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너는 착한 아이> 포스터

영화 <너는 착한 아이> 포스터 ⓒ 디스테이션


'착한 아이 콤플렉스'라는 게 있다. 타인으로부터 착한 아이라는 말을 듣기 위해 내면의 욕구나 소망을 억압하는 말과 행동을 하는 심리적 콤플렉스다. 착하지 않으면 사랑받을 수 없거니와 버림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온다. 부모에 의한 엄격한 집안 교육이 하나의 원인이다. 타인의 눈치만 볼 뿐 정작 내면을 살피지 못하기에 우울해지기 쉽다.

'착한 아이'는 틀린 말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는 모두 착하기 때문이다. 애초에 '(착한) 아이'이기 때문에 굳이 '착한'이라는 수식어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역설적으로 아이들에게는 뭘 하든 착하다는 걸 깨우쳐줘야 한다. 잘못을 하든, 실수하든, 울든, 넘어지든, 싸우든... 아이는 아이이기 때문이다.

섬세한 감정선으로 심각한 아동 문제를 다루다

집안의 학대로 인해 끼니도 제대로 챙겨먹지 못해 급식만 기다리는 초등학교 4학년생 간다와 전쟁터 같은 초등학교 선생을 겨우겨우 연명하는 간다의 담임 오카노(코라 켄고), 밖에서는 상냥하지만 집에만 들어오면 어린 딸 아야카에 대한 폭력을 멈추지 못하는 미즈키. 활달하기 그지없는 두 아이의 엄마이자 미즈키의 이웃 오오미야, 그리고 가족이 없는 치매 할머니와 편집증 증세가 있는 히로야와의 우정.

 "어떻게 해야 '착한 아이'가 될 수 있나요?"

"어떻게 해야 '착한 아이'가 될 수 있나요?" ⓒ 디스테이션


영화는 3개의 이야기가 서로 연관성 없이 진행된다. 다만 비슷한 감정선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들이기에 전혀 이질감을 느낄 수 없다. 다른 이야기로 화면이 전환될 때는 연결 고리를 배치했다. 예를 들어 이전 장면에서 누군가가 웃으면서 끝나면 이어지는 화면에서 다른 누군가가 웃으면서 시작한다든지, 수도꼭지에서 물이 떨어지는 장면에서 처맛자락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장면으로 이어진다. 부자연스럽고 억지스럽게 보일 수 있지만, 이 영화의 분위기에는 알맞다.

"넌 이미 착한 아이야"

오카노는 전쟁터 같은 교실에서 한시도 마음 편하지 않다. 고작 초등학생들이 이지매는 물론이고 선생님을 골탕 먹이기까지 한다. 오카노는 매일 같이 집에 가지 않는, 겉으로 보았을 때 더럽고 어딘가 조금 문제가 있어 보이는 학생 간다를 알아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간다 말로는 자기는 착한 아이가 아니란다. 그래서 아빠 엄마가 자기를 싫어한단다.

간다는 오카노에게 어떻게 해야 착한 아이가 될 수 있는지 물어본다. 오카노는 "간다, 너는 착한 아이야"라며 진심 어린 위로를 건넨다. 진심을 건네받은 간다는 마음을 열고 아빠와의 약속을 깨고 오카노와 함께 5시 이전에 집으로 향한다. 하지만 간다 아빠와의 실랑이가 벌어졌고 오카노는 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그때 오카노는 문 너머로 가정 폭력의 현장을 목격한다.

 오오미야가 조용히 미즈키를 안아준다. "미즈키도 어릴 때 학대당했지?"

오오미야가 조용히 미즈키를 안아준다. "미즈키도 어릴 때 학대당했지?" ⓒ 디스테이션


미즈키(오노 마치코)는 어린 딸 아야카와 산다. 남편은 멀리 외국으로 출장을 갔다. 그녀는 이웃들과 함께 종종 공원에서 시간을 가지며 아이들의 미래를 이야기한다. 그 와중에 활달하기 그지없는 오오미야(이케와키 치즈루)와 친해진다. 오오미야는 그 누구보다 아이들을 사랑하고 챙긴다. 반면 미즈키는 집에 와서 아야카에게 심한 폭력을 일삼는다. 그녀의 손목에 담뱃불 모양이 남아 있는 거로 봐선 그녀도 어릴 때 집에서 학대를 받았다는 걸 짐작할 수 있다. 그리하여 그녀의 아이에게도 대물림하고 있는 것이다. 그녀도 그런 자신이 싫다.

어느날 미즈키는 오오미야의 집에 초대를 받았다. 오오미야의 어린 아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아야카, 이들은 어린 아이이기에 '당연히' 실수를 저지른다. 오히려 문제는 엄마 미즈키였다. 미즈키는 참지 못하고 아야카를 나무란다. 여기서 때릴 순 없으니 잘못했다며 울부짖는 아야카를 억지로 일으켜 집으로 가려 한다. 이때 오오미야가 조용히 와서 미즈키를 안는다. "미즈키도 어릴 때 학대당했지?"

히로야는 편집증 증세가 있는 아이다. 그는 매일 아침 학교를 가며 어느 할머니께 첫인사와 끝인사를 함께 하곤한다. 그럴 때면 할머니 또한 상냥하게 받아준다. 할머니는 치매에 걸렸는데, 히로야만은 잊지 않는 것 같다. 그에게 가족이 없어서 히로야가 손자처럼 생각되는 모양이다.

언젠가 히로야가 열쇠를 잃어버려 집에 갈 수 없었을 때, 할머니는 히로야를 자신의 집으로 오게 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눈다. 나중에 히로야를 찾아온 엄마, 그런데 정작 엄마는 히로야를 잘 모른다. 비록 편집증 증세가 있지만 히로야가 얼마나 착한지, 호기심이 많고 기억력도 좋고 똑똑한지 말이다. 할머니 덕분에 엄마는 히로야를 다시 알게 된다.

자신에게 귀를 기울이고 자존감을 지켜라 말하는 영화

<너는 착한 아이>는 일본 영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영화다. 심각한 문제나 이슈를 다루면서도 유머와 휴머니즘, 감동과 교훈을 져버리지 않으려 한다. <너는 착한 아이>도 아동 폭력과 무관심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일본 영화 특유의 감정선을 놓지 않는다.

 영화는 "스스로 자존감을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영화는 "스스로 자존감을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 디스테이션


영화 내의 세 에피소드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착한 아이'의 위대함은 실제로도 통용될 것이다. 다른 누구보다 내가, 그다음은 나의 아이가, 내가 가르치는 학생이, 나의 이웃이 '착한 아이'임을 인지해야 한다. 여기서 착한 아이란 다름 아닌 자신에 귀를 기울이고 사랑하는 사람이다. 그래야만 다른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다.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 외려 자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증오한다면, 다른 누군가를 향해서도 증오의 시선을 보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너는 착한 아이'는 곧 '나는 착한 아이'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이렇게 '잘' 알고 있는 나조차도 나를 사랑하기 쉽지 않다. 우리는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낮출 때 겸손하고 착하다는 소리를 듣는다. 그런데 그건 자칫 나를 인정하지 않고 싫어하는 것으로 변질되기 쉽다. 나는 나를 사랑해야 한다. 자만심 이전에 자신감으로, 자신감 이전에 자존감으로. 그 자존감을 지켜야 한다. 그것이 아동 폭력과 무관심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너는 착한 아이 학대 관심 일본 영화 착한 아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