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내 최대 사학으로 비리가 끊이지 않아 학내 구성원과 갈등을 지속했던 선인학원은 1994년 시·공립화 됐다. 선인학원이 한때 거느린 학교는 14개, 그곳에 다닌 학생이 3만 6400여명, 교직원이 1만 4000여 명에 달했다.

1980~90년대 인천은 '노동자의 도시'로 불렸다. 전국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사람이 많았던 인천엔 맞벌이 부부가 대부분이었다. 이런 맞벌이 부부 자녀들이 다닌 학교의 상당수가 선인학원 수중에 있었다. 이로 인해 인천 교육은 추락했다. 선인학원이 지금까지 그대로 존치됐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기자 주 >

학원 민주화 이끈 교수 해임, 도화선 돼


1991년부터 학교법인 선인학원 설립자 백인엽의 복귀 움직임이 노골화되면서, 인천대를 비롯한 선인학원의 구성원들은 다시 투쟁을 준비할 수밖에 없었다. 그 도화선은 인천대 민주화 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던 장성우 교수 파면 처분(1991년 1월 2일)이라 할 수 있다. 장 교수는 교육부에 재심을 요청했지만, 교육부는 학교법인 편을 들어 해임을 결정한다.

이에 인천대 교수협의회와 선인학원 교사협의회 설립 추진위원회, '선인학원 사태를 우려하는 인천시민의 모임(이하 시민모임), 인천대 학생들은 분노했다. 교수협의회와 시민모임은 각각 규탄 성명을 냈고, 학생들은 연일 시위를 벌였다.

새 학기 개강 이후 총장·부총장·처장실을 점거농성해온 학생들은 대학 행정기능을 사실상 마비시켰다. 인천대 재학생 6000여 명 중 3500여 명이 '자퇴 서명'에 동참하는 등, 시위는 갈수록 격렬해졌다. 결국 교육부는 4월 17일 종합감사팀을 인천대에 보냈다. 1992년 대통령선거를 걱정한 정부당국은 '선인학원 철저한 종합감사'를 방침으로 정했다.

교수·학생 등이 학원이란 울타리에서 학원 민주화 투쟁을 벌이고 있는 동안, 인천지역 시민사회는 선인학원을 살리기 위한 운동을 전개했다. 시민모임은 선인학원 정상화를 위한 인천시민 10만인 서명운동을 벌였다. 교회·성당·거리 등지에서 서명을 받아 한 달여 만에 7만명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또한 선인학원 정상화를 위한 인천시민 결의대회를 열었고, 선인학원 각급 학교 졸업생의 공동성명서 발표도 이끌어냈다.

인천대 학생들은 1992년 학원 민주화 투쟁 때 수업을 70여일 동안 거부하면서 관선이사 파견과 백인엽 퇴진 등을 요구했고, 결국 정부는 6월 10일 관선이사 파견을 발표했다. 이로써 대규모 유급 사태는 모면했다.

교육부는 6월 10일 학교법인 선인학원 이사 7명을 해임하고 유훈(63) 서울대 교수 등 9명을 임시이사로 선임했다. 교육부는 '선인학원 감사에서 적발한 위법 부당 사항을 6월 5일까지 시정할 것을 명령했으나, 이행하지 않았다'며 '학원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현 이사진을 해임하고 관선이사를 파견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관선이사를 교육계 출신으로 채웠던 관행을 깨고 인천지역에서 신망 있는 인사들을 관선이사로 임명했다. 유훈 교수 외에 이건명 인천기계공고 교장과 허만윤 서울대 사무국장이 임명됐다. 지역 인사로 오광철 <인천일보> 주필, 예상해 인천지방변호사회 회장, 김승묵 인천개업변호사, 이학노 천주교 인천교구 신부, 이세영 인천시의회 의원 등이 임명됐다.

새 이사진은 6월 11일 첫 이사회를 열어 '1990년 학원이 설립자 백인엽과 법정화해로 백인엽의 헌납 재산 150여억 원(이자 포함) 중 78억 원을 되돌려주기로 한 결정이 무효'임을 확인했다. 또한 이미 백인엽에게 전달된 64억 원의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준비하는 등, 학원 정상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1992년 인천대 학생들의 학원 민주화 투쟁 결의대회에서 일부 학생이 삭발을 하고 있다.<사진 : 인천대학교 총동문회>
 1992년 인천대 학생들의 학원 민주화 투쟁 결의대회에서 일부 학생이 삭발을 하고 있다.<사진 : 인천대학교 총동문회>
ⓒ 인천대학교 총동문회

관련사진보기


PD수첩 방영, 시민 공감대 확대
   
선인학원 사태는 1992년 정통 시사 프로그램인 <MBC> PD수첩의 심층 보도로 전국적 주목을 받았다. PD수첩 보도는 오랫동안 침묵해온 인천시민의 분노가 표출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당시 송일준(1984년 MBC 입사) PD를 팀장으로 하는 PD수첩 팀은 선인학원의 실상과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취재해 보도했다. 송 PD 역시 선인학원 사태 보도를 인상 깊었던 경험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방송을 한 후 반향이 크게 일어나고 프로그램에서 다뤘던 문제가 시정될 때만큼 보람 있는 때도 없을 것이다. 그런 적이 많았지만, 선인학원 사태 보도는 그 중 하나다. 지금보다 십 몇 년은 더 젊어 한참 혈기왕성했을 때, 이제는 시립대학으로 바뀐 선인학원 소속 인천대와 인천전문대의 분규 사태를 다룬 적이 있다. 퇴역장군 백인엽씨가 이사장이었는데, 학교는 말 그대로 그의 사설 왕국이나 마찬가지였다.

열거할 수 없을 만큼 각종 비리가 만연한 가운데 보다 못해 일어난 교수들은 해직됐다. 학생들이 호응해 학교 측과 투쟁했다. 당시만 해도 지금처럼 고발 프로그램이 많지 않았던 터라 PD수첩이 방송된 후 그 반향이 참으로 대단했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학교는 백인엽의 사설 왕국에서 인천시민의 대학으로 거듭 태어났다. 물론 PD수첩은 그저 작은 힘을 보탠 데 불과했을 테지만, 그래도 여론을 불러일으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 것만큼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보람 있는 기억이다."

PD수첩의 보도는 선인학원 사태를 잘 몰랐던 인천시민들을 분노하게 만들었고, 선인학원 정상화를 바라는 서명운동은 더 광범위하게 전개됐다. 이런 여론은 인천대 학생들의 학원 민주화 투쟁에 큰 힘으로 작용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isisa.net)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선인학원, #인천대학교, #관선이사, #PD수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