 일자리도 잃게 된다. 이후 B급 영화 제작사에 가명으로 다량의 대본을 쓰며 입에 풀칠을 하고, 같은 처지의 동료 작가들까지 구제한다. 하지만 오로지 싸우기 위한 대량 대본 생산은 몸과 마음을 피폐하게 하고 가족들마저 등을 돌리게 한다. "내면의 초라한 목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계속 싸웠고 너무나 두려워서"였다고 진술한다. 그를 다시금 원래의 자리로 돌려놓은 건 가족과의 관계 개선을 통한 일상의 회복이었다.

작은 선의를 지탱해주게 하는 건 결국 일상에서의 작은 관계와 움직임이다. 일찍이 니체는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그대가 오랫동안 심연을 들여다보면, 심연 역시 그대를 들여다본다"라고 얘기했다. 작은 선의를 지킬 수 있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건 무너지지 않는 일상이다. TV 속 스타쉐프를 동경하거나 먹방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요리활동을 통해 무너지지 않는 일상을 만들어 나가야할 때다.

덧붙이는 글 | 본 글은 <모심과 살림> 7호 "살림운동의 새로운 좌표"에 '무너지지 않는 일상의 중요성'이란 제목으로 실린 글입니다.



요리 활동 - 어떤 싸움에서든 무너지지 않는 일상이 중요하니까

박영길 지음, 포도밭출판사(2016)


태그:#협동조합, #선의, #일상, #요리활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협동조합 및 사회적경제 연구자, 청소년 교육 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