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5반빈곤권리장전>(아래 '권리장전')은 2015년 6월 29일부터 7월 10일까지 약 2주간 서울, 경기 곳곳에서 벌어지는 도시빈민에 대한 탄압 양상에 대해 조사하고, 도시빈민의 권리목록을 작성하여 발표하고자 모인 실천단입니다.

<권리장전>에는 약 130여 명의 대학생들이 참가하여 가든파이브, 철거민(돈의문, 서소문, 염리동, 노점상(DDP, 삼양동, 수유시장, 미아삼거리), 임차상인(만복, 보용만두, 신신원 등), 쪽방 주민(동자동), 홈리스(서울역, 홈리스행동)들을 만나 개별 면접조사 및 간담회 등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글은 조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이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들은 바들을 많은 이들과 함께 나누고자 연속 르포 형태로 기고될 예정입니다. 각 지역에 대한 조사보고서 및 종합보고서는 빈곤사회연대 홈페이지 문서 자료실에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 - 기자 말

서울역 맞은 편, 한 블록 안으로 굽어 들어서자 예쁜 무지개 벽화가 그려진 놀이터가 나타난다. 하지만 장난치는 아이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어딘가 무지개 놀이터와는 어울리지 않는 어르신들이 박스를 깔고 낮잠을 주무시거나 앉아계신다. 여기가 동자동 쪽방촌이다. 놀이터 옆 창문이 뜯긴 채 "단전 단수 건물주 규탄한다"는 현수막을 내건 건물이 눈에 띈다. 건물 앞에는 9-20번지 쪽방 주민들이 나와 <2015반빈곤권리장전> 대원들을 반갑게 맞이해주셨다.

동자동 쪽방촌 9-20번지 입주민들은 지난 2월 한 달 이내에 방을 비우라는 갑작스런 공고문을 받았다. 건물 안전진단 결과 보수공사가 필요하니 공사 이전에 나가달라는 것이 건물주의 공식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정말로 안전진단을 실시했는지도 불확실할 뿐더러 보수공사 이후 업종유지 여부나 퇴거주민들의 재입주 여부에 대한 확답도 듣지 못한 상태이다.

9-20번지 퇴거 주민인 ㅊ씨(남, 59세)는 "자는데 문짝에다 다짜고짜 딱지를 붙이니 놀랐지. 충격이었지. 여기 사람들 거의 다 노숙해본 사람들인데 내일 한 달 뒤에 당장 방 비워라는 명령 자체가 고통이다"라며 퇴거명령 당시의 공포를 전했다. 무보증금에 월세 15만 원짜리 쪽방에서 무작정 쫓겨난 그들은 용산구청, 서울시, 권익위, 인권위, 하다못해 국회까지 찾아가 사정을 이야기해 보았지만 돌아오는 건 "사유재산이라 우리도 어쩔 수 없다"는 대답뿐이라고.

퇴거명령 이후에 다른 거처를 마련하지 못해 잔류하고 있던 쪽방촌 주민들은 단전, 단수 등 신속한 철거를 위한 일방적인 조치가 계속되자 대부분은 인근 쪽방으로, 일부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주하고, 지금은 45가구 중 7가구만 남아 있다고 한다. ㄱ씨(남, 62세)는 9-20과 나란히 위치한 월세 17만 원짜리 옆집 쪽방으로 이주했다. ㄱ씨는 "이 집(9-20)만큼 싼 집이 없었지. 한 번에 45가구가 쏟아져 나오면 빈 방이 어디 있나, 다 나온다는 소리 듣고 여기 인근 쪽방들이 1~2만원씩 월세를 올려 받는 거야. 똑같은데 방세만 더 비싸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겨우 보증금을 마련해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주한 사람들의 사정도 녹록지 않다. ㅊ씨(남, 59세)는 강제퇴거명령 이후 어렵게 30만 원을 모으고 거기에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에서 빌린 20만 원을 더해 연희동 공공임대주택으로 이사했다.

