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방파제 옆 벽면에 자리한 그림들
 방파제 옆 벽면에 자리한 그림들
ⓒ 김제형

관련사진보기


지난 16일 진도 팽목항을 찾았다.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진도 버스터미널 그리고 팽목항까지 5시간여를 달려 마침내 도착했다. 내게는 처음인 곳, 누군가에게는 사무치는 마음을 부여잡고 수십 차례 방문했을 이곳에는 1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을 통과한 후에도 무거운 기운이 가득했다.

팽목항의 시간은 여전히 2014년 4월 16일을 가리켰다. 1년이 지난 4월 16일의 이곳을, 참사를 잊지 못한 사람들의 추모 행렬이 이어졌고, 원혼을 달래기 위해 천주교, 불교 등의 종교 단체들도 함께했다. 진상 규명과 진실을 인양해 달라는 노란 리본도 곳곳에 묶여 여전히 나부꼈다. 2014년 4월 16일부터 2015년 4월 16일까지 사계절을 돌아왔는데도 결코 봄은 자리할 수 없었다.

더없이 부끄럽고 마음이 무거웠다. 방파제를 거닐며 들었던 목탁 소리와 바람에 흔들리며 날카로운 소리를 내는 종소리가 귓가에 계속 맴돌았다. 304명의 희생자를 떠올리며 기억을 다짐하는 현수막도 연이어 붙어 있었고, 유가족의 메시지도 벽 한쪽을 메우고 있었다.

팽목항에 서서 나를 위한 반성문을 쓰다

팽목항 바다를 바라보는 국화
 팽목항 바다를 바라보는 국화
ⓒ 김제형

관련사진보기


이윽고 떠올렸다. 한 발, 한 발 천천히 발을 떼며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 지난 1년. 그 시간 동안의 나를 말이다. 세월호 사고를 기억했던 날보다 바쁘다는 핑계로 잊고 산 날이 많았으며, 진심으로 공감하기보다 형식적으로 마음을 가열했던 사람이 바로 나였다는 것을. 나의 팽목항 방문은 누구도 아닌 나를 위한 반성문이었다.

불과 얼마 전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들의 착잡한 심정이 담긴 <눈먼 자들의 국가>를 읽었다. 작가들의 눈 밖에 난 사람들이 바로 나였다는 것을 읽으면서는 전혀 알지 못했다. 소설가 김애란은 "타인의 고통 바깥에 있는 사람이라는 자각 아래, 바깥의 폭을 좁혀가며 밖을 옆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고 진은영 시인은 "세월호 사고에 대해 연민이 아닌 수치심을 느껴야 한다"고 말했다.

팽목항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들으면서 그리고 만지면서 난 깨달았다. 작가들이 경계한 사람이 다름 아닌 나였다고. 고백하건대 여태 나는 세월호 유가족의 고통 바깥에 머무는 사람이었고, 고개를 빼꼼히 내밀고는 남일 바라보듯 그저 연민하기 급급했던 사람이었다.

나는 세월호 사고를 바라보면서 누군가를 줄곧 나무라기만 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나무랄 대상을 찾았다고 보는 것이 맞겠다. 찾던 와중에 레이더에 걸린 사람들은 나보다 우매하다고 괄시했고, 비상식적이라고 여기며 취급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을 향한 무시는 이내 세월호 사고에 대한 무관심으로 번졌음을 나는 알지 못했다.

4월 16일 기억하겠습니다
 4월 16일 기억하겠습니다
ⓒ 김제형

관련사진보기


햇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을 '윤슬'이라고 한다. 오후 1시에 도착한 팽목항에는 정오의 윤슬이 가득했다. 평소 때와 달리 아름다운 윤슬이 결코 반갑지 않았다. 그 반짝이는 윤슬 아래 하염없이 고개를 숙이게 됐고, 착잡함에 한숨조차 나오지 못했다. 가타부타 누군가를 힐난하기만 했던 나의 몽매함에 혀를 거듭 찼고, 침이 바싹바싹 마르기 시작하며 할 말을 잃었다.

나는 팽목항 방문을 기점으로 스스로에게 변화를 선포하겠다. 이 변화는 누군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전적으로 나를 위한 것이다. 타인을 논하기에, 정부를 논하기에, 국가를 논하기에 턱없이 모자란 나를 질책했던 순간이었다. 누군가를 위로하러 갔던 나의 팽목항 방문은 부끄러운 자화상을 떠올리고 있었다.

덧붙이는 글 | 팀블로그 byulnight.tistory.com에도 게재되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본인이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세월호, #팽목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