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달 12일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메르스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박원순 서울시장.
 지난달 12일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메르스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박원순 서울시장.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제가 최종 결정권자였다면 아마 한 단계는 더 올렸을 겁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메르스 사태 과정에서 정부가 메르스 위기경보단계를 '주의단계'에서 '경계단계'로 올리지 않은데 대해 이렇게 말하며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지역사회 감염이 없었다는 이유로 '주의단계'를 유지, 총리 또는 안전처장관이 컨트롤타워가 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가동되지 못했다.

박원순 시장은 5일 공개된 '메르스 사태 수습과정에 참여한 20인 심층인터뷰'에서 "(정부는) 규정에 따라 주의단계를 취했다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감염이) 상당히 가능성이 있었고 (메르스가) 전국적으로 이미 퍼졌기 때문에 이럴 땐 경계단계, 심각단계로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또 '대통령이 전문가에게 컨트롤타워를 맡기겠다'고 하는 데 대한 질문에 "(최종결정권자가) 전문가의 전문적 지식이 뒷받침되지 않는 결정을 하면 안 된다"면서도 "전문가들의 의견은 하나일 뿐이고, 나머지 여러 가지 사태를 파악하고 취해야 될 조치에 대해서는 지휘권자가 갖고 있는 고유한 판단의 몫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박 시장은 '국가방역체계 가운데 일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에는 '확진권의 부여, 역학조사권 등에 지자체장의 권한이 없다는 점'을 꼽았으며 보건소장의 임명권이 구청장에게 있어 일부 구의 경우는 협조가 잘 안됐던 점을 지적했다.

박 시장은 특히 중앙정부와의 협력과정에 답답한 점이 있었다면서도 최경환 부총리를 '정부에서 그래도 최고로 역량과 판단력을 갖춘 분'이라고 꼽아 눈길을 끌었다.

그는 그 이유로 국무회의에서 (최 부총리에게) 시·도지사 회의를 소집해달라고 했더니 그 다음날 모였고,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이후 총리실이 바로 장악해야 한다고 했더니 즉각 총리실의 국장급이 와서 즉각대응팀의 장(長)을 하더라며 "이 양반은 말이 통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사태가 초기에 잡히지 않고 이렇게 커진 핵심적인 이유를 묻는 질문에 '최대 조치를 취해야' 하며 '시민들의 협력을 얻어야' 한다고 꼽아 그렇게 하지 않은 무사안일과 비밀주의에 빠졌던 정부의 대응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박 시장은 '어마어마하게' 고생한 서울시 공무원들에 대해 '100점'을 주고 싶다면서도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 8가지를 꼽았다.

첫째, 컨트롤타워인 감염병관리사업지원단이 상설, 강화되어야 하고 둘째, 역학조사관이 서울시청에 10명, 구 보건소에 1명씩 있어야 하며 셋째, 감염병 전문병원이나 전문시설이 있어야 한다.

넷째, 그런 걸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들이 육성, 훈련되어 있어야 하며 다섯째, 매뉴얼들이 정확히 정비되어 있어야 한다. 여섯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에 협력구조를 좀 더 정확히 하고 일곱째, 서울시에 시립의과대학이나 보건대학원이 필요하며 여덟째는 간병문화, 문병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꼽았다.

서울시는 최근 메르스 사태가 진정됨에 따라 사태 수습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전문가와 현장 관계자 등 20명의 회고, 경험당, 극복 과정을 심층 인터뷰했다.


태그:#박원순, #메르스
댓글1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