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예산군 덕산면 읍내리와 신평리에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미륵불 2기가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수십 년간 향토 문화재 지정을 위한 기본적 행정 절차도 진행되지 않은 채 민가 담벼락과 잡목솦 건축물 귀퉁이에 방치돼 훼손과 도난의 우려가 제기 되고 있다.

1990년대 초까지 미륵불은 길에서 멀리 떨어진 논과 밭이었던 구릉 지대에 있었으나 1990년대부터 덕산 지역에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건축물의 담장과 콘크리트 더미에 묻혀 그대로 방치됐다.

도로변에 근접하여 하반신이 대부분 매몰된 채로 기울어져 있다.
정월 보름이 되면 미륵에 치성을 드리거나 소원을 빌었다고 한다.
▲ 덕산 신평리미륵불 도로변에 근접하여 하반신이 대부분 매몰된 채로 기울어져 있다. 정월 보름이 되면 미륵에 치성을 드리거나 소원을 빌었다고 한다.
ⓒ 이기웅

관련사진보기


덕산읍내리 미륵불의 경우 건축물 옆에 울창한 울타리 속에 숨겨지듯 방치돼 주민도 찾기 힘든 실정이다. 최근 우리 것을 찾는 답사객이 문헌에만 남아 있는 미륵불에 대한 기록을 찾아 덕산을 제법 찾는 편이지만 안내판도 없어 미륵불을 찾는 답사객이 발길을 돌리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푸대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답사객이나 지역 주민이 민원과 대안을 제기하며 예산군에 보호 조치를 요구했으나 관계 당국은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표본조사를 통한 최소한의 향토 문화재 지정을 위한 행정 절차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인근에 있는 신평리 미륵불의 경우도 별반 다르지 않다. 길에서 멀리 떨어져 있던 미륵불은 도로확장으로 높아진 아스팔트 도로변에 기단의 하부가 매몰돼 있어 정확한 크기나 미륵불의 하부 조각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주변에 대형 건축물이 들어서고 자동차 통행이 많아져 찻길 옆에 위치하고 있어 차량 사고라도 있을 경우 파손의 우려도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다.

덕산 지역 주민과 가야산역사문화연구회는 두 개의 미륵불을 덕산 지역의 국유지에 작은 공원을 조성해 이전하거나 전시 공간 확보가 가능한 가야사지와 상가리미륵불공원에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보존하면서 향토 자산으로 미륵불을 알리고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덕산의 두 개 미륵불에 대한 역사와 학술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유적이지만, 지역의 향토 자산으로 활용하는 차원에서라도 이전하거나 당연히 보호각을 세워 봉안하고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륵불은 가야산 일원에 30여 개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포지역의 특히 가야산 지역의 불교와 민간신앙 상징물인 미륵불은 가야산을 옛길을 중심으로 상가리 미륵불과 여미리 안국사지와 용봉산과 해미 지역에 미륵불이 있으며 특히 가야산은 180여 개의 폐사지가 있다. 가야산에 많은 미륵불을 통해 불교를 비롯한 민간 신앙과 문화 중심지였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덕산 지역은 전국 최고의 밀도를 자랑하는 문화재를 보유한 백제 역사의 보고다. 특히 가야산 상가리 지역에 많이 분포한 지정 및 비지정 석조 문화재를 전시할 수 있는 야외 전시 공간을 가야사지에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더해주고 있다.

가야산 지역은 고려시대 석조 유적이 많이 있고, 화전리사면석불(보물 제794호), 삽교보살입상(보물 제508호)과 상가리귀부와 상가리 미륵불(문화재자료 제182호)의 경우 예술적인 가치도 아주 높다. 가야산 지역에서는 가정에서도 미륵불을 찾아 재를 지내고 있어 미륵불은 지금도 마을 지킴이 역할을 하고 있다.

충청도양식으로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반달형 눈썹, 눈은 웃고 있다.
도시화로 건축물 옆에 세워져있으며 하반신이 매몰된 채 약간 기울어져 있다.
▲ 덕산 읍내리미륵불 충청도양식으로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반달형 눈썹, 눈은 웃고 있다. 도시화로 건축물 옆에 세워져있으며 하반신이 매몰된 채 약간 기울어져 있다.
ⓒ 이기웅

관련사진보기


덕산의 두 미륵불은 민간 신앙이 아니더라도 향토사 자료로서 더 없이 귀중한 것들이다. 암울한 현실과 미래가 없었던 민초들이 갈망했던 메시아(미륵불)를 통해 이 땅에 먼저 살다 간 민초들을 만나는 길로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는 미륵불 신앙이 희망의 신앙으로 민간에 폭 넓게 전승돼 왔다.

오가는 분들이 만남의 장소로 소원을 비는 장소로 활용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 조각 기술은 떨어지지만 친근한 소박한 민간 신앙이던 미륵불을 만나보는 것도 매우 흥미로울 수 있다. 내포 지역의 문화 상품 중 특히 미륵불을 답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만 개발해도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의 향토 자산을 역사 문화 콘텐츠로 하는 상품을 만들어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활용하자는 것이다. 명품 내포 신도시 조성과 함께 내포 지방의 역사와 연계한 풍부한 이야기에 미륵불에 대한 테마를 입혀 관광객 찾게 해야 한다.

이런 미륵상이 도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콘텐츠이며 내포지역을 알 수 있는 매력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내포지역미륵불의 평범하고 친근감 있는 얼굴은 과거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민초들의 얼굴이 아니겠는가?

덕산에서 반경 4km에 있는 화전리사면석불 상가리미륵불 삽교석불입상과(수암산7개) 연계하여 하나의 미륵불을 테마로 하는 전국 최고의 문화 여행 상품도 만들 수 있겠다.

한편 덕산 읍내리미륵불의 관리 방안에 대해 필자와 통화한 예산군의 문화재 담당 소병희계장은"미륵불 이전에 대한 주민의 공감대가 형성이 되면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여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곳으로 이전할 수 있으며 지역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겠다"고 전했다. 지난 27일 이용억 기획실장은 필자와의 면담에서 "역사 문화 유적을 활용한 관광 마케팅으로 덕산과 가야산의 상가리 지역이 관광 도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그:#덕산미륵불, #신평리미륵불, #상가리미츨불, #수암산미륵불, #용봉산미륵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