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햇살이 좋은 날, 햇살이 벽면에 그림자로 수채화를 그렸다. 수묵화 한 점을 보는 듯하다.
▲ 산수유 햇살이 좋은 날, 햇살이 벽면에 그림자로 수채화를 그렸다. 수묵화 한 점을 보는 듯하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산수유마을 돌담길에 화들짝 피어난 산수유의 노란 빛, 산스유 피어난 돌담길 사이를 걸어가는 이의 발걸음이 가벼워 보인다.
▲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 산수유마을 돌담길에 화들짝 피어난 산수유의 노란 빛, 산스유 피어난 돌담길 사이를 걸어가는 이의 발걸음이 가벼워 보인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지리산 자락 구례 산동 산수유마을이 노랗게 물들었다. 사철 푸른 대나무의 초록빛과 산수유의 노란빛은 더불어 잘 어울린다. 바람이 불면, 댓가지와 댓잎이 바스락거리는 소리를 내며 기우뚱거리고, 산수유는 그에 화답하듯 꽃망울을 하나둘 터트린다.

산수유의 꽃은 피는 것이 아니라 '터진다'고 하는 것이 맞다. 작은 꽃들 수백 송이가 폭죽 터지듯 봄바람 봄 햇살에 터지는 것이다. 하나하나 작은 꽃들은 모두가 별을 닮았다.

구례 산동에도 이렇게 봄이 완연하니 그보다 더 남도인 광양이나 섬진강 주변은 완연하다 못해 봄이 꽉 차 있을 것 같다. 매화가 조금은 더 기다려주었으면 하는 마음을 품고 광양 섬진강변의 매화마을을 찾았다.

섬진강 변에 있는 다압면 매화마을의 매화밭에서 봄나물을 하고 있는 아낙, 아직 매화를 제대로 보지도 못했는데 매화가 지고있다.
▲ 섬진강 다압면 매화 마을 섬진강 변에 있는 다압면 매화마을의 매화밭에서 봄나물을 하고 있는 아낙, 아직 매화를 제대로 보지도 못했는데 매화가 지고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아직 매화의 흔적은 남았으되 이미 한물간 뒤였음을 듬성듬성 달린 매화가 알려줬다. 매화의 절정을 보려면 남도에서 한참을 위로 올라가야 한다. 아직 만개하지 않은 매화를 볼 수 있는 지역이 있다는 사실에 제법 좁기만 한 나라는 아닌가 싶다.

매화밭에서 아주머니 한 분이 나물을 하고 계셨다. 풋풋한 봄나물의 향기와 매화의 향이 만나 어떤 향기를 낼까? 아주머니는 봄나물을 캐고, 아저씨는 톱을 들고 다니며 가지치기를 하고 있었다. 그냥 두면 좋은 매실을 거둘 수 없다. 실한 매실을 거두려면 수많은 손길이 가야만 하는 것이다.

어떤 농사든지, 어떤 작물이든지 사람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라는 법이다. 그런 점에서 매화밭에서 봄나물을 캐는 행위는 발자국 소리를 들려줄 뿐 아니라 땅이 숨을 쉴 수 있게 흙을 골라주는 일이니 매화뿌리가 "얼씨구나 좋다" 하며 덩실덩실 춤을 출 듯하다.

22일 광양의 매화축제는 끝났지만 매화의 끝물을 보기위한 여행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이에 따라 지역특산물과 봄나물 등을 가지고 나온 이들의 발걸음도 이어진다.
▲ 매화마을 22일 광양의 매화축제는 끝났지만 매화의 끝물을 보기위한 여행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이에 따라 지역특산물과 봄나물 등을 가지고 나온 이들의 발걸음도 이어진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쑥, 참취, 달래 등 봄나물이 바구니마다 그득하다. 하우스에서 자란 듯한 드릅도 이미 나와있었다. 노지의 드릅은 이제 막 싹이 올라오고 있었다.
▲ 봄소식 쑥, 참취, 달래 등 봄나물이 바구니마다 그득하다. 하우스에서 자란 듯한 드릅도 이미 나와있었다. 노지의 드릅은 이제 막 싹이 올라오고 있었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아무튼 지난 3월 22일 매화축제는 끝났다고 한다.

절정의 매화를 보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 그런데 남도에도 미세한 변화가 보인다. 봄꽃들이 순서대로 피고 져야 하는데 한꺼번에 피어나고 있는 중이다.

나무 꽃들 중에서는 동백, 매화, 개나리, 진달래, 목련, 벚꽃, 앵두꽃이 이미 피어났으며, 그 중 동백과 매화와 목련은 꽃잎을 놓는 중이다. 벚꽃은 이제 사흘 이내에 만개할 것 같고, 복숭아꽃과 배꽃도 피어날듯 몽우리를 내었다.