여기보다 시설이 넓고 쾌적해서 좋지 않으냐는 물음에 "방? 방이야 넓고 좋지. 그런데 여기는(동자동) 방비에 공과금이니 뭐니 다 해서 15만 원이잖아. 또 쪽방상담소랑 무료급식소가 있어서 한 달에 수급받는 49만 원으로 어찌어찌 살 만했는데 연희동에는 한 달에 방세 18만 원에 공과금 내고 하면 25만 원. 남는 게 없어서 못 살어. 그리고 뭣보다 거긴 아는 사람이 없어서 외롭고 힘들어. 그래서 내가 만날 여기 놀러 와서 하루 종일 있다가지. 여기서는 하루가 금방 가는데 거기는 까딱하면 고독사할 것 같어"라며 이주 이후의 외롭고 어려운 생활을 털어놨다. 그리고 그는 "임대주택 포기하고 동자동 쪽방으로 돌아오려고 지금 방을 알아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사람이 나갈 때까지 9-20번지 지켜야죠"

9-20번지 주민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니 해가 훌쩍 지고 있었다. 대원들은 주인 없는 9-20번지 쪽방에서 하룻밤 잠을 청하기로 했다. 한 층에 세면장 하나, 화장실 하나. 어두운 세면장에 수도꼭지가 잘려 나간 흔적을 보고 씻는 것은 일찌감치 포기했다. 화장실 문을 열자 매캐한 지린내가 코를 찔렀다. 촛불 하나를 들고 빈 방을 찾아 들어갔다. 방은 촛불 하나로 전체를 밝히기에 충분했다.

준비한 이불을 깔고 몸을 눕히자 양 발은 안쪽 벽에, 머리는 방문에 살짝 닿았다. 상상 속에서 막연하기만 했던 '가난'이 현실로 다가오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누군가에겐 오늘 밤 편히 눈 감을 수 있는 공간이자 내일 아침 안심하고 눈 뜰 수 있는 절실한 삶의 공간이기도 했다. 낮에 ㅊ씨가 "노숙 10년 만에 쪽방 하나 얻었을 때 '이제 쪽방에서 살다가 죽어도 괜찮겠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서울역으로 나가란 말이냐"라고 한 말이 떠올랐다.

다음날 아침, 대각선 방에서 들리는 말소리에 눈을 떴다. 비대위원장님의 방에서 흘러나오는 라디오 뉴스 소리였다. 문을 열자 비대위원장님이 복도에 내놓은 의자에 앉아계셨다. 비대위원장님은 자신을 소개하면서 "마지막 사람이 나갈 때까지 9-20번지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지만 아직도 이 방에서 안 나가고 있는 거예요"라고 말씀하셨다.

이에 덧붙여 "공공임대주택은 물론이고 쪽방도 보증금 없는 방을 구하기 힘들어요. 그나마 보증금을 마련하거나 비슷한 조건의 쪽방을 구한 사람들은 나갔지만 아직 남은 7가구는 아프거나 나이 많으신 분들이야. 이 분들은 보증금을 마련할 길도 없고, 이사할 비용도 없어서 여기서 견디고 살고 있어요. 그런데 문제는 방을 못 구하면 수급이 끊긴다는 거지. 그러면 약도 못 받고... 지금 상황이 그래요"라고 답답한 심정을 털어놓으셨다.

아직 9-20번지에는 일곱 사람이 살고 있다. 그들에게 '일곱 사람의 주거생존권 대 건물주의 재산권' 싸움은 현재진행형이다. 하지만 "사유재산이기에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당국은 이미 이 싸움을 끝난 싸움으로 보는 듯하다. 보증금도, 계약서도 없는 쪽방촌 주민들은 아무런 권리를 갖지 못하는 것인가? '권리'라는 것은 무언가를 소유해야만 성립되는 것인가? 아무 것도 갖지 못한 사람에게는 '생존할 권리'마저 싸워서 지켜야 할 권리가 되었다.

그들의 생존할 권리가 민간 시장논리에 내맡겨질 때 어떤 결말을 맺을지는 동자동 9-20번지를 보면 알 수 있다. 재개발이라는 이름으로, 도시 미화라는 이름으로 도시가 'happily ever after' 동화를 쓸 때 이 도심 속 가난한 사람들이 머물 수 있는 공간은 사라지고, 배제와 분리만 남게 될 것이다.


태그:#반빈곤권리장전, #쪽방, #동자동, #빈곤, #홈리스
댓글

빈곤은 경쟁을 강요하고 격차를 심화시키는 사회에서 발생합니다. 빈곤사회연대는 가난한 이들의 입장에서 한시적 원조나 시혜가 아닌 인간답게 살 권리, 빈곤해지지 않을 권리를 외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