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5월 28일 전국 소년체전이 개막됐다. 오는 31일까지 그 동안 갈고 닦아 왔던 기량을 뽐내며 경기를 치를 것이다. 축하해주어야 마땅한 일이다. 하지만, 대전시교육청의 행태로 축하만 하기에는 씁쓸하기만 한 주말이다.

대전교육청 체육예술건강과 소속 교육공무원들은 모두 소년체전으로 출장을 떠났다. 매우 중요한 행사에 출장간 것을 탓할 일만은 아니다.

문제는 태도에 있다. 지난 26일 우레탄트랙 운동장에 관련하여 대전시교육청에 문의했다. 몇일전 언론보도에 따르면 대전시내 우레탄트랙이 설치된 102개 학교 중 15개 학교(초등학교 12곳, 고교 3곳)에서 납성분이 기준치 이상 검출 되었다. 일부 학교에선 기준치 90에 26.6배에 해당하는 2400mg 납이 검출되기도 했다.

인조잔디 운동장과 우레탄 트랙의 모습
▲ 학교에 설치된 우레탄 트랙과 인조잔디 인조잔디 운동장과 우레탄 트랙의 모습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우레탄 트랙이 설치된 102개 운동장의 전수조사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약 20여 개 학교에서 납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한다. 교육청 담당자는 20여 개 학교의 명단과 수치를 공개하지 못하겠다고 전했다. 아직 집계중이며 일부학교에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란다. 거기에 아직 102개의 학교 조사결과 전체가 집계되지 않았으므로 먼저 일부를 공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조사가 완료되는 6월 15일 이후 공개 하겠단다.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공개돼야 한다. 오히려 대전시 교육청이 측정결과를 확인할 때마다 수시로 공개해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또한, 기준치 이상 검출된 곳은 우선적으로라도 접근차단 조치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26배 이상 검출된 학교는 즉각적인 폐쇄조치와 차단 등을 선언하고, 인근학교와 연계하여 수업하거나 실내체육관이 설치된 학교는 체육관을 통해 체육활동을 해야 한다. 

하지만, 담당자는 학교의 홈페이지와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공개했기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적극적인 차단조치는 학교장의 재량에 맞기고 있기 때문에, 가정통신문과 홈페이지 접근이 불가한 시민들의 경우 이런 사실을 알지 못한 채 학교 운동장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납이 검출된 학교에 대해서는 오히려 대전시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이런 비공개 행정은 시민들의 안전을 우선시 하지 않는 책임회피의 방편일 뿐이다. 

붉은색 우레탄 찌꺼기가 인조잔디 의에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우레탄 찌꺼기 붉은색 우레탄 찌꺼기가 인조잔디 의에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필자는 홈페이지와 가정통신문을 학교별로 확인하겠다며, 우레탄 운동장이 설치된 102개 학교의 명단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거부했다. 내부적으로 상의한 결과 정보공개 절차를 밟아야 공개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정보공개를 신청하면 15일 이내에 회신하지만, 사안에 따라서 30일 이상 걸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공개하지 않겠다는 것과 다름 없다.

우레탄트랙 설치 학교조차 공개를 거부하는 대전시 교육청의 태도에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 학생들의 안전을 담보로 책임을 회피하려는 태도에 분노한다. 안전과 관련된 납성분 초과 검출은 즉각적인 공개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

안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자라나는 미래세대의 안전을 위해 이런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되고 시민들이 알아야 한다.

하지만, 이런 정보공개를 뒤로하고 대전시 교육청 담당자는 전국체전으로 출장을 떠났다. 미리 계획되었던 출장을 문제 삼는 것은 아니다. 다만, 출장 전에 정보를 공개하고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안전조치를 했어야 했다. 전국체전의 개막 소식이 반갑지 만은 않은 이유다.


태그:#우레탄 트랙, #정보공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