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대규모 정보유출을 일으킨 국민·롯데·농협카드 3사가 무료 문자 알림서비스(SMS)를 유료화해 27억 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 3사는 당시 정보유출 무마책으로 고객들에게 무료로 문자 알림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지난 3월 유료서비스로 전환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신용카드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 유료화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정보유출사고 이후 국민·롯데·농협카드 3사는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에 신규가입한 고객들로부터 27억 원의 수수료 수익을 거뒀다.

카드사별로는 국민카드가 14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롯데는 7억 원, 농협은 5억 원의 수익을 얻었다.

문자 알림 서비스에 새로 가입했던 350만 명 중 카드사가 지난 3월 유료화한 이후, 해지한 사람은 10%에 불과했다. 카드사들이 유료화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보낸 뒤, 답이 없는 고객들을 모두 일괄적으로 유료화했다.

이에 대해 카드사들은 "한 달에 300원씩 수수료를 받는데, 건당 10원 정도 문자전송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익을 보지 않는다"고 반박하며 "유료전환 사실을 이메일이나 이용대금명세서를 통해서도 알렸다"고 해명했다.

농협 9900만 건 신분증 사본 '최다' 수집...국민은행은 수집 건수 매년 늘려

한편 금융사들이 고객의 신분증 사본 등을 수집하고 제대로 파기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신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기관별 신분증 사본 입수 건수'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은행은 4억8600만 건, 카드사는 3400만 건의 신분증 사본을 고객으로부터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은행 중 농협이 9900만 건으로 가장 최다 수집을 기록했다. 파기율은 1.5%로 은행 중 가장 낮았다.

그다음으로는 국민은행이 9800만 건으로 신분증 사본 수집이 많았고, 특히 국민은행은 전체 은행 중에서 유일하게 신분증 사본 수집을 꾸준히 늘렸다.

2013년 3000만 건에서 2014년 3300만 건으로 증가했고, 2015년 8월 말까지는 3500만 건으로 이미 작년 수집 건수를 넘어섰다. 파기율은 40.6%였다.

이어 우리은행이 8100만 건이었고, 하나은행 5300만 건, 신한은행 4000만 건 순이었다. 이들의 고객 정보 파기는 우리은행이 2.3%, 하나은행 31.8%, 신한은행이 5.3%였다. 이들 은행은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외국계 은행의 신분증 사본 수집 건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SC은행은 400만 건, 씨티은행 3000만 건에 불과했다.

카드사 중 신분증 사본을 가장 많이 수집한 곳은 국민카드였다. 국민카드는 930만 건을 수집했다. 다만 파기율은 106.2%였다.

이어 우리카드가 910만 건, 신한카드가 880만 건을 수집하고 파기율은 각각 61.6%, 69.6%였다. 가장 파기율이 낮은 카드사는 비씨카드로 1.8%에 불과했다.

신분증 사본 수집과 파기가 천차만별인 이유는 금융당국의 관리 소홀에 있다. 현행 신용정보법상 개인정보는 5년 이내에 파기하게 돼 있지만, 실제 정보가 파기됐는지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이 손을 놓은 채 회사 자율에 맡기고 있기 때문이다.

신 의원은 "작년 초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터지자 금융당국은 특별 대책을 내놓는 것처럼 했지만, 실상은 신분증 사본과 같은 기본적인 개인정보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꼬집었다.


태그:#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 #문자서비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