어릴적에는 살짝 겹치기는 했지만, 꽃들이 피고지는 순서가 있었다. 계절의 변화, 그래서 이젠 지역마다 꽃 축제 날짜를 정하는 일도 쉽지 않은 일이 되었다. 계절의 변화는 물론 인간의 욕심이 가져온 결과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그렇게 집으로 돌아가 쉬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일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귀가 집으로 돌아가는 길, 그렇게 집으로 돌아가 쉬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일들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관광객들을 상대로 장사를 마친 할머니가 오후가 되자 집으로 돌아가신다. 내일 내올 것들을 준비하려면 또 어두워지기 전까지 몸을 부지런히 움직여야 할 것이다. 쉴 틈 없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다. 아니, 쉰다는 것과 일한다는 것의 경계 없이 삶 그 자체라고 할 수 있겠다.

자연의 질서를 따라 사는 일은 일과 쉼이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하나의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닐가 싶다.

섬진강변의 벚꽃길에 벚꽃이 흐드러졌다. 봄비가 내리고 나면 사나흘 정도 만개하며 절정을 이룰 것 같다. 이내, 꽃비가 내리고 봄이 저만치 더날 것이다. 아직 강원도 산골의 응달에는 얼음이 남아있는데 남도는 봄이 이미 가고 있는 중이다.
▲ 섬진강 벚꽃길 섬진강변의 벚꽃길에 벚꽃이 흐드러졌다. 봄비가 내리고 나면 사나흘 정도 만개하며 절정을 이룰 것 같다. 이내, 꽃비가 내리고 봄이 저만치 더날 것이다. 아직 강원도 산골의 응달에는 얼음이 남아있는데 남도는 봄이 이미 가고 있는 중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섬진강변을 따라 벚꽃이 피어나기 시작했다. 봄비도 내렸겠다 사나흘 뒤면(4월 3일경) 절정에 이를 것 같다. 그리고 일주일여 뒤에는 꽃비가 내릴 터이다.

겨우내 숨죽였다가 애써 피어난 꽃, 길어야 십 일이라고 하더니만 벚꽃이 그러하다. 어디 벚꽃만 그러하겠는가? 사람도 다르지 않다.

새벽부터 봄비가 내린다. 백운산 자락, 봄 농사를 시작하는 이들의 손길이 분주하다. 이번 봄비는 단비가 될 듯하다. 사골에서는 봄이 오고, 농사가 시작되어야 비로소 일년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다.
▲ 농사 새벽부터 봄비가 내린다. 백운산 자락, 봄 농사를 시작하는 이들의 손길이 분주하다. 이번 봄비는 단비가 될 듯하다. 사골에서는 봄이 오고, 농사가 시작되어야 비로소 일년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래도 매년 피어나는 것처럼, 사람들도 매년 새해를 맞이한다. 농사꾼들에게 새해는 농사를 시작하는 봄이다. 그 봄보다 조금 이른 것은 씨앗을 준비하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요즘은 비닐하우스 전천후 농업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농민들도 이모작에 시달린다. 이모작을 해야만 겨우 먹고살 수 있게 된 것이다. 농민들의 삶이 여유롭다는 것은 이미 옛날 이야기에 불과하다.

매화의 꽃잎이 바람에 떨어져 쉬고 있다. 섬진강변의 매화들은 이제 피어난 것들보다 떨어진 것들이 더 많다.
▲ 매화의 낙화 매화의 꽃잎이 바람에 떨어져 쉬고 있다. 섬진강변의 매화들은 이제 피어난 것들보다 떨어진 것들이 더 많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봄비를 맞은 동백의 낙화,가뭄에 피어난 것이 미안해 봄비에 떨어졌는지도 모르겠다.
▲ 동백의 낙화 봄비를 맞은 동백의 낙화,가뭄에 피어난 것이 미안해 봄비에 떨어졌는지도 모르겠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렇게 꽃은 피었다가 떨어졌다. 그것이 끝은 아니다. 그들이 떨어진 자리라야 열매가 맺으니 끝난 것이 아니라 이제 다시 시작된 것이다.

오랜만에 봄비가 내리셨다. 잠시 소강상태를 보였지만, 이번 주는 봄비가 자주 내릴 것이라는 소식이다. 그 일기예보만큼은 틀리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남도의 봄, 왔나요?"
"봄? 이미 왔제. 이제 가는 중 아닌가?"

덧붙이는 글 | 위에 사용한 사진은 3월 30, 31 양일간 구례, 광양, 섬진강, 백운산 일대에서 담은 사진들입니다.



태그:#구례 , #산수유마을, #매화마을, #광양, #섬진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