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작설에서 매화까지 차 향 가득합니다. 우리네 삶의 향기는?
 작설에서 매화까지 차 향 가득합니다. 우리네 삶의 향기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삶'과 '죽음'.

둘이면서 하나라지요? 누구나 태어나 죽는 줄 압니다. 그렇지만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 진지한 성찰은 드뭅니다. 사는 데 정신 팔려 죽음 느낄 시간이 부족하기에. 때론, '개미'처럼 일해도 '나'를 돌아볼 시간이 필요합니다.

스님의 뒤끝, "차 우려내는데 더 신경 썼습니다!"

여수시 상암동 자내리에 있는 절집 남해사입니다. 사람 냄새 가득해 참 정겹습니다.
 여수시 상암동 자내리에 있는 절집 남해사입니다. 사람 냄새 가득해 참 정겹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금방 쓱 지나가는 봄(春). 차 한 잔 떠올렸습니다. 매화차. 겨울과 봄의 향기를 흠뻑 머금은 싱그러운 차(茶)지요. 어제(22일), 지인과 함께 여수시 상암동 자내리 '남해사'로 향했습니다.

절집, 다녀보면 휘황찬란합니다. 남해사는 예외지요. 쓰러져 가는 슬레이트 흙집을 조금 수리해 불상을 모신 절집으로, 풋풋한 사람 냄새 가득합니다. 입구에는 사립문 대신 할미꽃이 반깁니다. 그래, 정이 더 가는 절집이지요. 훗날 예정된 불사(佛舍) 전, 머무는 중이랍니다. 여기 눌러 앉길 바랄 뿐!

"스님. 오늘 차향이 더 좋습니다!"
"저번에 차 탓을 해서 차 우려내는데 더 신경 썼습니다."

아차, 싶었습니다. 혜신스님, 초장부터 까칠합니다. 하기야 구매하는 다른 차와 달리, 직접 매화 꽃망울을 따, 말려 정성껏 우려 낸, 매화차 맛을 타박했으니, 심기 편할 리 없지요. 스님의 뒤끝이 귀엽습니다. 장난기 발동, 농(弄)을 걸었습니다.

"매화차로 승화한 매화는 살았습니까? 죽었습니까?"

코끝에 스친 차 향이 정신을 맑게 합니다.
 코끝에 스친 차 향이 정신을 맑게 합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매화차로 승화한 매화는 살았습니까? 죽었습니까?"

스님, 말없이 일어나 머리 뒤에 있던 죽비를 드셨습니다. 그리고 앉아 죽비를 만지시며 설법처럼 한 마디 하시대요.

"죽비는 중간에 이렇게 뭣을 끼워 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오므라드는 대나무 성질로 인해 '탁'나는 경쾌한 소리가 별로지요. 죽비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뜨끔했습니다. 바로 항복했습니다. 지인, 알쏭달쏭한 표정입니다. 그가 화두를 꺼내들었습니다.

"스님들께서는 '다 내려놓으라고, 죽음은 옷만 갈아입는 건데, 뭐 그리 걱정 하냐?'십니다. 그러나 중생 입장에서 죽음이 두렵습니다. 죽음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합니까?"
"…."

스님께선 대답 없이 밖으로 나가셨습니다. 그리고 무언가를 들고 오셨습니다. 뚜껑을 열어 만지시며 하시는 말씀.

"이게 부처님 진신사리입니다. 빨간색은 혈관이 사리가 된 '피사리'고, 하얀색은 피부가 사리가 된 '백사리'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인간에게 '고진멸도'를 가르치신 후 89세에 열반에 드셨습니다."

스님께서 대뜸 부처님을 들고 나오셨습니다. 죽음,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데, 아직 죽어보지 못해 모르겠다는 건지…. 스님께서 부처님 사리를 모시게 된 경위를 밝혔습니다.

어찌 부처님 사리를 망치로 두드리겠습니까?

부처님 진신사리 2과입니다. 이렇게 가까이서 볼 줄이야!
 부처님 진신사리 2과입니다. 이렇게 가까이서 볼 줄이야!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도광스님께서 태국 아유타 사원에서 8년을 수행하시다, 귀국 길에 32과를 받아 오셨습니다. 그 중 제가 2과를 시주 받았습니다."

아무에게나 툭툭 건네질 부처님 진신사리가 아닙니다. 게다가 금오문중의 고승, 도광스님께 사리 2과를 받았다니, 놀라웠습니다. 이는 인연 등이 맞아야 합니다. 자리 매무새를 고쳐 앉았습니다. 당돌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 가짜 사리가 많다고 합니다. 진짜와 가짜 구분은 어떻게 합니까?
"사리를 화장지에 얹어 물 위에 놓고 가라앉으면 진짜. 그대로 있으면 가짜입니다. 또 망치로 두드려 깨지면 가짜. 안 깨지면 진짜입니다."

- 지금 실험해 볼 수 있습니까?
"허허~. 어찌 부처님 사리를 망치로 두드리겠습니까. <대승밀엄경>에 '믿음을 내고 의심을 품지 말라. 믿음이 곧 부처님이므로 꼭 해탈을 얻게 하리라!' 했습니다. 믿음이지요. 부처님 사리는 몸보다 두 배 많이 나왔다고 합니다. 그게 각 나라에 분배된 겁니다."

