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수상자 이태준 기념사업회가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수상자로 소설가 김성동 씨를 선정하였다.
▲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수상자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수상자 이태준 기념사업회가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수상자로 소설가 김성동 씨를 선정하였다.
ⓒ 박현주

관련사진보기


'조선의 모파상'이라고 불리던 작가가 있었다. 일제 식민지 기간 동안 70여 편의 주옥같은 단편과 13편의 신문 연재소설을 쓰면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소설가 상허 이태준. 1940년대 총독부에 동원돼 제국주의 전쟁을 찬양하는 시국 연설을 강요당했을 때, 그는 <춘향전> 한 대목을 읽고 강단을 내려왔었다.

거세지는 총독부의 압력에 카프 작가들마저 줄줄이 창씨개명을 하고 일본어로 쓴 작품을 발표할 적에, 그는 차라리 붓을 꺾고 낙향을 선택했다. 이태준은 해방 후 친일파의 득세에 좌절해 월북하지만, 김일성 영웅화 작업을 거부한 이유로 숙청돼 창작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문단에서 사라지고 만다.

남과 북에서 모두 잊힌 천재작가 이태준

남에서도 북에서도 잊혀졌던 이태준은 결코 잊혀질 작가가 아니다. 이태준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이태준기념사업회'(대표 안재성, 아래 기념사업회)가 지난 1일 제1회 이태준 문학상을 시상했다. 첫 수상자로 소설가 김성동 선생이 뽑혔고, 수상작으로는 단편 <민들레꽃 반지>(2012년 작)를 선정하였다.

시상식은 서울 성북동의 고즈넉한 골목에 자리잡은 전통찻집 수연산방에서 소박하게 열렸다. 수연산방은 1933년 이태준이 터를 골라 손수 지은 집으로 이곳에서 수많은 작품이 탄생했다. 수연산방은 작지만 생전의 작가처럼 단아한 기품이 느껴지는 집인데, 지금은 외손녀 조상명씨가 이곳에서 찻집을 운영하며 고택을 지키고 있다. 이 공간에서 수많은 시민들이 차를 마시며 이태준과 그의 작품 떠올린다.

이태준이 글을 쓰던 누마루인 문향루에 봄 햇살이 비추는 가운데, 수상자인 김성동 선생을 둘러싸고 기념사업회 회원들, 동료 및 후배 문인들이 전통차를 마시며 축하의 자리를 함께했다.

기념사업회 대표 안재성 작가는 "친일적인 글을 전혀 쓰지 않았던 이태준 선생은 외국어나 외래어는 물론, 어려운 한자를 피해 순수한 우리말과 우리글을 쓰려 노력한 작가로 문학사적 의미가 깊다"라면서 문학상 제정의 취지를 밝혔다.

제1회 수상작인 <민들레꽃 반지>는 "아름다운 우리말과 글을 살린 문장으로 한국 현대사의 한 장면을 처연하면서도 뼈아프게 보여주어 작품의 밑절미가 이태준 문학정신에 가장 닿아있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안 대표는 <실종작가, 이태준을 찾아서>(2015)를 발간하면서 남과 북 모두에게 잊혀진 소설가 이태준의 삶을 평전으로 복원했고, 지난 2월 기념사업회가 건립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태준의 서재이기도 했던 문향루는 3면이 유리창을 달아놓은 누마루이다. 이곳에 많은 작품이 태어났으며, 현재는 전통차 마시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 이태준이 글을 썼던 문향루 이태준의 서재이기도 했던 문향루는 3면이 유리창을 달아놓은 누마루이다. 이곳에 많은 작품이 태어났으며, 현재는 전통차 마시는 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 박현주

관련사진보기


분단의 아픔을 그린 김성동 작가의 <민들레꽃 반지>

이날 백발의 김성동 작가는 품 안에서 철끈으로 꼭 묶은 원고를 꺼내어 수상소감을 떨리는 목소리로 읽어 내려갔다. 빛바랜 원고지에 손수 써 내려간 30여 장의 원고에는 연좌제로 고통받았던 칠십 평생의 삶이 담겨있었다.

"상허와 저는 고등학교 중퇴자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상허가 왜제의 수도 동경에 갔을 때, 이 중생은 산으로 갔습니다. … 세상은 참 이상합니다. 저 라틴아메리카의 혁명가 체게바라의 얼굴이 그려진 티셔츠를 자본주의의 첨병 사채업자도 입고 다니는 판에, 지리산의 혁명가 이현상은 모르는 현실입니다.

