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레버넌트>의 주연을 맡은 리어나도 디카프리오

영화 <레버넌트>의 주연을 맡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 (주)이십세기폭스코리아


<레버넌트 : 죽음에서 돌아온 자>의 (마케팅) 콘셉트에 대해 들었을 때, 기대가 꽤 컸습니다. 곰에게 중상을 입은 사냥꾼이 죽을 고비를 넘기고 살아남아 자기를 버리고 간 자에게 복수한다는 이야기. 정말 매력적이지 않습니까? 광대한 자연환경, 생존을 위한 투쟁, 추적, 마지막 대결까지 다 나올 테니까요.

영화가 시작하면 그야말로 엄청나다는 말밖에 할 수 없는, 인디언들의 습격 시퀀스가 나옵니다. 이 시퀀스의 촬영 기술은 영화 역사에 남을 만한 수준이에요. 사운드와 음악을 믹싱하는 스타일도 창의적이고. 그야말로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높여 놓습니다. 그러나 인물 및 상황 설정을 무난하게 마치고 나서 주인공이 곰에게 습격당하는 장면에 이르면 '감독이 사실은 복수 이야기에는 딱히 관심이 없었구나'하는 생각이 바로 듭니다.

만약 콘셉트대로의 복수극이었다면 주인공이 곰에게 당하는 장면이 이렇게까지 적나라할 필요는 없었겠죠. 그보다는 복수의 대상인 톰 하디가 얼마나 잔인하고 미친놈이며, 그래서 복수했을 때 관객 또한 복수의 쾌감을 충분히 맛볼 수 있을 거라는 걸 알려 주는 데 집중했을 겁니다.

그러나 '악역' 톰 하디는 소위 극악하다고 할 만한 인물은 아닙니다. 그저 남의 목숨이나 명예보다 자기 목숨이 훨씬 더 소중한 속물이고, 전형적인 인종차별주의자인 정도? 어찌 보면 당시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그의 선택이 오히려 합리적인 것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관객 입장에서는 '꼭 저놈을 잡아야 해'보다는 '결국 잡혀서 죽겠지'하는 생각 정도밖에 안 듭니다. 복수극으로 보자면 동력이 약한, 재미없는 이야기란 말이죠.

이 영화에서 감독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어떻게 해 볼 엄두가 안 나는 상황과 맞닥뜨린 인간의 처절한 실존적 투쟁입니다. 디카프리오가 영화 내내 주로 싸워야 하는 대상은 광대한 신대륙의 기후와 자연환경 그리고 성큼성큼 다가오는 죽음이니까요. 감독과 촬영감독이 촬영 회차와 예산을 무리하게 늘려가며, CG로 배경을 붙이는 대신 로케이션 촬영을 고집하고 자연광만을 사용한 것, 현장감을 살리기 위해 과도한 촬영 테크닉을 시도한 것도 관객들이 주인공의 여정을 실감 나게 체험하기를 바랐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런 노력은 충분히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는 초기 세 작품, 그러니까 <아모레스 페로스(Amores perros)>(2000) <21그램(21Grams)>(2003) <바벨(Babel)>(2006)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을 준 시나리오 작가 기예르모 아리아가와 완전히 결별했습니다. 이후 처음으로 홀로서기 한 작품 <비우티풀(Biutiful)>(2010)은 이 영화의 원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죽음에 직면한 남자의 생존 투쟁이자, 자신의 환상과 기억을 끊임없이 끄집어내는 영화이니까요. 전작인 <버드맨(Birdman)>(2014) 역시 그 연장선에 있지요. 커리어의 종말(=죽음)에 직면한 남자의 이야기. 굳이 묶자면 <비우티풀>-<버드맨>-<레버넌트>는 '죽음에 직면한 남자 3부작'이며, 감독의 주 관심사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영화들입니다.

사실, 이 감독이 자신의 예술적 야심을 위해 할리우드의 기존 제작 체계 및 관습과 '맞짱'을 뜨는 모습이 나쁘지는 않아 보입니다. 이것이 <버드맨>으로 작년에 아카데미의 환대를 받은 직후의 행보라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 심지어 이 무모한 1억3500만 불짜리 R등급 프로젝트가 흥행도 성공했습니다. (1월 31일 현재, 북미 1억3800만 불, 전세계 2억8100만 불)

다만 문제는 결과물인 영화가 그다지 잘 만들어지진 않았다는 것이지요. 이 영화의 완성도를 해치는 것은 흔히들 지적하는 것처럼 과도한 테크닉 같은 것이 아닙니다. 사실 영화를 만드는 데 있어서 과시적인 기술의 사용이나 지나치게 적나라한 묘사 자체를 문제 삼을 수는 없습니다. 그것이 감독의 의도대로 효과를 거두느냐 아니냐가 문제지요.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영화의 진짜 문제는 어설픈 복수극 설정, 그리고 끊임없이 등장하여 흐름을 끊어 먹는 디카프리오의 플래시백이라고 봐야 할 것입니다.

영화 리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와 책에 관심 많은 영화인. 두 아이의 아빠. 주말 핫케익 담당.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