어리석은 중생이었습니다. "스스로 어리석은 줄 아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다. 참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자신이 어리석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이다!(아함경)"고 하니, 그걸로 위안 받을 밖에. 그렇다고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천지를 돌다 여수 남해사에 앉으신 혜신스님과 선문답에 돌입했습니다.

때가 되면 사라져, 사는 동안 행복하게 살아야

여수 남해사 혜신스님. 스님, 차 맛 좋았습니다!
 여수 남해사 혜신스님. 스님, 차 맛 좋았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 스님은 어떻게 죽고 싶습니까?
"사람은 자기가 죽기 3일 전에 감(感)으로 안다고 합니다. 스님들이 바라는 죽음은 '승도천화(僧道遷化)'입니다. 승도천화란? 죽음을 느낌으로 알아, 행장(수의)을 걸쳐 입고, 인적이 없는 산으로 들어가, 나무 잎 등으로 잠자리를 만들어, 거기에 누워 세상을 조용히 떠나는 겁니다. 이렇게 승도천화하신 분이 '서산대사'입니다."

- 죽음, 어떻게 받아들여야 합니까?
"잘 살아야 잘 죽는 법입니다. 안개, 바람, 비가 잠시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처럼 인간의 삶도 마찬가집니다.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때가 되면 사라지는(죽음) 거 아니겠습니까. 사는 동안 행복하게 사는 게 중요합니다."

- 잘 살아야 잘 죽는다 하셨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어떻게 죽어야 할 것인가보다, 아름답게 사는 게 중요합니다. 아침에 태양이 떠서 저녁에 노을이 지는 것과 같습니다. 화창한 날, 해는 아름답게 떠서 아름답게 노을 집니다. 그렇지 않은 날은 뜬 것도 지는 것도 모르게 집니다. 아름답게 살면 멋있는 노을처럼 아름다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겠지요."

- 오래 살면 좋겠다는 사람은 빨리 죽고, 빨리 죽었으면 하는 사람은 늦게 죽는 경향입니다. 왜 그렇습니까?
"나쁜 사람은 대개 끝까지 살아남습니다. 저승에 빨리 데리고 가 봐야 쓸데없다는 거 아닐까. 살면서 지은 업(業)을 씻을 기회를 주는 거라 생각됩니다. 그런데도 공덕 쌓지 못하고 업을 짓고 마는 어리석음이 안타깝습니다."

-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겁니까?
"삶은 윤회(輪回)와 고진멸도의 연속입니다. 지금은 '혼돈의 시대'. 이 시기에는 '나'를 찾아 최선을 다해 사는 게 지혜로운 길입니다. 자신을 지극히 사랑해야, 타인을 지극히 사랑하고, 타인을 위해 일할 수 있습니다."

수컷 개미 살아 봤자 밥만 축낸다, 그게 '운명'

날개 달린 수컷 개미입니다. 한쪽 날개가 떨어졌습니다.
 날개 달린 수컷 개미입니다. 한쪽 날개가 떨어졌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차(茶). 어느 새 '작설'에서 '매화'꽃을 넘어 '연잎' 위에 앉았습니다. 그러는 사이, 개미가 방바닥을 헤집고 다닙니다. 헉, 개미 등에 날개가 달렸습니다. 눈을 씻고 다시 봐도 날개 달린 개미입니다. 호기심을 보이자 의외라는 반응입니다.

"개미 등에 날개 달린 거 처음 봐? 날개 달린 건 다 '수컷'이야. 수개미는 이맘 때 여왕개미와 교미한 후 다 죽어. 교미하는 수컷은 단 한 마리. 번식을 위한 여왕개미 쟁탈전이 치열하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튼튼한 날개 짓은 필수. 나머지 수컷은 교미 한 번 못하고 죽어. 삶의 임무를 마친 수컷은 살아 있어봤자 밥만 축낸다는 거지. 그게 운명이야."

수개미의 삶이 더 현실적이고 피부에 와 닿습니다. 다행입니다. 인간은 이런 운명 아니라서.

삶. 참 어렵습니다. '가치를 어디에 둘 것인지?'에 따라 희비가 갈립니다. 삶의 가치를 물질(돈)에 둘 때와 정신(사상)에 둘 때의 차이는 확연합니다. 어떤 사람은 '재물'을 타고 났습니다. 또 어떤 이는 '재능'을 타고 났습니다. 그러니 서로 다를 수밖에. 이는 서로 돕고 살아야 할 이유입니다.

죽음. 더 어렵습니다. '어떻게 죽었는지?'에 따라 차이가 분명합니다. '극락'과 '지옥'. 욕심만 부린 사람과 덕을 베푼 사람의 차이는 확실합니다. 하지만 잘 죽는다는 건 자신이 바라던 삶을 산 사람에게도 부담입니다. 오직 '덕(德)' 있는 자만이 죽음 앞에 담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디….

소박한 절집 남해사. 부처님 진신사리가 부끄럽지 않습니다.
 소박한 절집 남해사. 부처님 진신사리가 부끄럽지 않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남해사, #혜신스님, #부처님 진신사리, #삶과 죽음, #선문답 여행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