소생의 작품은 해방 뒤 남한에서 쓰인 소설 중 가장 왼쪽에 있고 작가의 사상 검증이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국가기관에 제출했던 문인들이 흰목을 잦히며 우리 문학을 재단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 해방 후 이태준의 책들은 분서갱유당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태준의 문학을 중음신 문학이라고 불러봅니다. 남녘에서는 해금됐으나 여전히 금기의 쇠울짱에 막혀 있습니다. 이제 이태준 문학상을 만든 만큼 남북일통(통일)의 광장으로 상허 문학을 모셔오는 첫 발자국이 되길 비원합니다."

김성동 작가는 1950년 대전형무소 사건(대전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사건)으로 아버지를 잃은 후, 연좌제에 묶여 고난의 삶을 살았다. 분단이라는 우리 민족 최대 난제를 형상화했던 작품을 발표하였던 그에게 하객들이 뜨거운 박수를 보냈다.

'상금 0원', 고액 상금이 넘쳐나는 문학상에 경종

이태준 기념사업회는 고액의 상금을 주는 문학상이 넘쳐나는 요즘, 작품보다 기업의 영리와 홍보에 초점에 맞춰져 있음을 우려하고 이 같은 세태에 경종을 울리듯 이태준 문학상의 상금은 0원으로 선언한 바 있다.

고액의 상업적 문학상과의 차별을 분명히 두고자 하는 취지인데 상금은 주지 않지만 작가의 창작 활동은 지원할 계획이다. 또,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시상을 시작으로 문학기행과 학술대회 개최를 주요 사업으로 진행하며 첫 문학기행으로 오는 5월 이태준의 고향인 철원으로 갈 예정이다.

수상식이 끝나고 정오가 훌쩍 넘자 삼면이 유리창인 문향루 안으로 봄 햇살이 쏟아져 들어왔다. 마당에서 신나게 뛰어놀았을 이태준의 다섯 아이들의 목소리처럼 맑은 풍경소리가 울리고 지나가던 행인들의 발걸음이 더욱 잦아졌다. 호기심으로 어린 눈으로 솟을대문을 들어온 사람들은 고택을 둘러보며 안내판을 유심히 읽다가곤 했다.

1930년대 임화, 정지용, 김기림 등 당대의 작가들의 모임 구인회의 사랑방이었던 이곳 수연산방에 3.1절 휴일을 맞은 나들이객들이 찾아들고 있었다. 스스로 경험하거나 느낀 것이 아니면 결코 쓰지 않고, 문학의 본질에 맞지 않은 요구에 당당히 붓을 꺾었던 작가 이태준을 제대로 알고 있을까? 

민중의 고단한 삶을 사실적으로 그린 서사에 섬세하고 아름다운 서정적 묘사가 돋보였던 작품들, 특히 쉬운 일상어를 잘 살려 쓴 덕에 옛글 같지 않은 세련된 작품들이 널리 읽히고 그의 작가 정신을 이어받은 후예들이 한국 문단의 바통을 잇는 날을 기다린다.

수연산방에서 부인과 다섯명의 아이들과 함께 살았던 시절
▲ 이태준의 가족 사진 수연산방에서 부인과 다섯명의 아이들과 함께 살았던 시절
ⓒ 푸른사상

관련사진보기


* 작가 이태준은?
아호는 상허(尙虛). 1904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휘문고와 일본 상지대에서 수학하였다. 1925년 <오몽녀>로 등단하였으며, 이후 <농군> <가마귀> 등 70여 편의 단편과, <제2의 운명>등 장편 13편을 발표하였다. 해방 이후 월북하여 문학계의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김일성을 우상화하는 작품 쓰기를 거부하여 도서관에 비치된 그의 책이 모두 불태워지고 숙청당했다. 탄광 등에서 노동자로 일하다 19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1회 이태준 문학상 수상작 "김성동과 <민들레꽃 반지>"
대전이 고향인 김성동 작가는 1977년 첫 작품으로 세상에 나온 후 역작 <만다라>를 통해 이름을 널리 알렸다. <민들레꽃 반지>는 이 작품은 작가 자신을 떠올리게 하는 주인공과 구순의 어머니를 통해 전쟁을 처연하게 형상화했다. 작품 제목인 민들레꽃 반지는 빨치산이나 사회주의자들이 정인(情人)에게 주던 징표였다고 한다.


태그:#이태준문학상, #김성동, #안재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