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KBS 드라마 <징비록>이 인기다. 충무공 이순신의 등장과 활약 덕분이라는 관측도 있고, 타 방송사의 인기 드라마가 종영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개인적으론 둘 모두 타당한 견해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작 내가 <징비록>을 즐겨보는 데에는 앞서 제시한 두 가지 이유와는 별 관련이 없다.

<징비록>에 빠진 가장 큰 이유는 해당 드라마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배경, 정치 형태, 국가가 처한 상황 등에서 차이가 있음에도 드라마는 놀랍도록 우리네 현실과 맞닿아 있다. 누군가 말했듯 삶은 드라마이고, 드라마는 삶이라는 경구를 사극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일까?

낯설지 않은 드라마 <징비록> 속 선조의 모습

선조는 임진왜란 당시 백성들을 버린 군주로 기억된다.
▲ 무능했던 왕 선조 선조는 임진왜란 당시 백성들을 버린 군주로 기억된다.
ⓒ KBS

관련사진보기


<징비록> 논란의 중심에는 단연 선조가 있다. 실제 역사와 차이가 조금 있을지 몰라도 드라마 속 선조는 무능, 무기력의 아이콘이다. 중요한 결정을 좀처럼 내리지 못하고, 지레 겁을 먹어 피란을 가고, 그 와중에도 질투에 눈이 멀어버리는 한심한 왕이다. 이순신이 전란에서 공을 세웠음에도 이내 그를 못마땅하게 여겨 그를 벌하고 경계한 것은 선조의 질투심과 무능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

선조는 처음부터 왕이 될 재목이 아니었을까?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애초에 그가 선대 왕 명종의 총애를 받은 일화가 있었다. 명종은 후사가 없었기에 여러 왕손들 중 후계자를 찾고 있었다. 어느 날 명종은 왕손들에게 익선관(왕의 모자)을 써보라 제안했다. 수많은 왕손들이 익선관을 썼는데 유독 가장 나이가 어린 하성군(선조)만이 익선관을 쓰지 않았다. 그는 "이것이 어찌 보통 사람이 쓸 수 있는 것이겠냐"며 익선관을 어전에 도로 갖다 놓았다고 한다. 명종은 이를 기특하게 여겨 하성군을 장차 후계자로 점찍어 두었다.

선조가 왕이 된 이후, 조정은 한동안 동인과 서인의 당쟁으로 가득 차 있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왜의 조짐이 심상치 않았음에도 왕은 인지하지 못했다. 민심을 제대로 읽지도 못했다. 그가 도성을 버리고, 개성, 평양을 버리면서 백성들의 배신감과 분노는 커져만 갔다. 선조가 의주까지 피란을 가면서 백성을 보호할 국가는 사라지고, 무자비한 왜군 앞에 백성들만 덩그러니 남게 되었다. 그 결과는 참혹했다. 인구의 3분의 1이 죽거나 포로로 잡혀갔다.

무능보다 무서운 건 '불통과 자기망각'

선조에게 아쉬운 대목은 무능함보다는 불통과 망각에 있다. 그가 피란을 결정할 때마다 그는 그에 반대하는 신하들의 모습을 목격했을 것이다. 또 피란으로 인해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될 백성들의 존재도 당연히 짐작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리고 그로 인해 그는 조선의 가장 무능한 왕 중의 한 명으로 기록되고 말았다.

"가슴을 가진 사람에게 망각은 어렵다."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후안 마누엘 산토스 콜롬비아 대통령과의 만찬에서 꺼낸 말이다. 콜롬비아의 대문호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그 말을 16일에 세월호 유가족들 앞에서 했어야만 했다.

참사가 일어난 지 이제 1년이다. 가족을 잃은 슬픔은 외면한 채 일정상의 이유를 들어 바다 건너 외교에만 몰두하는 대통령의 모습은 '망각이 어렵다'는 말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광화문 광장에 설치됐던 '근혜장벽', 물대포, 캡사이신 등의 공권력은 역설적이게도 '가슴을 가진 사람'들을 겨냥해 가차없이 공격했다.

세월호참사 1주기를 맞아 18일 오후 유가족과 시민들이 세월호특조위 시행령 폐지와 세월호 인양을 촉구하는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마친 시민들이 유가족들이 농성중인 광화문앞으로 행진을 시작한 가운데, 경찰이 바리케이드를 겹겹이 설치했다.
▲ 겹겹이 설치된 '근혜산성' 세월호참사 1주기를 맞아 18일 오후 유가족과 시민들이 세월호특조위 시행령 폐지와 세월호 인양을 촉구하는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마친 시민들이 유가족들이 농성중인 광화문앞으로 행진을 시작한 가운데, 경찰이 바리케이드를 겹겹이 설치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예전부터 민심은 천심이라 했다. 지난 주말 서울광장에서 광화문으로 이동하던 집회 참가자들의 모습은 <징비록>의 분노한 백성들의 모습과 유사했다. 상황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감정의 차이는 크지 않을 것이다. 박 대통령에게 2015년 4월은 분명 위기다. 이번 위기를 어떻게 헤쳐 나가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역사의 평가는 달라질 것이다. 어떤 지도자로 남느냐는 전적으로 그의 선택에 달려있다.

일부 보수언론은 벌써부터 '세월호 집회=선동꾼에 놀아난 국민들'이라는 프레임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국민들이 몇몇 선동꾼에 속을 것이라 여기는 보수언론의 허황된 경계심과 주변에만 천착하는 고질적인 습성은 여전한 듯하다. 정작 말해야 할 것(국민들의 분노)은 쏙 빼놓고 말이다.

어떤 이들은 1년이나 지났는데 이제 그만할 때도 되지 않았느냐며 질책하기도 한다. 특히 보수언론은 국민의 슬픔에 관대하지가 않다. 슬픔에 빠진 사람이 목소리를 내고, 권리를 찾으려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갖는 것이다.

아픈 사람이 아프다고 말할 수 없는 사회는 병든 사회일 뿐이다. 그런 사회에 희망을 기대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송락규 기자가 활동하는 팀블로그 별밤(http://byulnight.tistory.co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징비록, #선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