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 3월 19일 농축식품부와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4년 한 해 동안의 귀농·귀촌 가구 수가 4만 4586가구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도가 지난 주, 중앙 일간지와 지방지는 물론 농업관련 매체에 나란히 등장했다. 이어지는 기사 역시 똑같았는데 바로 전년도인 2013년과 비교하는 기사다. 전년도에는 귀농·귀촌 총 가구 수가 3만 2424 가구였고 2014년도에는 37.5% 나 급증한 것으로 역대 최대 수치라는 것이다.

귀농인구 통계치, 백분율로 분석을...

여기까지는 사실보도다. 사실관계는 원 통계자료에 바탕 하는 것으로 매체마다 똑 같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다음의 분석 기사들도 한결 같다. 가령 이런 것이다. 1) 베이비 붐 세대(1955~1963년생)의 퇴직이 집중되는 시기와 맞물려 있다. 2) 전원생활에 대한 관심과 농촌의 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기대가 커졌다. 3) 앞으로도 당분간 이런 추세로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가 예상된다. 등등. 이러다 보니 분석의 독특함과 차별성이 매체들에서 보이지 않는다.

빠지지 않는 보도가 또 있다. 이것도 몇 년째 그대로 반복된다. 경상북도가 올해도 전국 귀농 가구수 1위를 기록했는데 2172가구로 전체 귀농가구 수의 19.5%나 된다는 내용이다. 2위는 역시 전라남도라는 것이다. 귀농가구수로 매기는 등수가 바뀌지 않는 이유를 좀 더 깊이 분석 할 필요가 있다.

경상북도는 인구수가 2013년 12월 현재 269만 명으로 전국 9개 도 단위 지자체 중 상위를 차지한다. 2위를 한 전라남도는 같은 시기 현재 인구수가 190만 명으로 경상북도보다 훨씬 적다. 그러나 1844 귀농가구수를 백분율로 따져보면 0.97이 나오는데 0.80을 보이는 경상북도보다 높다. 순위가 1등 되는 게 무슨 대수겠는가 마는 귀농인구 통계치와 그 유인 요소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귀농·귀촌 정책수립의 중요한 변수가 된다.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는 인구수가 비슷한데도 귀농 가구수는 전라남도가 월등히 높다. 그것은 평야지대이며 남쪽지방이라 작부율이 높은 것과 관계가 있다. 이처럼 귀농가구수는 여러 변수가 제대로 비교되면서 정리되어야 비로소 살아 있는 정책의 기초가 될 것이다.

도 단위 지자체를 구성하는 시·군 단위 통계도 마찬가지다. 이곳 전라북도 역시 매년 고창군이 도내 귀농가구수 1위다. 내가 귀농지원센터 운영위원장으로 있는 순창군보다 인구수가 꼭 2배인데도 이런 변수는 고려되지 않기 때문으로 만약에 인구 대비 백분율로 계산하면 순위가 바뀌게 된다.

귀농 동기에 따라 지원대책 달라야

작년에 (사)전국귀농운동본부는 전문 농업연구기관과 같이 대대적인 귀농인 생활실태 및 의식조사를 벌인 적이 있다. 매우 독특한 문항들이 있었는데 귀농 동기에 대한 생태적 감수성 관련 조항이다.

요즘 급격히 늘어나는 귀농·귀촌 인구는 단순히 농촌 인구를 늘이는데 머물지 않는다. 농촌인구 구성 비율을 바꾸고 농촌문화 전반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데 이들은 단순한 삶, 생태순환의 문명 추구, 문명 이기로부터의 탈주, 인간 본성의 회복 등이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지원정책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은퇴 귀농이나 생태문명 귀농을 모두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으로 뭉뚱그리면 너무 단선적인 분석이다. 농업정책을 정교하게 수립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40대 이하의 귀농·귀촌 인구가 큰 폭으로 느는 현상에 대한 분석도 그렇다. 작년에 40대 이하 세대의 증가율은 43%로 전 세대 평균증가율 37.5%를 웃돈다. 젊은 층이 농촌사회로 많이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 있는데 맞는 말이긴 하지만, 젊은이들일수록 동기분석이 굉장히 중요하다.

도시의 청년실업률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이는데 도시적 욕망을 농촌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젊은이들이 많은지, 농촌의 본원적 가치와 소중함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지에 따라 귀농교육과 농촌에서의 정착 지원 내용이 달라야 할 것이다.

정확한 현상분석이 정책수립 기초

중요한 것 하나는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어떤 순위로 지역을 선택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농촌 초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농촌지역 출신들이 선산 관리와 부모 노후 때문에 시골로 내려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 항목 분석은 없다. 부모를 모시고 선산을 지키고자 하는 이런 경우의 귀농·귀촌은 농민기본소득제 같은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지역 선택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빈집과 농사지을 땅 문제다. 이런 변수가 각 지자체의 귀농인구 증가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귀농지 탐색을 위한 과도적 체류기간이 되는 귀농인의 집 거주와 장기귀농학교, 귀농실습지 유무 등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한국농어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귀농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농(農)을 중심으로 연결과 회복의 삶을 꾸립니다. 생태영성의 길로 나아갑니다. '마음치유농장'을 일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